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만(55)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 신임(제25대) 위원장은 “정부가 노동을 무시한 채 일방통행식, 밀어붙이기식 노동정책으로 일관하면서도 대화를 하자는 건 노동계를 대화 파트너로 인정치 않고 들러리 세우는 것”이라며 노·정 관계 단절의 책임을 고스란히 정부에 돌렸다.
1월 22일, 조합원 93만6800여 명과 단위노조 3300여 개(2013년 12월 현재)를 거느린 한국노총의 새 수장(首長)으로 선출된 김 위원장은 진보 성향으로 분류된다. 스스로는 강성(强性)임을 부인하지만, 주위의 시각은 그렇지 않다. 이미 “경찰의 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침탈에 대한 정부의 사과 없이는 노사정위원회에 복귀하지 않겠다”고 못 박은 데다 통상임금, 임금체계, 노동시간 단축 등 굵직한 노동 현안이 산적한 미묘한 시기여서 노·정 간 대화 재개가 쉽지 않을 것이란 분석이 우세하다.
김 위원장은 또한 정부가 통상임금과 근로시간 단축 등 노동 현안을 다루기 위해 추진 중인 ‘임금·근로시간특위’에 참여하지 않겠다는 뜻도 분명히 했다. 대신 현안을 다룰 기구로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내 특별위원회 설치를 조만간 공식 제안할 것임을 밝혔다.
대화는 서로에 대한 존중과 신뢰를 기본 조건으로 한다. 강경투쟁을 예고한 김 위원장이 3년 동안 이끌어갈 한국노총과 정부는 그간의 ‘평행선 대치’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
옛 한일은행(현 우리은행) 노조 간부로 노동운동에 몸담은 김 위원장은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 위원장, 전태일 열사 기념사업회 이사, 중앙노동위원회 근로자 심판위원, 한국노총 부위원장 등을 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