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화 ‘광해, 왕이 된 남자’에서 배우 이병헌이 연기한 광해군. 영화의 내용과 달리 의학적 사료를 통해 만난 그는 의외로 소심하고 항상 불안해하는 ‘보통사람’이었다.
대다수의 사람이 그들보다 장수하지 못하는 것은 이런 습득된 지혜를 누구나 아는 ‘귀찮은 지식’으로 치부하고 훨씬 적은 노력으로 훨씬 쉽게 건강해지려 하는 까닭이다. 게으름은 동서양 의학을 막론하고 건강과 장수의 최대 적이다.
속이 불처럼 타다
지난해 ‘광해, 왕이 된 남자’라는 영화가 관객몰이를 했다. 재미와 더불어 독특한 상상력이 관객을 사로잡았지만 역사학도는 사료와는 거리가 먼 내용 때문에 불편해했던 게 사실이다. 건강 측면도 마찬가지다. 영화는 광해군 이혼(李琿·1575~1641)을 아주 건강한 남성으로 표현했지만 의사의 눈에 그의 실제 삶은 그렇지 않아 보인다. 자신의 건강을 무속에 맡기고 여색을 탐하면서 섭생에는 게을렀다.
인목대비를 폐위하고 영창대군을 죽이는 등 폐모살제(廢母殺弟)의 죄를 저지른 패륜의 왕, 인조반정에 의해 폐위된 왕. 그의 삶에 거창한 무엇이 있을 것 같지만 의학적 사료를 통해 만난 그는 의외로 소심하고 늘 불안해하는 ‘보통사람’이었다.
‘조선왕조실록’(이하 실록)은 광해군의 건강에 뭔가 큰 문제점이 있음을 즉위년(1608)부터 기록했다. 인목대비의 광해군 챙기기가 그 실마리다. 그녀가 약방에 내린 교서에는 광해군의 실상이 그대로 드러나 있다.
“주상이 지난번부터 침식을 제대로 하지 못한다고 들었지만 미처 상세히 알아보지 못했는데 어제 문안할 때 친히 본 즉, 정신이 예전과 달라 혼미한 듯하고 너무 심하게 야위었다. 수라도 하루 동안에 한 번이나 두 번쯤 드시는데 겨우 한두 수저만 드신다. 주무시는 것도 2~4시간에 불과하니 어찌 이처럼 안타깝고 절박한 일이 있겠는가.”
광해군 자신도 여러 번 자신의 건강에 대해 진단을 내렸다. 즉위 2년 후 영의정 한음 이덕형(1561~1613)과 만난 자리였다.
“어려서부터 열이 많았고, 이것이 쌓여 화증이 나타났으니 이는 조석 간에 생긴 병이 아니다. 항시 울열증(鬱熱症)을 앓아 자주 경연을 열지 못했다.”
화증(火症)과 심질(心疾)은 실록(광해군일기) 기록상 광해군이 가장 자주 토로한 질병이다. 즉위 3년 영의정에 오른 이원익(1547~1634)이 “왕의 건강이 좋지 않아 서류 결재가 늦어지고 있다”고 걱정한 대목을 봐도 광해군의 건강에 큰 문제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광해군이 말한 심질과 화증은 신체 내부에 열이 올라 속이 답답하고 괴로운 증상을 말한다. 한의학 관점에서 보면 울열증은 눈에도 이상을 유발한다. 광해군은 이렇게 말한다.
“내가 앓고 있는 병이 안질이고 보면 더더욱 보는 것을 멈추고 조용히 조섭해야 마땅하다. 안질 증세가 아침에는 덜했다가 낮에는 심해지니 나 역시 안타깝기 그지없다.”
예부터 눈이 나쁘면 쇠간을 먹는 것도 간과 눈이 서로 연결돼 있음을 말해준다. 간염이 심해지면 눈에 황달이 먼저 오는 것과 같은 이치다. 한의학에서 눈은 원래 불이 지나는 통로 기능을 한다. 어두운 밤 고양이의 눈이 파랗게 불타오르듯 보이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사물을 포착하는 시력은 모두 불의 작용에 의한 것이다. 화병은 불의 통로에 불을 더해 안(眼) 신경을 위축시킨다. ‘동의보감’은 눈의 병리를 이렇게 설명한다.
‘간에 화가 있으면 피가 뜨겁고 기가 위로 치솟아 오르므로 혈맥이 통하지 않게 된다. 간의 열을 내리면 오장이 안정되어 눈의 여러 가지 증상이 회복된다.’
18세 어린 나이에…
광해군의 건강에 빨간 불이 켜진 결정타는 임진왜란이었다. 1592년 4월 13일 부산에 상륙한 왜군이 파죽지세로 북상하자 선조는 4월 29일 열여덟 살 둘째 아들 이혼을 세자로 책봉한다. 5월 20일 평양에 머물면서 “세자 혼은 숙성하며 어질고 효성스러움이 사방에 널리 알려졌다. 왕위를 물려줄 계획은 오래전에 결정하였거니와 군국의 대권을 총괄토록 하며 임시로 국사를 다스리게 하노니 무릇 관직을 내리고 상벌을 시행하는 일을 편의에 따라 결단해서 하게 하노라”(난중잡록, 조경남)고 천명한다. 조정을 나눠(分朝) 광해군은 전쟁을 수행하게 하고 본인은 일본군에 쫓겨 요동으로 건너가기로 결단을 내린 것이다.
광해군은 1592년 6월 14일부터 분조를 이끌고 평안도 황해도 함경도 강원도 지역을 옮겨 다니며 흩어진 민심을 수습했다. 의병을 모집하고 전투를 독려하며 군량과 말먹이를 수집하고 운반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벌였다. 그가 분조를 끌고 다닌 지역은 험준한 산악과 고개를 넘는 일이어서 거동도 힘들었을 뿐 아니라 왜군과 멀지 않은 지역이어서 심리적 압박감 또한 만만치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