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 벌교 뒤편 부용산에 위치한 부용산 노래비. 목포와 연고를 다투던 노래 ‘부용산’이 벌교의 노래임을 만천하에 알린다.


2 부용산에 위치한 ‘망향’ 작곡자 채동선(1901~1953) 묘비. 박화목 시에 곡을 붙인 망향은 한국인의 애창 가곡이다.
3 벌교는 노래 ‘부용산’보다는 조정래의 소설 ‘태백산맥’으로 더 유명하다. 벌교 마을 초입에 있는 태백산맥문학관을 알리는 안내 표지판.
4 ‘태백산맥’에 등장하는 벌교 김범우 집의 모델이 된 고택. 소설의 사실감을 더해주는 주요한 오브제로 작용한다.
5 보물 제304호로 조선 영조 4년 축조한 벌교 홍교. 순천 선암사 승선교(보물 제400호)와 함께 빼어난 아름다움을 자랑한다. 홍교는 교각을 무지개처럼 반원형으로 쌓은 다리를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