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포커스

현대차가 재야운동권 386 해외연수 지원한 까닭

참여정부 인맥 구축인가, 反재벌 정서 완화전략인가

  • 글: 엄상현 동아일보 신동아 기자 gangpen@donga.com

현대차가 재야운동권 386 해외연수 지원한 까닭

1/5
  • ●코리아비전센터(소장 조혁), 현대차 지원으로 386 해외연수 보내
  • ●영국-프랑스-인도 12일간 ‘유럽 신좌파정당과 제3의 길 연구’가 목적
  • ●현대차 1차 36명 연수에 4억원 지원, 2,3차 포함 10억원 예산책정 알려져
  • ●주변인들 “조혁, 지난 대선 때 외곽에서 노무현 당선 도왔다”
  • ●조혁은 반미청년회 총책, 안희정 김두수(김두관 장관 동생)와 고대 동문
  • ●386 재야운동권 한 관계자 “비판받아 마땅하다”
  • ●현대차 “참여정부 라인구축 차원 결코 아니다”
현대차가 재야운동권 386 해외연수 지원한 까닭
얼마 전까지 386 재야세력은 사회의 비주류였다. 오히려 반대편에 서 있었다는 표현이 더 정확하다. 이들은 시민사회운동의 중심에 서서 정부 정책을 통렬히 비판하고 재벌기업 등 사회 주류를 향해 날카로운 칼날을 들이댔었다.

그런데 상황이 변했다. 참여정부 출범과 함께 386은 주류가 됐다. 정치·사회적 주류가 된 것이다. 하지만 경제적 주류는 여전히 재벌기업들이다. 그렇다면 이제 386과 재벌기업의 관계는 새롭게 재정립돼야 하는 것일까. 그래서 386과 재벌기업간에 새로운 ‘관계’가 설정된다면 같은 주류로서 서로를 이해하기 위한 ‘발전적인 동거’로 봐야 할까. 아니면 그 이면에 숨겨진 또 다른 목적에 주목해야 하는 것일까.

최근 국내 재벌기업인 현대자동차(회장 정몽구)가 386 재야운동권의 대표격인 조혁(趙赫·40)씨가 조직한 ‘코리아비전센터’를 통해 386을 주축으로 한 시민사회단체 관계자들의 해외연수를 간접 지원한 것으로 드러나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조씨는 1988년 반미청년회 사건의 총책이었으며, 1980년대 초반부터 ‘강철서신’으로 알려진 김영환씨와 함께 학생운동의 핵심이론가로 활동했던 인물이다.

연수일정은 지난 6월22일부터 7월2일까지 12일간으로, 방문지는 영국과 프랑스, 인도 등 3개국이었다. 연수 참가인원은 36명이며 1인당 1000만원 안팎으로 4억원 가량의 예산이 소요된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차는 앞으로도 두 차례에 걸쳐 추가 지원키로 하고 총 10억원의 예산을 책정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번 연수는 ‘유럽의 신좌파정당과 제3의 길에 대한 연구’라는 주제로 진행됐다. 유럽의 대표적인 좌파정당인 영국 노동당과 프랑스 사회당의 현황과 이들이 추구하고 있는 제3의 길에 대한 연구가 주목적이었던 것.



연수일정을 보면 6월23일 ‘영국 노동당 소속 짐 피츠 패트릭(Jim Fitz Patrick·노동당 원내부총무) 의원과의 대화’, 24일 앰네스티 인터내셔널(Amnesty International·국제사면위원회)에서 국제형사재판소(ICC)와 한반도 인권상황에 대한 세미나’ 그리고 25∼27일 3일간 ‘파리8대학 정치대학원 강의’ 순으로 이뤄졌다.

파리정치대학원 강의는 25일 사회당 조르주 애쉬(George Ayache·프랑스 루이벡트 외교부장관 보좌관) 보좌관의 ‘냉전종식 이후의 새로운 국제정세’, 26일 국제 정치석학인 파리8대학 장 마리 뱅상(Jean-Marie Vincent) 교수의 ‘프랑스 좌파의 역사와 현황’, 27일 파리8대학 이환식 교수의 ‘프랑스 노동과 실업’에 대한 주제로 진행됐다. 그리고 대부분의 시간은 유럽 신좌파와 제3의 길을 주제로 뜨거운 토론이 이어졌다. 파리정치대학원은 강의일정을 마친 참가자들에게 수료증을 수여한 것으로 전해졌다.

남은 일정은 인도에서 오르빌 공동체와 현대차 현지공장을 잠깐 둘러보는 것으로 마무리됐다.

한편 이번 연수의 주요 참가자들은 황인성(한겨레통일문화재단 사무총장) 이숭규(열린사회시민연합 공동대표) 이철우(북부비전21 공동대표) 김두수(민주당 개혁특위 위원) 박홍순(커뮤니티파트너십센터 소장) 박인규(인천참여자치연대 사무처장) 강기정(개혁국민정당 광주북갑지구당 위원장) 김정원(밀양시의원) 홍진표(시대정신 편집위원) 김순이(한국청년연합회 사무처장)씨 등이다.

대다수가 시민사회운동을 하고 있는 386 재야운동권 인사라고 볼 수 있는데 특이한 것은 조혁씨와 직·간접적으로 연이 닿는 사람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는 점이다. 또 순수 시민사회운동에서 벗어나 적극적인 현실정치 참여를 위한 범개혁신당 추진에 앞장선 이들과 내년 총선에 직접 출마할 예정자도 포함돼 있다.

1/5
글: 엄상현 동아일보 신동아 기자 gangpen@donga.com
목록 닫기

현대차가 재야운동권 386 해외연수 지원한 까닭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