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정신과 전문의 김병후 산악자전거

정신과 전문의 김병후 산악자전거

1/2
  • 나만을 위한 투자…딴 생각 끼어들 틈이 없다자전거를 타려면 균형을 잘 잡아야 한다. 달리기 시작하면 평균시속 25km에 이르니 잡념이 끼어드는 순간 중심을 잃고 넘어질 수 있다. 오로지 자전거를 타는 데 집중해야 한다. 누구나 발로 페달을 밟아 간 만큼 다시 돌아와야 하니 차별이 없는 것도 매력이다. 정신과 육체에 이만큼 좋은 운동이 또 있을까.
정신과 전문의 김병후 산악자전거
정신과 전문의는 사람의 마음을 치유하는 사람이다. 최신 의약품을 처방하는 것보다, 환자가 누구에게도 말하지 않던 속내를 털어놓았을 때 귀기울이고, 이해해주는 것이 훨씬 중요하다. KBS TV ‘아침마당’에 패널로 고정 출연하며 ‘만인의 상담가’가 된 정신과 전문의 김병후(金秉厚·51) 원장. 그도 나이 50줄에 들어서면서 누군가에게 상담하고, 위로받고 싶어졌다. 그때 시작한 것이 산악자전거다.

“3년 전, 고등학교 동창들과 산악자전거를 타기 시작했어요. 나이 쉰에 가까워지면서 정신적으로 힘들고, 건강에도 신경이 쓰일 때였죠. 그때부터 ‘짝짜꿍’이 잘 맞아 주말마다 만나서 교외로 떠나곤 해요. 운동도 되지만 같은 처지의 친구들을 지속적으로 만난다는 게 굉장한 위로가 됩니다.”

주말이면 친구들과 반포에서 출발해 의정부며 과천, 안양 등지로 떠나는 그는 평일에도 최소 2∼3일은 산악자전거로 출퇴근한다. 일주일에 사흘은 동교동 김병후 정신과로, 일요일을 뺀 나머지 사흘은 청담동 ‘부부클리닉 후’로 출근하는데, 서초동 자택에서 사무실까지 자전거로 달리는 것이다. 그렇게 1시간 남짓 힘차게 페달을 밟고 달리면 한겨울에도 온몸이 땀으로 흥건해진다. 지칠 법도 한데, 사무실 인근 대중목욕탕에서 씻고 나면 몸이 한결 가벼워진다고 한다.

“사무실 가까이에 목욕탕만 있으면 서울시내 어디든 자전거로 출퇴근할 수 있어요. 생각보다 서울시내 자전거 도로가 잘 되어 있어요. 청담동으로 출근할 때는 양재천으로 해서 잠실운동장 쪽으로 돌아오는데 경치가 썩 괜찮습니다.”

그는 “다만 자전거 이용자에게 위협을 가하는 자동차 운전자들을 조심해야 한다”고 충고한다. 자전거 도로가 끊겨 일반 도로를 달릴 경우 대부분의 운전자들이 자전거를 거추장스러운 존재로 여기기 때문. 대형차가 노골적으로 접근해 씽∼하고 달릴 때면 자전거가 쓰러질 듯 휘청거린다.



정신과 전문의 김병후 산악자전거

3년째 매주 주말 자전거를 타는 김병후 원장과 고교 동창들. 왼쪽부터 최승담 한양대 국제관광대학원장, 오준호 한국과학기술원 기계공학과 교수, 이규형 국민은행 소공동기업금융 지점장, 신용운 인하대병원 건강증진센터 소장, 김 원장.

“일본에서는 자동차 운전자들이 자전거 이용자를 배려해주더군요. 우리나라에서는 자동차가 자전거를 마구 밀어붙이기 일쑤죠. 유럽에서는 자동차 도로를 자전거 도로로 바꾸고 있다는데, 우리도 자전거 타기 좋은 환경이 만들어졌으면 좋겠어요.”

자전거를 타기 시작한 후 김병후 원장은 웬만해선 피로를 느끼지 않는다고 한다. 지구력이 좋아진 것도 자전거를 타면서 얻은 소득이다.

1/2
글·구미화 기자 mhkoo@donga.com / 사진·김성남 기자 photo7@donga.com
목록 닫기

정신과 전문의 김병후 산악자전거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