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인터뷰

미국 영재교육 대부 조지프 렌줄리 교수

“외고·과학고·기술고·문학고… 특목고는 많을수록 좋다”

  • 최창봉 동아일보 교육생활부 기자 ceric@donga.com

미국 영재교육 대부 조지프 렌줄리 교수

1/3
  • 한 살. 옆집 아이는 옹알이도 못 한다는데 우리 아이는 문장을 말한다. 세 살. 어젯밤 스치듯 본 영화 대사를 토씨 하나 안 틀리고 그대로 읊는다. 하는 행동마다 범상치 않다. 아무래도 우리 아이는 뭔가 다르다. 이쯤 되면 행복한 의심이 슬그머니 고개를 쳐든다. 혹시 내 아이가 영재? 아이 키우면서 한번쯤 겪는 일이지만 정작 영재에 대한 지식은 부족하다. 영재는 타고나는 것인지 길러지는 것인지, 영재성은 어떤 기준으로 판단해야 하는지…. 영재교육 분야의 세계적 석학인 조지프 렌줄리 교수를 만나봤다.
미국 영재교육 대부 조지프 렌줄리 교수
조지프 렌줄리(72·Joseph S. Renzulli) 미국 코네티컷대 석좌교수와의 인터뷰가 꼬박 하루 미뤄졌다. 렌줄리 교수가 한국행 비행기를 놓쳤다는 것.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열린 영재교육 강연에서 질문과 답변이 계속되는 바람에 비행기 시간을 놓쳤다고 했다. 미국 국립영재연구센터 소장, 백악관 영재양성특별팀 자문위원을 맡고 있는 렌줄리 교수는 70이 넘은 나이에도 미국 전역을 오가며 영재교육에 대한 강연 활동을 왕성하게 하고 있다.

지난 2월12일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와 대성그룹은 한국교총영재교육원(ITEK·Institute for Talented Education of KFTA)을 개원했다. ITEK은 렌줄리 교수의 자문을 받아 올해부터 전국 초·중·고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영재교육 교사양성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 ITEK 개원기념 학술세미나에 참석하기 위해 내한한 렌줄리 교수를 서울 남대문로 대한상공회의소 ITEK 연구실에서 안선영(교육학 박사) 연구위원의 도움으로 인터뷰했다.

“영재성, 언제든 나타날 수 있다”

▼ 영재성은 어느 시기부터 어느 시기까지 나타납니까.

“아주 어릴 때부터 나타날 수 있습니다. 빨리 걸음을 떼거나 말을 하고 물체에 대해 빠른 속도로 반응하는 것 등을 통해 영재성이 있는지 없는지 판단해볼 수 있지요. 그러나 영재성이 나타나는 특정한 시기를 꼭 집어 말하긴 어렵습니다. 영재성은 30대 이후나 노년기에도 발현될 수 있습니다. 시기는 영역별로 차이가 있는데 수학자나 시인은 20대, 소설가는 30~40대, 희곡작가는 40~50대에 특별한 능력이 갑자기 나타나기도 합니다.”



▼ 영재성을 키우는 데 있어 유전적 요인과 후천적 환경 중 어느 것이 더 중요한가요.

“두 가지가 상호 작용해서 영재를 만들지요. 유전적으로 영재성을 타고난다 해도 자유롭고 창의적인 사고를 할 수 있는 환경이 갖춰져야 합니다. 이 둘 중 어느 한 부분이 모자라면 영재성이 제대로 나타나기 어려워요.”

렌줄리 교수는 1970년대에 ‘영재성의 세 고리’라는 개념을 발표해 주목을 받았다. 그때까지 영재를 판단하던 기준은 ‘평균 이상의 지능’ 하나였지만, 그는 ‘과제 집착력’과 ‘창의성’이라는 두 가지 기준을 함께 제시했다. 지능, 과제 집착력, 창의성. 이 세 가지 영역에서 상위 15% 안에 들고 이 가운데 한 가지 분야에서 상위 2% 안에 들어야 영재’라는 그의 이론은 현재 학계에서 가장 설득력 있게 받아들여진다.

“영재는 성취적 영재와 창의·생산적 영재 두 부류로 나뉩니다. 과제 집착력과 창의성이 뛰어난 창의·생산적 영재는 반드시 똑똑한 것은 아니지만 세상을 변화시키죠. 인공심장을 발명한 로버트 자빅 박사는 고교 성적과 미국대학수학능력시험(SAT) 성적이 좋지 않아 미국 대학을 가지 못하고 이탈리아에 있는 의대로 진학했습니다. 지금 그를 합격시키지 않은 미국 대학들은 후회하고 있을 겁니다. 역사적으로 탁월한 업적을 남긴 사람들은 대개 성취적 영재보다는 창의·생산적 영재입니다.”

▼ 영재성을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왜 중요한가요.

“잘못된 교육은 영재성을 사장시킬 수 있습니다. 다양한 교육기회를 주지 않으면 아이들은 지루함을 느끼게 되고, 지적 자극이나 도전욕구도 서서히 잃어버리게 됩니다. 틀에 박힌 교육은 무서운 결과를 가져올 수 있어요. 모든 아이가 영재성을 갖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현재 논의되는 비율(상위 10% 안팎)보다는 많이 존재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니 그들이 영재성을 발휘하도록 기회를 줘야 해요.”

1/3
최창봉 동아일보 교육생활부 기자 ceric@donga.com
목록 닫기

미국 영재교육 대부 조지프 렌줄리 교수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