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의 S자 라인이 없어진 거북목 경추.
PMP와 같은 개인용 전자기기를 사용하자면 필연적으로 목을 앞으로 쭉 빼고 숙여야 하기 때문에 근육이 경직되고 목부분 척추인 경추의 부담이 가중된다. 그들의 목은 흡사 ‘거북목’을 닮았다. 이런 경직된 자세로 인해 생긴 통증을 방치하면 목 디스크로 악화될 위험이 크다. 전자기기와 컴퓨터를 많이 사용하는 직장인과 학생들뿐 아니라 최근에는 고령층 인터넷 이용자도 크게 늘어 목 디스크 위험 연령대는 점차 확산되는 추세다.
사람들은 허리 통증을 경험한 적이 많아 허리 디스크에 대해선 비교적 많은 정보를 갖고 있지만 목 디스크에 대해선 잘 알지 못한다. 목 디스크는 치료가 잘못되거나 지연되면 하반신 마비나 전신마비의 위험성이 있어 특별히 주의가 필요한 질환이다. 목을 뒤로 젖히거나 팔의 통증 있는 부위를 돌릴 때 팔이 저리거나 목, 어깨가 항상 무겁고 뻐근할 경우, 고개를 숙일 때 팔과 다리가 동시에 저린 증상이 있고 특히 목보다 어깨와 팔의 통증이 더 심해 참기 어렵다면 목 디스크를 의심할 수 있다. 고령층 환자의 대다수는 이런 증상을 오십견으로 착각해 잘못된 치료를 받는 경우가 적지 않다. 어깨를 치료해도 낫지 않으면 목 디스크일 가능성이 크기에 증상이 진행됐다면 당장 전문의를 찾아 정확한 원인과 치료법을 찾아야 한다.
과거의 목 디스크 수술은 환자의 골반뼈를 이식하거나 금속판 등을 이용함으로써 수술이 어렵고 환자가 고통을 호소하는 사례가 많았다. 하지만 최근에는 인공 디스크가 개발돼 수술의 안전성이 높아졌다. 인공 디스크는 원래의 목 디스크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인접한 상하 디스크에 퇴행성 변화를 초래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술 후 보조기 착용이 필요없어 일상생활 복귀도 빨라졌다. 수술시간이 길고 비용적인 부담이 있는 단점이 있지만 목 운동장애를 초래하지 않는 장점이 있어 최근 시술 횟수가 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