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1회 상영에도 개봉 두 달 만에 2만7000 관객
관객 대부분 멋쟁이 중장년층
탄탄한 스토리텔링 갖춘 다큐 영화
‘노래에 살고 사랑에 살고’
[정현상 기자]
1000만 관객이 드는 영화가 있는 시대에 겨우 2만7380명이냐고 되물을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다큐멘터리에 극적 요소를 가미한 클래식음악 영화가 이처럼 관심을 받는 것은 기현상이다. 사후 42년이 지난 한 오페라 가수를 아직도 이토록 좋아하고 기억하는 이가 많다는 것이 놀랍다. 소설가 조정래는 “우리가 누군가를 기억하고 기린다면 그는 살아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칼라스는 영화뿐 아니라 인터넷, 유튜브, 음반, 책을 통해 여전히 살아 있다. 칼라스의 페이스북 팔로어는 55만 명이 넘고, 60만8000명이 ‘좋아요’를 눌렀다.
서력(西曆)에서는 예수 탄생을 기점으로 기원전(BC·before Christ)과 기원후로 나누지만 오페라계에선 마리아 칼라스를 기점으로 새로운 시대가 열렸다고 칼라스 이전을 BC(before Callas)라고 하고, 칼라스 이후를 AC(after Callas)라고도 한다
주옥같은 20여 곡 전곡 들려줘
전성기의 마리아 칼라스(왼쪽에서 두 번째). [영화사 진진 제공]
“수많은 오페라 아리아가 마리아 칼라스 목소리로 흘러나와 영화관이라기보다 실제 공연장에서 감상하는 듯했어요. 칼라스의 인간적인 모습들도 가슴을 뭉클하게 해 무척 감동적인 영화였어요.”
50대 O씨는 대단히 흡족해하며, 감상평을 들려줬다. 이날 영화관을 찾은 이들은 대부분 5060세대였다. 머리가 희끗희끗한 중장년층 남녀가 자신들의 우상을 영화에서 다시 확인하고 젊은 시절을 그리워하는 듯했다. 이런 현상에 대해 이탈리아에서 성악을 전공한 공연 칼럼니스트 황승경 박사는 이렇게 표현했다.
“클래식 팬덤의 시초인 마리아 칼라스는 예술적인 역량뿐 아니라 파란만장한 인생으로 인한 신비감 때문에 시간이 흘러도 팬덤 현상이 반복되는 것 같습니다. 칼라스는 백조가 된 미운 오리새끼처럼 불우한 어린 시절을 극복하고 극적으로 등장한 그리스 출신 프리마돈나입니다. 그는 잦은 계약 파기, 출연 거부, 언론과의 불화, 선박왕 오나시스와의 스캔들, 재클린 케네디와의 삼각관계 등 세계적 가십으로 신문 사회면에 자주 등장했지요.
당시 다른 여성 오페라 가수들이 옥구슬 굴러가는 목소리로 사랑의 아름다움을 주로 표현했다면, 칼라스는 극적인 목소리로 인간의 본성과 구원을 드라마틱하게 호소한 아티스트였습니다. 칼라스가 창조한 가상의 인물들은 무대 위에서 살아 움직였어요. 시대가 지나가도 신비스러운 그의 노래와 열정은 주옥같은 선율을 타고 듣는 이의 가슴을 적십니다.”
이 영화는 다른 예술가들에게도 큰 울림을 안겨준다. 소설가 이경란 씨는 SNS 문자로 영화 소감을 이렇게 적어 보냈다.
“영화 ‘필라델피아’에 상처 입은 짐승들이 서로를 핥듯 주인공들이 비탄에 잠겨 춤추는 장면이 있다. 마리아 칼라스의 목소리를 처음 새겨들은 건 그 장면에서다. 오페라 ‘안드레아 셰니에’의 아리아 ‘어머니는 돌아가시고(La Mama Morta)’가 흘러나온다. 깊고 슬프고 뜨겁고 서늘한 목소리. 그건 비단 영화의 서사 때문은 아니었다. 누구인가, 이렇게 노래하는 사람이.
볼프 감독, 3년간 자료 수집
다큐멘터리 영화 ‘마리아 칼라스’에서 그를 보았다. 타고난 재능과 지긋지긋한 훈련, 그리고 서서히 자신의 삶이 된 노래. 그는 무대의 강자이면서 사랑의 약자였다. 실패한 결혼, 실패한 사랑에서 그는 얼마나 연약한 여성이었던가. 변심을 언론 매체로 전해 들은 후 영원처럼 길었을 시간 후에 돌아온 연인. 그러나 끝내 그를 구원한 것은 연인도, 가족도 아닌 무대였다. 무대 위의 디바는 그 자체로 완벽한 존재였고 그 완벽은 감춰진 눈물로 세공된 것이었다. 불이 켜지고 노래가 시작되면 그는 겨울 들판에 우뚝 선 인고의 기둥이었다. 도저(到底)하고 고독한.”이 영화는 마리아 칼라스의 신비와 매력을 온전히 다 전해준다고는 할 수 없겠지만, 그 일단을 매우 새로운 형태로 보여주고 있다. 우선 마리아 칼라스가 자신의 인생을 자신의 언어로 털어놓는 것이 매력이다. 즉 영화를 이끌어가는 화자가 마리아 칼라스다. 죽은 칼라스가 내레이터라니 어떻게 가능한가. 대역이다. 영화 ‘칼라스 포에버’에서 칼라스 역을 맡은 프랑스 배우 화니 아르당이 화자 역을 맡았다. 그래서 영화 원제가 ‘Maria by Callas: In Her Own Words(칼라스 곁에 마리아: 그가 직접 고백한 말들)’다. 이 내레이션은 언론과의 인터뷰나 날것 그대로의 필름 영상 등이 더해져 극적 요소가 훨씬 풍성해진다. 따라서 클래식 음악에 익숙지 않은 이들에게도 흥미로운 인생 영화로 다가올 수 있다.
톰 볼프 감독도 우연히 마주친 운명처럼 마리아 칼라스의 삶을 발견했다. 어느 날 그는 어떤 음반을 듣고 대단히 매혹됐는데, 그것이 칼라스의 노래였음을 알게 됐다. 그는 “그날 이후 칼라스의 궤도 전체가 나에게 열렸다”고 고백했다. 배우이자 감독인 그는 칼라스의 일생을 담은 다큐멘터리를 제작하기 위해 3년 동안 세계를 여행하며 자료를 수집했다. 그리고 칼라스가 전성기를 누릴 때를 기억하는 이들, 그녀와 가까운 친구, 동료를 만나며 그들이 갖고 있던 미공개 희귀본 음반과 영상, 편지 등을 영화에 담았다. 그래서 이 영화에 새롭게 공개되는 자료가 많다.
“제 안에는 두 사람이 살고 있어요”
볼프 감독은 또 칼라스의 절친 나디아 스탠시오프의 도움을 많이 받았다. 스탠시오프는 칼라스에 대해서 매우 많은 것을 알고 있는 이로 평전 ‘마리아: 칼라스 리멤버드’의 저자다. 칼라스는 그에게 “내가 당신보다 먼저 죽거든 다른 사람들에게 내가 진정으로 어떤 사람이었는지 전해주기 바란다”는 말을 남겼다. 이런 요소들로 인해 이 영화는 칼라스 삶의 진수에 접근할 수 있게 한다.마리아 칼라스를 이해하는 방식은 여러 가지일 것이다. 그의 화려한 생활에 주목할 수도 있다. 그는 누구와도 다른 목소리와 기교로 당대 최고 가수의 반열에 올랐으며, 제트기를 타고다니며 사교 활동에 나서는 화려한 제트족이었다. 괴팍하고 불같은 기질로 유명했으며, 영화배우 그레이스 켈리와 알랭 들롱, 재클린 케네디와 처칠, 디자이너 이브 생 로랑 같은 당대의 셀럽들과 교유하며 살았다.
하지만 볼프 감독은 최고의 명성을 원하는 소프라노 ‘칼라스’와 여성으로서의 평범한 삶을 꿈꾸는 ‘마리아’가 끊임없이 부딪치며 갈등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영화가 시작되면 칼라스가 죽기 3년 전 뉴욕에서 영국 방송인 데이비드 프로스트와 한 인터뷰가 나온다.
칼라스: “제 안에는 두 사람이 있어요. 마리아로 살고 싶지만 칼라스의 모습도 유지해야죠. 그 둘을 최대한 같이 지키려고 합니다.”
프로스트: “둘 중 하나를 정해야 한다면 어느 쪽이 이기나요?”
칼라스: “둘이 공존한다고 생각해요. 왜냐하면 칼라스도 마리아로 살아왔으니까요. 제 노래와 제 일에는 항상 제 자신이 담겨 있습니다. 저는 모든 일에 진심으로 임하니까요. 그래서 누군가 제 노래와 이야기에 정말로 귀를 기울이신다면 저 자신(마리아)을 만날 수 있을 거예요.”
대역으로 투입돼 세계적 소프라노로
마리아 칼라스는 1923년 12월 2일 미국 뉴욕 맨해튼에서 태어났다. 그녀의 본명은 마리아 안나 소피아 세실리아 칼로예로풀로(Maria Anna Sofia Cecilia Kalogeropoulos)이다. 그의 아버지가 성을 칼라스로 바꾸었다. 음악적 재능이 있어 8세 때부터 피아노를 배우며 엄격한 음악교육을 받기 시작했다.1937년 부모가 이혼한 뒤 칼라스는 어머니를 따라 그리스로 갔다. 열세살의 나이로 국립음악원에 들어갔다. 음악원 입학 자격이 17세 이상이었지만 그는 나이를 속이고 입학했다. 노래를 잘하는 데다 키가 컸기 때문에 가능했다고 한다. 그 뒤 아테네 음악원에 입학해 칼라스는 세계적인 가수 엘비라 데 이달고를 사사한다. 칼라스가 평생 존경하며 따른 이달고는 “같은 말을 두 번 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똑똑하고, 가장 먼저 와서 가장 늦게까지 있었던 뛰어난 학생”으로 칼라스의 학생 시절을 회상했다.
이후 1945년 성악 수업을 끝낸 칼라스는 어머니를 떠나 아버지가 있는 미국으로 돌아간다. 꿈꾸던 메트로폴리탄 오페라극장에서 오디션을 보지만 자신에게 어울리지 않는 역을 제안받고 거절했다. 그리고 1947년 이탈리아 베로나 아레나 극장에서 ‘라 조콘다’ 무대로 데뷔하고, 마에스트로 툴리오 세라핀에게 발탁됐다. 26세 때인 1949년 주연 소프라노가 갑자기 빠지면서 대역으로 투입된 오페라 ‘발퀴레’가 성공하면서 세계적 소프라노로 발돋움했다. 이해에 자신보다 28세나 나이가 많지만 ‘첫눈에 반한’ 건축업자 조반니 바티스타 메네기니와 결혼했다.
20대의 마리아는 뚱뚱한 편이었다. 하지만 칼라스는 영화 ‘로마의 휴일’에 나온 날씬한 오드리 헵번에 깊은 인상을 받아 살을 빼기 시작해 1년 사이 30kg을 감량하고 패션에도 눈을 떠 ‘칼라스 스타일’을 만들어냈다.
성공가도를 달리며 전성기를 누리던 칼라스는 어머니와의 불화, 언론에서 터뜨린 자극적 스캔들로 지쳐갔다. 소박한 행복을 원했으나 가수로서의 칼라스를 더 원한 남편과도 갈등을 겪었다. 뒤에 한 언론 인터뷰에서 칼라스는 “아이도 낳고 싶었고 행복한 가정을 이루고 싶었지만 음악이라는 운명에서 벗어날 수 없었다”며 회한을 드러냈다.
1959년 결혼 생활에 염증을 느끼던 칼라스는 자신에게 호감을 표시하던 그리스 출신 선박왕 사업가 아리스토텔레스 오나시스가 초청한 크루즈 여행에 남편과 함께 갔다. 그 여행에서 오나시스와 운명적인 사랑에 빠진다. 영화에서는 당시 상황에 대한 독백이 이렇게 이어진다.
오나시스에 반하다
그리스 선박왕 오나시스와 즐거운 한때를 보내고 있는 마리아 칼라스. [영화사 진진 제공]
유람선 여행에서 돌아온 칼라스는 남편과 헤어지기로 결심한다. 긴 이혼소송과 건강 악화로 힘들어했지만 지인에게 보낸 편지에도 적혀 있듯 ‘아리스토가 있어 더 바랄 게 없는’ 삶이었다. 아리스토는 칼라스보다 17년 연상이었다. 칼라스가 다시 공연을 이어갈 때 그의 음악적 깊이는 한 차원 더 성숙해졌다. 음악에 대한 철학도 달라졌다.
“노래가 멈추면 음악이 시작한다고 하죠. 음악이란 언어로 담기엔 너무 방대하니까요. 하지만 그럼에도 늘 겸손하게 존중하면서 음악을 대해야 합니다. 제게 노래란 자신감의 표현이라기보다 조화의 경지에 닿으려는 노력입니다.”
하지만 성공적인 공연만 있었던 건 아니다. 미국 메트로폴리탄 극장에서는 자기 음악을 고수하는 고집 탓에 그야말로 ‘해고’까지 됐으며, 공연을 취소하는 것으로도 악명이 높았다. 하지만 어려움을 겪을수록 더 단련됐고, 음악적 완성도도 더 향상됐다. 세계의 도시 어디든 가는 곳마다 성황을 이뤘다. 그런 칼라스에게 1965년 엄청난 위기가 다가온다. ‘노르마’ 공연 중 갑자기 실신했다. 대성황을 이룬 뉴욕 공연 이후 심신이 지쳐 있던 것이다. 극심한 불안과 우울증이 찾아왔다. “두려움이 목을 조이고 자신감도 떨어진” 시기였다. 칼라스는 “혼이 소진된 기분”이었다고 당시를 회고했다.
연인 결혼 소식 신문 보고 알아
칼라스는 이때부터 1968년까지 공연 활동을 쉬고, 오나시스에게 헌신했다. 하지만 이 시기에 하필 오나시스는 재클린 케네디에게 관심을 보인다. 칼라스는 불안을 느낀다. 1968년 1월 파리에 머물던 칼라스는 그리스의 오나시스에게 편지를 보냈다.“사랑하는 아리스토, 생일 선물로는 보잘것없지만 할 말이 있어. 지난 8년 반 동안 함께 많은 일을 겪었고 이 말을 할 수 있어 진심으로 행복해. 당신이 자랑스러워. 몸과 마음을 다해 당신을 사랑해. 당신도 나와 같기를…. 자존심 때문에 인정하긴 싫지만 당신은 내 숨이야…. 당신의 영혼, 마리아.”
이처럼 열렬한 사랑을 고백했지만 그해 10월 충격적인 소식이 신문에 보도됐다. ‘재키 케네디, 오나시스와 그리스에서 결혼.’ 칼라스는 엘비라 선생님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머리를 한 대 세게 얻어맞은 느낌이었고 숨조차 제대로 쉴 수 없었다”고 썼다.
위기를 맞이하면 칼라스는 이런 기도를 했다. “신이시여, 좋은 일이든 아니든 원하는 대로 주세요. 하지만 그걸 견딜 힘도 같이 주셔야 해요.” 신은 칼라스에게 정말로 견딜 힘을 같이 줬던 걸까. 말 그대로 칼라스는 그 어려움을 극복해나간다. 이듬해 무대에 오르고자 했으나 여의치 않았고, 파솔리니 감독의 영화 ‘메데이아’에 출연하면서 활동을 재개한다. 칼라스는 1971년부터 2년간 뉴욕 줄리아드 음대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면서 다시 자신감을 되찾는다. 1973년에는 테너 주세페 디 스테파노와 함께 서울 런던 도쿄 등 여러 대도시를 순회하며 공연에 나서 대환영을 받았다. 영화 속 이 장면에서 ‘라 트라비아타’의 주인공 비올레타가 죽음을 앞두고 통절하게 부르는 아리아 ‘지난날이여 안녕(Addio del passato)’이 피아노 선율로 흘러나와 감동을 더한다.
“비망록은 제 노래 속에”
오나시스는 결혼 3년 만에 칼라스를 찾아와 다시 스캔들을 낳았다. 처음엔 거부했던 칼라스도 결국 그를 받아들인다. 오나시스는 재클린과 이혼을 결심하지만 때를 놓치고 1975년 병원에서 숨지고 말았다. 오나시스는 죽기 전 칼라스에게 “난 당신을 사랑했어. 늘 열렬하진 않았지만 내가 할 수 있는 만큼 열심히 최선을 다했어”라고 말했다고 한다. 1976년 칼라스는 다시 무대 복귀를 준비했는데, 샹젤리제 극장에서의 리허설이 형편없었다는 언론 보도로 복귀하지 못했다.1977년 9월 16일 아침 마침내 마리아 칼라스는 53세의 나이로 파리 자택에서 숨을 거두었다. 사인은 심장마비. 그즈음 우울증과 불면증에 시달리면서도 끝까지 무대 복귀를 꿈꾸며 연습했다고 한다. 생전 인터뷰에서 그는 자신의 비망록을 이렇게 언급했다.
“제가 쓴 비망록은 제 노래 속에 녹아 있습니다. 제가 아는 유일한 언어이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