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운향과(芸香科)에 속하는 유자는 감귤의 사촌뻘 된다. 원산지는 중국 양쯔강 상류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오늘날 중국에서는 유자를 인공재배하지 않는다. 경제적 목적으로 유자를 재배하는 곳은 전세계적으로 우리나라와 일본뿐이다.
고흥, 완도 등이 ‘북방한계선’
과일이 대부분 그렇지만, 유자는 특히 기후 변화에 민감하다. 연평균 기온이 13~15℃를 유지하되 평균 일교차가 15℃ 내외, 최저기온이 영하 9℃ 이하로 내려가지 않는 곳에서만 유자를 재배할 수 있다. 또한 일조량이 연간 2400시간 이상, 연평균 강수량이 1500mm 이상이어야 한다. 게다가 바람도 알맞게 불어야 한다. 적당한 바람은 유자나무의 증산작용을 촉진하고 광합성을 왕성하게 해주기 때문이다.
이런 기후조건을 갖춘 고흥, 완도, 남해, 거제, 통영, 고성 등 남해안 지역은 유자재배의 북쪽 한계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그중에서도 고흥군은 우리나라 전체 유자 생산량의 30% 가량을 차지할 만큼 유자 재배농가가 많다.
지난 1980년부터 유자농사를 시작했고, 2004년 ‘농산물 가공산업 발전유공 시상식’에서 대통령표창을 받은 영우식품 신영우(60) 사장은 그 이유를 이렇게 말했다.
“고흥군은 유자 재배지로서 천혜의 조건을 갖추고 있습니다. 우선 바다를 끼고 있어서 겨울에도 별로 춥지 않고 습도가 높아요. 그런데도 안개가 잘 끼지 않습니다. 일조량이 풍부해야 유자향이 좋거든요. 그리고 토질이 좋습니다. 황토가 많아서 땅이 기름져요. 유자 묘목을 처음 보급한 곳도 고흥입니다.”
우리나라의 유자 농사는 1980년대 들어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그전까지는 집 주변에 한두 그루 심어놓았을 뿐, 오늘날 같은 대규모의 유자밭은 찾아보기 어려웠다. 유자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즐겨 먹는 사과, 배, 감과는 달리, 제상에 올리거나 약용으로만 쓰이던 과일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다 1980년대 초에 유자 가공식품이 선보이고 유자가 건강식품이라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유자에 대한 수요가 크게 늘기 시작했다.
폭발적인 수요로 유자 가격도 폭등했는데, 1986∼88년에는 유자 값이 당시 감귤의 10배인 kg당 6000원선까지 치솟았다. 그래서 유자나무 한 그루만 있으면 자식을 대학까지 보낼 수 있다고 해서 유자나무는 ‘대학나무’로도 불렸다. 1kg에 3000∼5000원을 유지하던 1990년대 초까지만 해도 유자는 그야말로 ‘황금과일’이었고, 유자 주산지인 고흥군 풍양면이나 두원면 등지에서는 연간소득이 1억원을 넘는 ‘유자갑부’도 한둘이 아니었다. 당시 유자 수확기에는 ‘동네 개도 만원짜리를 물고 다닌다’는 우스갯소리까지 나돌 정도였다고 한다.
이처럼 유자 값이 천정부지로 치솟자 남해안 일대에는 유자밭이 급격하게 늘어났다. 1986년에 405ha였던 재배면적이 10년 뒤인 1996년에는 무려 13배 가량 증가한 5121ha에 이르렀던 것. 마침내 1997년 유자 재배농가들은 된서리를 맞았다. 재배면적의 증가로 공급이 넘쳐난 데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IMF 환란 이후 유자 수요가 급감하면서 가격폭락 사태를 빚은 것이다. 1kg에 2000∼3000원 하던 유자 값이 불과 1년 사이에 500∼800원대로 내려앉았다. 그 후로 몇 해 동안이나 약세를 면치 못하던 유자 가격은 ‘웰빙 바람’이 불기 시작한 두어 해 전부터 차츰 회복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유자는 우리나라에서 나는 과일 중에서도 향기가 가장 진하다. 다른 한편으로는 가공되지 않은 생육을 먹을 수 없는 유일한 과일이다. 생유자는 한 입만 베어먹어도 인상이 저절로 찌푸려질 만큼 쓴맛이 강하다.
하지만 유자만한 ‘웰빙식품’도 없다. 몸에 이로운 성분을 꼼꼼히 따져보면, 과일이 아니라 숫제 만병통치의 명약처럼 여겨질 정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