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랬던 조폐공사가 최근 들어 확 바뀌었다. 우선 해외수출 실적 소개를 중심으로 언론에 노출되는 빈도가 높아졌다. 기념메달이나 상품권 등 조폐공사가 생산하는 여타 제품에 대한 마케팅도 예전에 비해 훨씬 공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10월 26일부터 사흘간 서울 강남구 대치동 학여울역 무역전시장 SETEC에서 ‘대한민국 화폐박람회(Korea Money Fair)’도 개최한다. 이 행사는 지난 2년간 본사가 있는 대전에서 지역행사로 개최하던 것을 서울로 옮겨 전국 규모, 국제 규모로 확대한 것이다.
그간 조폐공사에선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까? 글로벌 조폐업계에서 ‘개혁의 화신’으로 불리는 윤영대 사장(66)을 만나 최근 조폐공사에 불고 있는 변화의 바람에 대해 알아봤다.
“신용카드 사용과 전자결제의 증가, 5만 원권 발행 등으로 최근 몇 년 사이에 우리 공사의 경영환경이 급격하게 악화됐습니다. 단적인 예로 5만 원권이 발행되면서 2007년 20억 장에 달했던 우리 공사의 화폐 생산량이 지난해에는 4억1000만 장으로 5분의 1 이하로 줄었어요. 화폐 제조라는 우리의 전통적 핵심사업이 거시적 트렌드의 변화로 인해 크게 침식당하고 있다는 의미죠.”
10년 뒤 1조 원 매출 목표
지난해 9월 취임한 윤 사장의 취임 일성(一聲)은 도전과 변화, 혁신이었다. 그는 임직원들과 첫 대면 자리에서 ‘외부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적극적으로 도전하지 않으면 공사의 입지는 갈수록 좁아질 수밖에 없다. 위기를 기회 삼아 도전하고 창신(創新)하는 것만이 공사가 살 길’이라는 메시지를 던졌다. 취임사에는 새로운 성장엔진 발굴, 새로운 시장개척, 새로운 기술개발, 새로운 경영시스템 구축 등 구체적 목표가 담겼는데, 이는 그 후 4대 경영방침으로 정립됐다.
▼ 취임 당시 조폐공사의 상황을 ‘위기 국면’으로 규정했다고 들었습니다.
“앞서 말한 대로 공사의 주력 사업인 화폐사업이 카드 사용, 전자결제, 5만 원 권 발행 등으로 줄어들 수밖에 없어요. 5만 원권이 발행되면서 수표 사용도 줄었습니다. 최근 10만 원짜리 수표 보신 적 있습니까? 스마트폰 사용으로 우표 수요도 줄었습니다. 사업구조 자체가 이렇게 수요가 줄고 있는 사업 위주이니 위기 국면이 아니겠습니까?”
▼ 4대 경영방침을 토대로 새로운 비전을 제시했다는데.
“CEO의 중요한 임무 중 하나는 직원들에게 회사의 비전과 목표를 명확히 제시해서 모든 임직원이 이 비전과 목표를 자기 것으로 체화(體化)하게 만드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취임 후 ‘글로벌 톱 클래스 위·변조방지기업’이라는 새 비전을 설정했습니다. 매출 규모로 보면 우리 공사는 지난해 3600여억 원으로 전 세계 조폐기관 중 12~13위 정도인데, 이것을 창업 70주년이 되는 2021년에는 1조 원대로 끌어올리자는 겁니다. 이는 국내시장에 안주하는 수동적 공기업이 아니라 세계시장을 무대로 뛰는 글로벌 기업이 될 때 현실화될 수 있는 목표입니다. 새로운 성장엔진 발굴, 새로운 시장개척 등 경영방침들도 글로벌 톱 클래스로 올라서기 위한 부문별 전략인 셈이지요.”
▼ 무엇보다 경쟁력 있는 기술이 중요하겠습니다.
“세계 보안시장을 선도하려면 기술이 중요하지요. 우리 5만 원권의 경우 위변조방지 요소가 22가지 들어가 있습니다. 미국 100달러화가 14가지, 일본 100엔화가 14가지, 유로화가 21가지인 데 비하면 상당한 수준입니다. 하지만 나는 남이 만든 것을 복제하는 수준에서 벗어나 남이 아직 만들지 못한 것을 만들어내라고 우리 연구원들을 닦달하고 있습니다. 월드 베스트(World Best), 월드 퍼스트(World First) 기술을 확보해야만 세계무대에서 경쟁력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죠.”
윤 사장은 새 비전과 4가지 경영방침, 그리고 도전·변화·혁신의 자세를 기회가 있을 때마다 임직원들에게 반복해서 강조하고 있다. 매달 초 본사 강당에서 열리는 월례조회를 ‘직원 정신교육’ 용으로 활용한다고도 했다.
“원대한 비전을 전체 직원이 공유하는 것은 다른 무엇보다 중요한 일입니다. 21세기 최고 경영자 중 한 명으로 꼽히는 미국 GE의 잭 웰치 전 회장도 재직 시절 기업 비전을 직원들에게 무한 반복해 강조했다고 합니다. 직원들이 기업이 지향하는 비전과 목표를 자신의 가치체계로 내면화할 정도가 되어야 성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죠.”
사장이 직접 해외 세일즈
올해 조폐공사가 언론의 집중적 주목을 받은 것은 해외 수출 때문이다. 지난 3월 태국 주화 수주를 비롯해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에 은행권용지, 우즈베키스탄 등에 특수잉크를 수출했다는 소식이 전해졌고, 국민 중에는 ‘조폐공사가 우리 돈만 만드는 줄 알았는데 수출도 하는구나’하며 놀라워하는 이가 많았다. 이른바 ‘돈 수출로 돈 버는 기업’이라는 새로운 인식이었다. 하지만 외국 화폐를 우리가 만들어 수출한다는 게 생각만큼 쉽지는 않을 터. 화폐란 일반 공산품과 달리 그 나라의 얼굴이자 자존심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