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권말부록|고지혈증 ‘기름청소’로 뿌리뽑자!

핏줄 막혀 일어나는 온갖 합병증

  • 김영조 영남대의료원 순환기내과 교수 / 신영우 부산대병원 순환기내과 교수

핏줄 막혀 일어나는 온갖 합병증

1/3
핏줄 막혀 일어나는 온갖 합병증

혈관이 깨끗해야 심장도 튼튼해진다.

대기업 간부로 은퇴한 박모(63)씨. 10년 전부터 나름대로 건강을 지키기 위해 금연, 절주 그리고 규칙적인 운동을 해왔다. 하지만 그는 건강과 관련하여 중대한 실수를 저질렀다. 건강 체크를 하긴 했으나 한쪽에 치우쳤던 것. 박씨는 10여 년 전에 당뇨 진단을 받았다. 그런데 박씨는 당뇨 한 가지에만 관심을 기울였다. 혈당 수치를 정기적으로 체크하면서 상태가 나빠지지 않자 안심한 것이다. 당 수치 한 가지만 믿고 다른 질환에 대해서는 건강관리를 하지 않은 까닭에 그는 결국 뇌졸중으로 쓰러졌다.

박씨의 경우는 안타까운 사례다. 혈당 수치를 체크하는 김에 다른 것도 종합적으로 검진했으면 막을 수 있는 병이었다.

고지혈증은 단지 혈액이 끈적끈적해지는 것만으로 끝나지 않는다. 심혈관계에 악영향을 끼치는 질환의 단서를 제공하여 각종 심혈관 질환을 유발한다. 더욱 무서운 것은 여러 질환을 동시에 유발한다는 것이다. 고지혈증은 눈에 보이는 증상이 없이 슬그머니 다가와 심근경색, 협심증, 뇌졸중 등 심각한 심혈관 질환을 일으켜 생명까지 위협하는 병이다.

실제 미국 프레이밍햄 연구(Framingham Study)에 따르면,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으면 심혈관 질환 발생률이 정상인보다 크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콜레스테롤이 10% 감소하면 심장 질환에 의한 사망률이 20% 낮아지고, 심근경색 발병률도 17%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총 콜레스테롤 수치보다 LDL 콜레스테롤(나쁜 콜레스테롤) 수치가 더욱 중요한 것으로 알려지고, LDL 콜레스테롤 수치가 30mg/dl씩 떨어지면 심장 사고가 30%씩 감소한다고 한다.

동맥경화증은 1차적 위험인자



고지혈증이 생기면 가장 주의해야 할 것이 바로 동맥경화증이다. 동맥경화증은 심혈관 질환의 가장 일반적인 원인이자 주범이다. 심혈관 질환을 일으키는 모든 위험인자들은 1차적으로 동맥경화증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다음 단계에서 여러 심혈관 질환으로 발전한다. 따라서 동맥경화증은 고지혈증이 심혈관 질환으로 뚜렷하게 진행되는 중간 경로라고 할 수 있다.

동맥경화증은 혈관에 지방 덩어리인 죽종(plaque)이 생겨 혈관이 좁아지고 혈류를 방해하는 질환이다. 죽종이 생기는 가장 큰 원인은 동맥혈관 벽에 쌓이는 지질 혹은 섬유질 침전물이다. 이렇게 형성된 죽종은 동맥 내경을 좁게 한다. 이렇게 되면 심장, 뇌와 같은 중요한 기관에 공급되는 혈액의 양이 줄어들거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해 산소와 필수 영양소가 공급되지 못한다. 이런 현상을 허혈이라 한다. 허혈 상태가 계속되면 각종 증상이 나타나고 급기야 혈액의 흐름이 완전 차단되므로 장기 손상이 일어난다.

특히 최근 급증하고 있는 대사성 증후군은 심혈관계 질환 가운데 가장 위험한 지표다. 대사성 증후군은 복부비만, 고지혈증, 고혈압, 고혈당 같은 질병이 한 개인에게 복합적으로 혼재하는 경우를 말한다. 대사성 증후군을 이루는 각 질병은 각기 다른 원인이 있는 것이 아니고 어느 것이라도 한 가지가 생기면 서로가 서로를 불러오는 질환의 뿌리와 같은 것으로 생각하면 된다. 고혈압이 있는 사람은 3~4년 후 당뇨병을 앓는 경우가 많은데 바로 이런 이유 때문이다.

그러므로 대사성 증후군을 가진 사람은 이런 요소들이 합동으로 작용하여 혈관의 동맥경화증을 급속도로 진행시켜 동맥경화성 심장병의 발생률을 높이므로 특히 위험하다.

대사성 증후군의 가장 큰 원인은 인슐린 저항성에 있다. 인슐린 저항성은 복부비만 때문에 생기고, 복부비만은 고지방식으로 체내에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이 증가해 생긴다. 한국인의 열량 섭취 중 고지방식이 차지하는 비율은 1969년 7.2%에서 2001년 19.5%로 크게 늘었다. 이를 반영하듯 총 콜레스테롤 수치는 1990년 161mg/dl에서 2002년 191mg/dl로, 동맥경화증으로 인한 사망률은 인구 10만명당 10명에서 25명으로 급증했다. 여기에 다른 동맥경화증을 유발하는 운동 부족과 스트레스, 흡연 등이 더해지면 동맥경화증의 진행이 더욱 빨라지므로 고지혈증이라는 불씨에 기름을 붓는 격이 된다.

1/3
김영조 영남대의료원 순환기내과 교수 / 신영우 부산대병원 순환기내과 교수
목록 닫기

핏줄 막혀 일어나는 온갖 합병증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