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함정임의 핫 픽션 터치

행복의 추구, 한 청년의 일생

  • 함정임│소설가·동아대 문예창작과 교수 etrelajiham@empal.com│

행복의 추구, 한 청년의 일생

2/2
신문 사회면에 실린 이 치정 사건을 그르노블의 유명한 변호사의 아들이던 스탕달이 읽고 청년의 ‘격정’에 깊은 인상을 받는다. 이 이야기는 소설의 중요한 골격으로 수용되는데, 소설의 주인공 쥘리앵 소렐이 출세(신부가 되느냐 군인이 되느냐)를 위해 불태워야 했던 사랑, 또는 욕망의 대상인 두 여인, 곧 레날 부인과 마틸드 중 레날 부인과의 관계로 표출된다. 작가는 소설 속에 이 사건을 변형시켜 스쳐 지나가듯 삽입시키고 있는데 그 대목을 보면 이렇다.

기도대 위에서 쥘리앵은 읽으라고 거기 펼쳐놓은 듯한 인쇄된 종이 한 장을 눈여겨 보았다. 그는 눈길을 돌려 다음의 문장을 보았다.

‘브장송에서 집행된 루이 장렐의 최후의 순간과 처형 상보(詳報)…’

종이는 찢겨 있었다. 뒷면에서는 문장의 첫 단어가 눈에 들어왔다.

‘첫걸음.’



‘누가 이 종이를 여기 갖다놓았을까?’하고 쥘리앵은 생각했다. ‘가엾고 불쌍한 사람, 이 사람은 내 성(姓)과 끝 글자가 같네…’

그는 한숨을 쉬며 이렇게 덧붙이며 종이를 구겨버렸다.

-스탕달, ‘적과 흑’ 제5장 협상에서

베리에르 시장의 아내인 레날 부인의 사랑이 순수하고 정적인 심리전이라면, 파리 라몰 후작의 외동딸 마틸드와의 사랑은 변덕스럽고 역동적인 심리전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 이야기 역시 실제 있었던 치정 사건을 모티브로 창작된 것이다. 일명 1829년에 일어난 ‘라 파르그 사건’. 라 파르그라는 가난한 가구세공사 청년이 질투로 변심한 애인의 목을 잘라 죽인 사건을 가리킨다. 라 파르그는 베르테처럼 처형되지 않고 5년형을 언도받는데, 마르세유에서 이 기사를 접한 스탕달은 가난하지만 훌륭한 교육을 받고도 ‘무서운 정열’의 희생자가 된 라 파르그라는 청년에게 고무되어 일사천리로 소설의 초고를 써내려간다.

1830년, 있는 그대로의 프랑스

레날 부인은 미슈 부인의 분신으로, 마틸드는 ‘베르테 사건’의 코르동 양과 ‘라 파르크 사건’의 여주인공, 그리고 당시 스탕달 주변에 출몰했던 파리 사교계의 정열적인 여인들이 투영되어 형상화된다. 쥘리앵 소렐과 레날 부인, 그리고 마틸드 양이 실제 모델을 가진, 남의 불행을 훔쳐보는 재미가 충만한 통속 연애 소설로 읽기에 모자람이 없다. 그러나 작가가 이들을 주인공으로 선택한 이유는 정작 다른 데 있다. ‘1830년대의 연대기’라는 부제가 말해주듯, 그리고 서머싯 몸이 지적하듯, 가난하지만 우수한 두뇌, 강한 의지력, 대담한 용기를 품은 쥘리앵 소렐이라는 희대의 풍운아를 통해 작가는 ‘1830년의 있는 그대로의 프랑스’를 그리는 데 목표가 있었다.

‘우리는 소설에서만 진실(진리는 이미 존재하지 않는다)에 도달할 수 있을 뿐이다’ 요즘 나날이 확신을 더해 가는데, 어디서든 소설 이외에서 그것을 찾는 것은 건방진 생각이다. 그러므로…(원문은 여기에서 중단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인용자 주) -스탕달 소장본의 ‘적과 흑’ 1쪽 기록에서

그러므로 스탕달은 ‘진실’을 향한 혁명가의 소명으로 소설을 써야만 했던 것. 절망과 한탄이 묻어 있는 작가의 이 고백은 대혁명이 남긴 열기와 그 후 이어지는 격변의 시간을 거치면서 진실은 더 이상 찾아볼 수 없게 된 것을 드러낸 것이다. 작가의 화두는 극심한 혼란기를 살아가는 인간들의 진실은 어디에 있고, 그것에 다가가는 방법에 있었던 것. 변방 코르시카 섬 출신의 나폴레옹이 장교가 되고 황제가 되기까지의 파란만장한 역정을 가슴 깊이 품고 출세의 야욕에 불타는 쥘리앵 소렐의 위선은 작가가 그토록 심혈을 기울여 도달하고 싶었던 진실의 역설인 셈. 정열과 진실의 추구, 그것은 궁극적으로 스탕달의 신념이었던 지고한 행복의 추구를 의미하는 것.

그르노블에서의 이틀, 그르네트 광장을 떠나 ‘있는 그대로’의 진실을 위해 프랑슈콩테의 요새 도시 브장송으로 향했다. 레날 부인과 헤어진 뒤 신부의 부푼 꿈을 안고 브장송의 신학교를 향해 떠나던, 야망에 사로잡힌 불온한 청년 쥘리앵 소렐의 복잡미묘한 마음을 헤아리며. 브장송에서 성벽을 서성이는 아름다운 청년을, 혹시 만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즐거운 몽상을 하며.

멀리 보이는 산마루 위로 검은 성벽이 눈에 띄었다. 브장송 성채였다. 그는 한숨을 내쉬며 말했다. 만일 내가 이 고상한 전쟁도시를 지키는 연대의 소위로 이곳에 왔다면 내겐 이곳이 얼마나 다른 모습으로 보였을까! (중략) 브장송은 프랑스에서도 가장 예쁜 도시 중 하나일뿐더러 용기와 재주 있는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곳이기도 하다. (중략) 도개교를 지났다. 1674년 포위공격 때의 역사로 머리가 가득 찬 그는 신학교에 틀어박히기 전에 성벽과 성채를 보고 싶었다. (중략) 큰 길에 있는 커다란 카페 앞을 지날 때, 그는 몇 시간 동안이나 성벽의 높이며 참호의 깊이, 대포의 무시무시한 모습에 정신을 쏟았다. 그는 놀라서 꼼짝 않고 있었다. -스탕달, ‘적과 흑’ 제24장 현청 소재지에서

신동아 2010년 9월호

2/2
함정임│소설가·동아대 문예창작과 교수 etrelajiham@empal.com│
목록 닫기

행복의 추구, 한 청년의 일생

댓글 창 닫기

2023/04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