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이슈 분석

중국은 왜 고구려사를 삼키려 하는가

한국의 역사 主權에 대한 중국의 심각한 도전

  • 글: 이정훈 동아일보 신동아 차장 hoon@donga.com

중국은 왜 고구려사를 삼키려 하는가

1/6
  • ●김정일 정권 붕괴시 옌볜 조선족자치주의 동요 막으려는 심모원려
  • ●“옌볜의 지식인 사회는 ‘술렁’, 그러나 한국의 학계와 정부는 ‘조용’”
  • ●한국의 북방사 연구 저작물 분석하는 중국의 역사 연구기관들
  • ●고구려를 중국 변방 정권으로 자리매김하려는 ‘東北工程’ 프로젝트
  • ●日本, 발해는 중국사로 고구려사는 한국과 중국사 양쪽으로 분류
중국은 왜 고구려사를 삼키려 하는가

‘고구려사는 중국사의 일부’라는 내용의 시론을 담고 있는 광명일보 인터넷판과 ‘동북공정’ 프로젝트를 소개하고 있는 중국변강사지연구 중심의 사이트

지난해 초 기자는 교토(京都)에 있는 일본 국립박물관을 찾아갔다가 깜짝 놀랐다. 교토 박물관 벽에 걸려 있는 동북아시아 연표에 ‘한국 역사 속에 포함돼 있는 것으로 믿어 의심치 않던’ 고구려사가 한국과 중국 역사 양쪽으로 분류돼 있고, 발해는 아예 중국사 쪽에 들어가 있었기 때문이다.

인접 국가끼리는 영토와 역사 문제를 놓고 다투게 마련이다. 한국은 일본과 독도 영유권 문제로 다투고 있으며 일본의 역사 교과서 왜곡 시비를 놓고 외교 마찰을 빚기까지 했다. 그러나 일본은 한국과 중국의 역사 문제에 관해서는 ‘제3자’이다. 더구나 일본은 중국과 경쟁관계에 있는 데도 고구려사를 한국사와 중국사 양쪽으로 나눠 놓았고 발해사를 중국사로 분류해놓았다. 언제부터 일본이 ‘친중국’이 되었나?

난생 처음 이러한 자료를 접하고 나자 상당히 머리가 혼란스러워졌다. 아무튼 그 후 기자는 한국의 관련학자나 고위인사들을 만날 때마다 이 이야기를 꺼냈다. ‘어찌하면 좋으리까.’

이제야 부활하는 北方史

해군은 KDX로 나가는 신형 구축함을 건조하며 고구려의 위인 이름을 붙였다. KDX-Ⅰ 제1번함은 ‘광개토대왕함’, 제2번함은 ‘을지문덕함’, 제3번함은 ‘양만춘함’이다. 기자는 해군이 차후 건조할 함정에 발해 창시자인 대조영(大祚榮)의 이름을 붙일 계획이 없다는 것을 알고, 해군 관계자를 만날 때마다 “새로 짓는 함정 중 한 척에는 반드시 대조영이란 이름을 붙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주장이 먹혀든 것일까. 아무튼 해군은 KDX-Ⅱ를 건조하면서 애초 계획을 바꿔 현재 건조하고 있는 제3번함을 ‘대조영함’으로 부르기로 결정했다. 이미 건조된 KDX-Ⅱ 제1번함과 2번함은 ‘충무공 이순신함’과 ‘문무대왕함’이다. 제4번함은 ‘왕건함’, 제5번함은 ‘강감찬함’, 제6번함은 ‘최영함’으로 이름 지을 예정이다. 한반도에서 활약한 영웅의 이름만 붙이려던 애초의 계획을 바꿔 만주벌판을 누빈 호걸 이름을 넣기로 한 것이다.

한편 육군은 지난 2000년 ‘천하제일군단’으로 불리던 제1군단의 별명을 ‘광개토군단’으로 바꾸었다. 이로써 우리는 해군의 ‘광개토대왕함’과 ‘대조영함’, 그리고 육군의 ‘광개토군단’을 갖게 되었다.

사실 한국이 한민족 북방사에 눈을 돌린 것은 아주 최근의 일이다. 그 이전까지 고조선에서 고구려와 발해로 이어지는 한민족 북방사에 대한 연구는 오히려 북한이 주도했다.

이는 김일성(金日成)이 정권의 정통성을 고조선과 고구려에서 찾으려 했고 이에 대응해 박정희(朴正熙) 대통령은 삼국통일을 이룩한 신라에서 남북통일의 기백을 이으려 했기 때문이다. 1994년 10월11일 북한이 식량난과 경제난이 심각한 가운데에도 단군릉을 완공한 것은, 그들의 정통성을 한민족 북방사에서 찾으려는 노력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2002년에 열린 한·일 월드컵은 한국에서 한민족 북방사를 극적으로 부활시킨 일대 사건으로 기록될 것이다. 온 나라를 “대-한민국”이라는 함성으로 뒤덮은 붉은악마가 중국 신화에서 ‘전쟁의 신’이자 ‘군신(軍神)’으로 나오는 동방의 지도자 치우천왕(蚩尤天王)을 자신들의 상징물로 들고 나왔기 때문이다.

사학계에서 정식으로 인정하는 학설은 아니지만 ‘한단고기(桓檀古記)’ 등에 따르면 한민족사는 환인이 다스리는 환국에서 환웅이 건국했다는 배달국으로, 그리고 단군이 세운 고조선으로 이어진다. 치우는 배달국의 14대 천왕으로 매우 용맹스러웠으며 중국인의 조상인 황제(黃帝)와 많은 전쟁을 치러 그들에게 공포감을 심어줬다고 한다. 그러나 치우는 황제와의 마지막 싸움에서 패하여 죽었다. 중국 민족은 이러한 치우를 군신으로 받아들여, 한(漢) 고조 유방(劉邦)은 전쟁에 나갈 때마다 치우천왕의 사당에 제를 올렸다고 한다.

1/6
글: 이정훈 동아일보 신동아 차장 hoon@donga.com
목록 닫기

중국은 왜 고구려사를 삼키려 하는가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