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향긋한 약초 향내 어우러진 스태미너식

새 박사 윤무부 교수의 한방오리백숙

향긋한 약초 향내 어우러진 스태미너식

1/3
  • 오리는 예로부터 한방약재로 쓰였다. 피를 맑게 해줘 비만이나 고혈압, 성인병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전해 내려온다. 허약체질이나 수술한 사람이 보양식으로 애용할 만큼 영양분이 풍부해 ‘날개 달린
  • 작은 소’로도 불렸다. 일부 지방에선 ‘오리발 자식’을 낳는다 하여 임산부에게는 금기했다는 ‘풍문’도 전해진다. 하지만 이 같은 우스개를 믿는 사람은 이제 아무도 없다.
향긋한 약초 향내 어우러진 스태미너식
“새 박사가 새를 먹는다고?”

국내 대표적인 조류학자 윤무부(尹茂夫·62·경희대 생물학과)교수가 어느 방송에 출연해 가장 좋아하는 음식으로 오리요리를 꼽자 주변 사람들이 이구동성으로 되물었던 말이다.

그도 그럴 것이 오리도 새다. 윤교수의 ‘새 사랑’은 남다르다. 부인 김정애씨가 “나 먹을 것은 안 사와도 새 먹이는 사온다”고 푸념할 정도. 그런 그가 오리요리를 좋아한다니 뜻밖이었을 법하다.

2월6일 오후 한방오리백숙을 준비하던 윤교수 집을 찾은 국제청소년환경단체 ‘그린넷(GreenNet)’ 임원들의 반응도 비슷했다. 이들은 올해 초 그린넷 신임 이사장으로 선임된 윤교수와 한해 주요사업계획에 대해 논의하고자 찾아온 길이었다. 이들의 반응을 본 윤교수는 오리집에서 ‘누드’ 상태로 배달된 생오리를 들더니 즉석 강연을 시작했다.

“오리는 겨울철새로 조류 중 생명력이 가장 강합니다. 추운 겨울에 얼음 위에서 지내면서도 동상에 걸리지 않아요. 이건 집오리인데 조상은 청둥오리랍니다. 한 500년 전부터 집에서 길러지면서 퇴화돼 날지 못하다 보니까 살도 찌고, 그래서 뒤뚱뒤뚱 걷게 됐다고 합니다. 하지만 영양은 그대로지요. 기름에 콜레스테롤도 없고, 각종 약초와 함께 푹 익혀 먹으면 원기회복에 아주 좋아요.”



윤교수는 이처럼 좋은 음식을 ‘새 박사’라고 먹지 말라는 법 있느냐는 투다. 어쩌면 이런 논리도 가능하겠다. ‘새에게서 힘을 얻어 새를 위해 일한다(?)’.

윤교수의 연구실은 한반도 전역이다. 그리고 새의 삶터인 자연이 바로 연구대상이다. 윤교수는 1주일에 강의시간 9시간을 뺀 나머지 시간을 거의 산과 들, 바다에서 보낸다. 방학 때도 예외는 아니다.

겨울에는 철새들이 자주 찾는 휴전선과 철원, 천수만, 낙동강 하구, 전남 해남 등지. 봄에는 오대산이나 한라산과 설악산. 여름에는 백령도, 울릉도, 흑산도, 거제도, 홍도 등 섬 지방과 남해 도서연안. 그리고 가을에는 남해안과 서해안, 영종도, 태안반도, 금강하구 등 갯벌지역을 휘돌아 다닌다.

새가 있는 곳이라면 어디든지 상관없다. 전국을 돌며 새를 관찰하면서 사진과 비디오를 찍고 소리를 담는다. 그가 30여 년 동안 모은 자료는 실로 어마어마하다. 새 사진만 약 50만 컷, 비디오 테이프 800여 개. 여기에 직접 채록한 오디오 자료는 흥미를 더한다. 새 소리뿐만이 아니다. 개구리 소리, 매미 소리, 거제도 학동 파도 소리, 동해안 모래밭 파도 소리, 강물 소리, 시냇물 소리, 논물 소리….

1/3
글: 엄상현 기자 gangpen@donga.com 사진: 김용해 기자 sun@donga.com
목록 닫기

향긋한 약초 향내 어우러진 스태미너식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