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분단이 안겨준 선물 DMZ ‘에코 파라다이스’로 재탄생한다

강원도 화천군

분단이 안겨준 선물 DMZ ‘에코 파라다이스’로 재탄생한다

1/3
  • 면적의 85%가 임야인 강원도 화천군은 군 전체가 관광자원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북한강 물줄기가 군 전체를 휘감아 흐르고, 높고 낮은 산들이 청량감을 선사한다. ‘평화의 댐’이 상징하듯 북한과 맞닿은 화천은 안보와 평화의 요충지다. 2004년부터 시작된 ‘에코 파라다이스’ 사업은 화천군을 한국을 대표할 녹색관광지로 탈바꿈시키고 있다.
분단이 안겨준 선물 DMZ ‘에코 파라다이스’로 재탄생한다

평화의 댐 위에서 바라본 DMZ.

서울에서 화천으로 가는 길은 크게 두 갈래가 있다. 하나는 지난해 개통된 서울-춘천고속도로를 타고 춘천을 거쳐 화천으로 가는 길이다. 대략 1시간40분 정도면 서울에서 화천군의 중심에 도착한다. 다른 길은 자유로를 타고 파주를 거쳐 연천 철원을 지나 화천으로 가는 길이다. DMZ(비무장지대)를 따라 서쪽에서 동쪽으로 향하는 길인데, 여유 있게 운치를 즐기려면 구불구불한 이 길을 따라 가보는 것도 좋다.

기자는 이전에 화천군을 두 차례 찾은 적이 있다. 동해로 향하던 길에 파로호의 아름다운 풍광에 매료돼, 바다로 가는 대신 선상 낚시터에서 하룻밤을 묵었다. 밤새도록 고기 한 마리 잡지 못했지만, 새벽녘 물안개가 피어오르던 장관을 잊을 수 없다.

또 한번은 산천어축제 때다. 폐막식 날 우연치 않게 지나다 들렀는데, 너무 늦게 도착한 탓에 얼음낚시는 하지 못했다. 그렇지만 강 한가운데에 서서 폭죽이 터지는 멋진 풍경을 넋을 놓고 지켜봤다. 또 가족 모두 썰매에 태우고 한동안 얼음을 지치기도 했고, 인근 음식점에서는 산천어회를 안주 삼아 소주를 마셨다. 짧은 방문이었지만 화천군은 언제 어느 때 방문하더라도 먹을거리와 볼거리, 즐길거리가 풍부한 관광명소였다.

6월7일 세 번째 화천을 방문했다. 한국의 10대 생태관광지로 지정된 DMZ 인근을 탐방하기 위해서였다. 화천군청 입구에는 ‘화천군민의 집’이라는 큰 돌이 명패처럼 서 있었다. 군청이라는 딱딱한 관공서 명칭 대신 ‘집’이라는 표현이 포근한 느낌을 줬다. 청사 입구에 들어서자 로비 상단에 떼를 지어 원을 그리며 노니는 산천어가 그려진 커다란 전등이 방문객을 맞았다. ‘화천군은 산천어가 유명하다’는 점을 상기시키려는 듯했다.

강 위를 걷는 느낌, 산소길



화천군청이 자리 잡은 화천읍 앞으로는 북한강이 굽이쳐 흐른다. 그 강에 기다란 데크가 설치돼 있다. 이름하여 산소길. 100리(40㎞)길로 조성할 계획이다. 현재 6㎞ 정도 조성돼 있는데 가장 큰 특징은 강 바로 위에 길을 낸 데다, 수면과 높이 차가 거의 없어 강 위를 걷는 기분을 느낄 수 있다는 점이다. 바람 소리와 물 소리, 간혹 지저귀는 새 소리 외에 잡음이 거의 없는 산소길을 걷는 것만으로도 충분한 휴식이 된다. 산소길은 화천군이 ‘에코 파라다이스 화천’ 구현을 위해 2004년부터 추진해온 녹색관광자원화 사업 가운데 하나다.

화천군은 관광객이 짧은 시간 안에 화천군의 명소를 두루 돌아볼 수 있도록 ‘수달과 함께하는 북한강 DMZ 생태관광’ 프로그램을 준비하고 있다. 1박2일 일정의 코스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날: 화천군 하남면에 위치한 연꽃단지를 둘러본 뒤, 연을 소재로 음식을 만들어본다. 동그레마을에 들러 야생화도 관찰하고 도자기 공방도 체험한다. 이어 화천읍으로 이동, 북한강변 트레킹에 나선다. 카누를 타고 붕어섬 일대를 돌아보거나, 자전거를 타고 레저도로와 붕어섬을 돌아볼 수 있다.

1/3
구자홍| 동아일보 신동아 기자 jhkoo@donga.com |
목록 닫기

분단이 안겨준 선물 DMZ ‘에코 파라다이스’로 재탄생한다

댓글 창 닫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