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강기능식품인 글루코사민을 선전하는 광고 문구들이다. 요지는 글루코사민이 관절과 연골의 구성성분이며 관절과 연골을 튼튼하게 해준다는 내용. 글루코사민이 관절염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요즘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지난 5월 어버이날 즈음엔 홈쇼핑사 건강식품 부문 판매 1위를 차지했다.
글루코사민 관련제품도 봇물이 터진 듯 쏟아져 나오고 있다. 대형 식품업체는 물론 중견 제약회사와 건강식품 업체까지 30여 개사가 앞다퉈 제품을 내놓다보니 종류도 수백 가지에 이른다. 일부 전문병원에서는 아예 병원 이름을 딴 제품을 내놓을 정도다. 시장 규모도 지난해 300억~400억원에서 올해는 1000억원 이상으로 급성장할 전망이다.
글루코사민이 이처럼 뜨는 이유는 무엇일까. 글루코사민은 과연 어떤 제품이며 그 효과는 어느 정도일까. 부작용은 없을까.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유례를 찾아보기 어려울 만큼 노령화 속도가 빠르다. 현재 우리나라 노인 인구 비율은 9% 정도로 대표적 고령화 사회로 꼽히는 일본의 절반 수준이지만, 2050년경에는 세계 최고령 국가가 될 전망이다.
노령 인구 증가와 함께 만성 퇴행성 질환을 앓는 노인이 늘면서 노인 진료비도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지난 1/4분기 노인 진료비는 1조380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조1400억원보다 22%나 급증했다. 이 수치는 병원을 찾아 치료를 받은 비용만 합산한 것이다. 다른 의료비용까지 합하면 규모가 훨씬 커진다.
이 같은 추세는 암이나 만성 퇴행성 질환을 앓는 노인이 지속적으로 늘기 때문이다. 그런데 정통의학적 치료법은 이미 한계에 봉착해 있다. 이런 한계를 비집고 환자들의 기대를 모으는 것이 바로 ‘보완대체의학’이라는 새로운 분야다.
75세 이상 대부분 관절염 앓아
정통의학적 방법으로 치료받아온 만성질환자의 상당수는 그동안 뚜렷한 치료효과도 없이 계속된 약물 복용으로 크고 작은 부작용에 시달려왔다. 이런 환자들 중에는 눈에 띌 정도의 효과를 기대하긴 어려워도 부작용이 적은 건강기능식품에 기대는 게 차라리 낫다고 생각하는 이가 많다. 특히 섭생을 중요시하는 우리 정서상 몸에 좋다는 식품이나 요법은 이들의 관심을 끌기에 충분하다.
대표적인 만성질환의 하나가 관절염이다. 나이가 들면 누구나 뼈마디가 쑤시고 아픈 증상이 생긴다. 우리나라의 경우 55세를 넘으면 약 80%, 75세 이상에서는 거의 모든 사람이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관절염 증상을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4.7%, 65세 이상 인구의 25%가 치료가 필요한 관절염 환자로 알려져 있다.
관절에는 쿠션 역할을 하는 부드럽고 매끄러운 연골이 있어 단단하고 거친 뼈끼리 서로 맞부딪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런데 나이가 들면서 그동안 많이 사용한 관절의 연골이 닳아 없어져 뼈끼리 서로 부딪치게 되고, 이에 따라 염증과 통증이 생기면서 관절 운동도 잘 안 되는 증상이 나타난다. 그래서 퇴행성 관절염이라고 한다.
EU에선 ‘치료약’, 美에선 ‘건강식품’
관절염은 우리 몸의 140여 개 관절에 모두 생길 수 있지만, 체중이 가장 많이 실리는 무릎에 생기는 관절염이 대표적이다. 한번 닳아 없어진 관절 연골은 재생시킬 수 없으므로 관절염은 완치가 어렵다. 진통소염제를 복용하거나 스테로이드 또는 하이알루론산을 관절에 주입하는 것이 주된 치료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