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특집 | 지방권력과 미래권력

“관피아 척결 보여주겠다”

<인터뷰> 차세대 지도자 3인방/ 남경필 경기도지사

  • 허만섭 기자│mshue@donga.com

“관피아 척결 보여주겠다”

1/4
  • ● 미래연대 출신, 한국 정치의 전면에 솟아올라
  • ● 시·도지사 진출 통해 정치개혁 주역으로
  • ● 원희룡, 권영진, 김부겸, 김영춘, 안희정과 모임
  • ● 경기도 연립 정부…독일식 개헌의 시금석
“관피아 척결 보여주겠다”
남경필 경기도지사, 원희룡 제주도지사(이상 새누리당), 안희정 충남도지사(새정치민주연합)는 6·4 지방선거 당선과 동시에 정치권의 블루칩(blue chip·꽤 매력적인 주식)으로 부상했다. 여러 언론은 이 세 명을 ‘차세대 지도자’라는 하나의 카테고리로 묶어 차기 또는 차차기 대권 도전 가능성을 예측한다.

“드라마틱한 승리 축하드려요.” 남경필 경기도지사의 측근에게 전화로 인사를 건넸다. 이어 남 지사와의 인터뷰를 요청했다. 6월 12일 오전 국회로 일정이 잡혔다. 그런데 하루 전 남 지사 측이 연락을 해왔다. “야당과 연정(聯政)을 위한 첫 회의를 추진하는데 야당 인사들이 12일 오전밖에 시간이 안 된다고 하니 인터뷰 일정을 바꿔줄 수 없겠느냐”는 거다. 흔쾌히 동의해줬다.

‘연정이 대단하긴 하네’

잠시 뒤 “남 지사와 새정치민주연합이 12일 오전 국회에서 경기도 연립정부 구성을 위한 정책협의회를 갖기로 했다”는 소식이 뜨기 시작했다. 기자가 인터뷰 일정 변경에 동의해 남 지사 측이 이 일정을 연정 회의 일정으로 바꾼 뒤 언론에 알리고, 언론이 일제히 기사로 써서 포털에 보내고, 포털이 이 기사들을 모바일용 기사들로 등재해 기자가 스마트폰으로 이 기사들을 접할 때까지 수십 분밖에 안 걸렸다. ‘연정이 대단하긴 하네’라는 느낌이 들었다.

인터뷰는 다음 날 오전 경기도 수원시 광교테크노밸리 내 차세대융합기술원에서 진행했다. 이 건물은 안철수 새정치민주연합 공동대표가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 원장으로 재임할 때 원장실로 쓴 곳이다. 안 대표는 여기를 베이스캠프 삼아 ‘청춘콘서트’ 강연을 다니며 ‘안철수 현상’을 전국에 퍼뜨렸다. 남 지사도 융합기술원 8층에 선거 캠프를 뒀다.



남 지사가 쓰는 사무실은 다소 협소해 보였다. 남 지사는 “아주 덥지 않으면 에어컨이 나오지 않아서…”라며 선풍기를 켰다. 조그만 회의 탁자를 사이에 두고 그와 마주 앉았다.

▼ 지난해 10월 제게 ‘경기도지사 선거에 안 나간다’고 했잖아요.

“그러게요. 그때 그랬죠.”

당시 새누리당 의원이던 그는 기자에게 “혹시 경기지사 선거 출마 질문할 건지?”라고 먼저 물었고 기자는 “지금 (질문) 하죠”라고 하자 “그 선거에 출마할 생각 없어요. 원내대표가 돼 개헌을 추진하고 싶어요”라고 말한 바 있다.

▼ 왜 마음을 바꾼 건가요?

“당 지도부에서 ‘당신 아니고는 답이 없다’고 여러 번 종용했어요. (당시 김문수 지사는 경기지사 선거 불출마를 선언했다. 일부 여론조사 결과, 남 의원이 후보가 될 때 여당이 유일하게 승리하는 것으로 나왔다.) 미리 준비하고 있던 병국이 형(정병국 의원)에게 미안했지만 소의를 위해 대의를 외면하기 힘들었어요. 또 안철수 의원이 민주당에 들어가는 중요한 상황 변화도 있었고요.”

“안철수가 몸에 찬물 끼얹자…”

▼ 안철수-민주당의 합당과 남경필의 출마가 어떻게 연결되는 거죠?

“저는 여당 원내대표가 되어 개헌에 헌신할 작정이었어요. ‘여야가 극단적으로 싸우는 후진 정치를 바꾸자, 여야 연정이 일상화한 독일식 권력구조 모델을 도입하자’ 이런 생각이었죠. 기득권 정치와 거리를 두어온 안철수 같은 인물들과도 힘을 합해 중간지대에서 이일을 해볼 요량이었습니다. 그런데 어느 날 안 의원이 민주당에 들어가버린 거예요. 충격이 컸어요.”

▼ 어떤 의미의 충격….

“기득권 정치에 스스로 들어가 그들과 하나가 된 거니까. 정치개혁에 대한 뜨거운 국민적 열망을 한 몸에 받고 있던 인물이 스스로 자기 몸에 찬물을 끼얹어 그 열망을 꺼뜨려버린 셈이죠. 아, 우리 정치의 중간지대가 또 이렇게 사라지는구나….”

남 지사는 여야가 공동정부를 구성하는 ‘독일식 연정 모델’을 개헌의 큰 방향으로 보아왔다. 이러한 개헌 아이디어는 본인이 의정 행보를 접음으로써 유보됐다. 그러나 이 아이디어는 ‘국가 단위’가 아닌 ‘광역단체 단위’에서 훨씬 빨리 현실화할 조짐이다.

1/4
허만섭 기자│mshue@donga.com
목록 닫기

“관피아 척결 보여주겠다”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