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간 이어져온 폭발적 성장세와 엄청난 정치적 영향력 확대를 목도하며 모두들 21세기야말로 명실상부한 중국의 시대가 될 것이라는 전망을 쏟아낸다. 그렇다면 이제 미국에 남은 길은 지나간 시점의 영광을 되뇌며 쓸쓸히 사그라지는 것뿐일까. 미 국무부 정책기획 파트에서 오랫동안 일해온 아시아 전문가 대니얼 트위닝은 “그렇지 않다”고 단호히 고개를 가로젓는다. 시장경제와 자유민주주의라는 가치를 미국과 공유하고 있는 인도를 활용하면 지금의 대세를 근본적으로 뒤집을 길이 있다는 것. 절대적인 경제·안보·군사 협력을 통해 인도의 부흥을 이끌어냄으로써 아시아에서부터 베이징을 견제해나가는 것이야말로 떠오르는 중국의 세기에 맞서는 유일한 방법이라는 이야기다. 21세기를 ‘인도-미국의 세기’로 만들어 자국의 영광을 이어나가야 한다는 그의 이러한 주장은, 세계를 ‘거대한 체스판’으로 보고 행마를 읽는 워싱턴 전략가들이 중국의 부상을 지켜보며 어떠한 그림을 준비하고 있는지 속속들이 보여준다. 영문계간지 ‘글로벌 아시아’ 2011년 봄호에 실린 글을 번역, 게재한다. |
인도는 1947년 독립 이후 냉전이 종식될 때까지 국제정치적 환경과 내부적 한계로 인해 연평균 경제성장률이 1~2%에 지나지 않던 극도로 가난한 나라였다. 그러나 이제 이 나라는 잠에서 깨어나고 있다. 최근의 급속한 성장세가 이어진다면 머잖아 세계 3위의 경제대국이자 가장 많은 인구를 보유한 국가로 발돋움할 것이고, 그에 따라 국제질서의 중심국가로 떠오를 것이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전세계는 중국이 부상하는 동안 느꼈던 심대한 변화를 다시 한번 겪을 것이다. 다행스러운 것은 이번에는 그 변화의 방향이 미국에 좀 더 긍정적일 수 있으리라는 점이다.
돌이켜보면 냉전 기간 인도는 미국과 거리를 두는 전략을 택했지만 이는 매우 이례적인 일이었다. 미국과 소련의 대립구도가 종말을 고하고 세계화가 대세가 된 2000년 이후, 세계의 민주주의 강대국들은 새로운 친분을 쌓아가며 신(新) 세계질서를 만들어가고 있다. 미 국가정보위원회(NIC)는 인도가 이러한 새 세계체제의 ‘경합국(swing state)’이 될 것이라고 분석한 바 있다. 인도가 어떤 행동을 취하느냐에 따라 미국을 비롯한 다른 민주주의 국가들의 장기적인 입지가 결정될 수도 있다는 뜻이다. 과거의 인도가 세계질서로부터 철저히 소외된 나라였음을 감안하면 실로 놀랄 만한 변화다.
혁명적 변화
잠시 시곗바늘을 과거로 돌려보자. 영국의 식민통치 시절까지만 해도 인도는 세계제국의 전략적 중심이었다. 이 시기 인도군은 유럽과 북아프리카, 중동과 동남아는 물론 중국에도 주둔했다. 19세기 초까지 중국에 이어 세계 2위의 경제대국이었던 인도의 경제적 부는 영국이 제국주의적 야망을 이루는 바탕이 됐고 영국의 산업을 일으키는 촉매구실을 했다. 작은 섬나라 영국이 두 차례의 세계대전에서 독일을 쓰러뜨릴 수 있던 배경에는 인도의 인적·물적 자원과 지정학적 위치가 숨어있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독립 이후 인도는 국내적으로 구(舊)소련 식 중앙집권정책을 펼치는 한편 대외적으로는 비동맹노선을 채택했다. 특히 미국이 파키스탄이나 중국과 수교를 맺자 이에 대응해 소련과 암묵적인 동맹관계를 형성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러한 흐름은 인도가 세계 민주주의 국가들로부터 소외되는 결과를 낳았고, 중국과 달리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에서 제외되는 수모까지 겪었다.
비확산 체제가 구축되기 전에 핵실험을 단행한 중국은 핵무기 보유나 거래를 국제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었지만, 뒤늦게 핵 개발에 뛰어든 인도는 국제법에 의해 ‘불량국가’로 간주되면서 기술교역에 제재를 받았고 그로 인한 안보 약화와 경제발전 저하를 감수해야 했다. 특히 1980년대 중국이 인도의 적국인 파키스탄에 미사일 부품을 공급하고 서방세계가 이를 묵인하자 인도의 대(對)서방 인식은 급속도로 악화됐고, 1998년 인도 핵실험에 대해 미국과 중국의 정상이 한목소리로 비판하고 나선 것은 이 같은 인식에 기름을 부었다. 미국은 인도를 억압하는 데 앞장섰고 인도는 이를 강도 높게 비판하던 시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