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민크로스 DMZ 비무장지대 걷기 행사.
별다른 수식 없이 ‘평화운동가’로만 소개된 그는 미국에선 북한 지지 성향의 활동가로 알려져 있다. 한 재미 인사는 “한국과 미국 정부에 반대하는 북한 지지 활동가가 한국까지 건너가 반(反)한국 정부 시위에 참여하는 꼴인데, 일부 언론은 그를 평화운동가로만 소개하더라”고 지적했다. 개그논 씨는 내란선동죄 등으로 징역 9년을 선고받은 이석기 전 통합진보당 의원을 지지한다. 언론이 그를 소개할 때는 ‘북한 지지 성향의 미국인 평화운동가’라고 밝히는 게 옳을 듯하다.
‘Pro-North Korean Group’
재미 과학자 안수명 씨는 ‘대(對)잠수함전(戰) 전문가’ ‘대잠수함전과 알루미늄 흡착과 관련해 가장 권위 있는 전문가’라고 한국 언론에 소개됐다. 영화 ‘천안함 프로젝트’(2013)에는 “수심 20m에서 천안함이 잠수함에서 발사된 어뢰에 맞을 가능성은 거의 없다”는 그의 발언이 담겼다. 2012년 6월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는 “천안함이 북한 어뢰에 피격됐을 확률은 0.0000001% 수준으로 제로에 가깝다”고도 했다. 안씨는 ‘천안함 침몰은 한국 혹은 미국의 작품’이란 견해가 확산되는 데 기여했다.
그는 방위사업체 ‘안텍’의 대표로 일하다 회사를 아들에게 물려줬는데, 안텍이 미국에서 국방 관련 비밀취급 권한을 회복하고자 미국 공군과 체결한 협약서(2014년 4월 30일)에는 그의 북한 관련 행적이 담겨 있다. 이 협약서에 따르면 미국 국방보안원(DSS)은 안 박사의 노트북, 휴대전화 등을 압수수색한 결과 그가 2013년 9월 중국 베이징을 찾아 북한 관료에게 자신이 △미국 해군의 잠수함 전력에 박식하고 △미국의 비밀취급권을 소지하고 있으며 △북한 국적자를 미국 국방부 발주 프로젝트에 참여시키겠다고 제안한 사실을 확인했다.
안씨는 평화운동을 표방한 ‘위민크로스 DMZ(Women Cross DMZ)’에 참여한 ‘원 코리아를 위한 행동’의 J 대표, ‘통일운동가’로 알려진 O씨 등과 교류했으며, 로스앤젤레스에서 인터넷 언론을 운영하면서 북한 정권을 열렬하게 옹호해온 노길남 ‘민족통신’ 대표가 주관하는 행사에도 참여했다. 한국계 미국인이 천안함 침몰과 관련해 합리적 의심을 제기하는 것은 문제가 없는 일이겠으나, 북한과의 관계에서 의심스러운 대목이 있는 사람의 주장을 북한과 관련된 문제에서 대서특필하는 것이 바람직했는지에 대해서는 다른 의견이나 평가가 나올 수 있다.
개그논 씨처럼 한국을 비판하고 북한을 옹호하는 미국 내 단체로는 민족통신을 비롯해 △노동자 세계당 △사회주의·해방 그룹 △코리아 정책연구소 △코리아 전쟁 종언 국민 캠페인 △코리아를 걱정하는 학자 동맹 △평화를 위한 베테랑들 △원 코리아를 위한 행동 △코드 핑크 △재미 자주사상 연구소 △재미동포전국연합회 △LA 시국회의 △노둣돌 △미주 사람 사는 세상 △내일을 여는 사람들 △6·15 공동선언실천 미국위원회 △사발통문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