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제4부 - 서울과 궁궐, 평양과 성곽 이야기

남문을 열고 파루를 치니

제4부 - 서울과 궁궐, 평양과 성곽 이야기

2/15
제4부 - 서울과 궁궐, 평양과 성곽 이야기

<b>경복궁 향원정(香遠亭) </b>경복궁 후원의 정자. 인공연못인 향원지에 작은 섬을 만들고 2층 정자를 세워 나무 구름다리 취향교(醉香橋)를 통해 건너 다니게 했다. 아래와 위층이 같은 크기이며 겹처마와 육모지붕으로 단장한 화려한 정자다. 고종 초기인 1860~70년대에 지어졌는데, 추녀마루가 모이는 곳에 탑 모양의 기와장식을 얹어 치장했다.

제4부 - 서울과 궁궐, 평양과 성곽 이야기

<b>경복궁 강녕전(康寧殿) </b>국왕의 침전(寢殿). 정면 11칸, 측면 5칸의 큰 건물이다. 1592년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진 것을 1865년 경복궁 중건 때 다시 지었다. 1917년 창덕궁 희정전(熙政殿)이 소실되자 강녕전을 헐어 그 재목으로 중건했다. 현재 경복궁에는 강녕전이 새로 복원됐다.

제4부 - 서울과 궁궐, 평양과 성곽 이야기

<b>경복궁 집옥재(集玉齋) </b>경복궁이 중건된 뒤에 건립된 고종의 서재다. 중국풍 건물로 장방형의 높은 석조기단 위에 세워졌다. 중앙에 돌계단이 있다. 왼쪽의 팔각 2층 건물은 서고인 팔우정(八隅亭). 오른쪽으로 언뜻 협길당(協吉堂)이 보인다.



2/15
편집기획·진행: 황일도
목록 닫기

제4부 - 서울과 궁궐, 평양과 성곽 이야기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