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활의 발견’
하지만 이율배반적이게도 사람들은 돌아오기 위해 여행을 떠난다. 봉인된 추억을 그리워하지만 그곳이 여행지이기에 추억과 함께 떠오른다. 여행은 일상 속에 침전된 욕망을 추억이라는 이름과 함께 떠오르게 한다. 여행을 아름답게 하는 것은 버리고 떠나올 수밖에 없는, 일탈의 필연성이다. 결국 일상으로 되돌아 올 수밖에 없기에 여행은 추억이 되고 비밀이 된다.
돌아올 곳이 여행지와 같다면, 그러니까 비밀 없이 떠나온 여행지라면 그것은 평범한 지명과 섞여 지도 위의 한 점으로 사위어든다. 하지만 비밀이 있을 때 지명은 추억이 되고, 그곳의 이름은 상처를 남긴다. 그 어느 지명을 말할 때마다, 마음이 어디 있는지 알 수 있게 어딘가 아파온다. 그 지명을 속으로 읊을 때 잘못 깨문 입술에서 새어 나온 피 맛처럼 아릿해지는 것이다.
돌아올 곳이 없다면, 여행이 삶이 되어 유랑이 된다면, 이 아릿함은 사라지고 말 것이다. 돌아올 곳이 있기에 떠난다. 그곳은 일상이 아닌 다른 영역, 어차피 그곳의 삶이 일상을 침투하지 않을 것을 알기에 우리는 다른 나를 겁 없이 그곳에 내놓는다. 여기, 이곳에서와 다른 나를 묻고 온 곳, 여행지. 당신은 혹시 여행지에서 길을 잃어본 적이 있는가. 당신 마음속의 지도에는 어떤 ‘지명’들이 남아 있는가.
이 남자에게 ‘무진’은 치욕과 상처, 모멸과 자학의 공간이다. 서울에서는 유능한 장인과 아내가 승진 자리를 마련해두고 기다린다. 좋지만 싫은 일이다. 성공과 출세는 남자를 우쭐하게 하지만 처가 덕이라는 꼬리표가 이 남자의 자존심을 건드린다. 남자는 초라해진 자신을 이끌고 고향으로 향한다. 안개가 더 먼저 반겨주는 곳, 무진. 남자는 그곳에서 지금보다 훨씬 더 초라한 모습으로 스스로를 괴롭히던 젊은 시절을 만난다. 그리고 고운 소프라노 목소리로 ‘목포의 눈물’을 부르는 여선생 하인숙과 하룻밤을 나눈다.
‘안개’ 속 ‘생활의 발견’

‘생활의 발견’
남자는 자기의 비겁함을 마주하듯, 자신에게 성큼 한발 다가오는 여선생을 물리치지 않는다. 남자는 “누군가가 자기의 손에서 칼을 빼앗아주지 않으면 상대편을 찌르고 말 듯한 절망을 느끼는 사람으로부터 칼을 빼앗듯이 그 여자의 조바심을 빼앗”는다.
그리고 남자는 마지막으로 한 번만 “배반을, 무책임을 긍정하기로” 하고는 서둘러 고향을 떠나 일상이 자리 잡고 있는 서울로 향한다. 또 한 번 남자에게 ‘무진’은 모멸의 공간으로 깊어진다. 이제 지도를 펴고 무진을 볼 때, 남자는 ‘하인숙’이라는 비밀을 떠올리지 않을 수 없다. 무진은 씻을 수 없는 모멸과 상처가 되어 남자의 평생을 따라다닐 것이다.
여기 이 남자는 서울에서 실패를 맛보고 무작정 경춘선 열차에 올랐다. 춘천에 있는 선배를 만나는 게 목적이긴 하지만, 실상 여행 자체가 목적이지 선배는 핑계에 지나지 않는다. 춘천에 간 남자에게 문숙이라는 여자가 다가온다. 문숙은 경수가 찾아간 선배가 마음에 두고 있는 여자다.
그런데 이 여자가 경수에게 말을 걸어온다. 그녀는 빈속에 마시는 소주처럼 빠르게 흡수돼 남자의 일상을 일탈로 끌고 간다. 경수는 뱀처럼 자신에게 감겨드는 여자를 마다하지 않는다.
문제는 그 다음이다. 하룻밤, 춘천의 일탈이었던 여자가 그 이상을 요구하는 것이다. 남자는 당황스럽다. 그래서 숨가쁘게 춘천을 떠나 부산으로 향한다. 재미있는 것은 그 다음이다. 부산으로 가던 경수는 못미처 경주에서 내리고 만다. 자신에게 말을 걸고 유혹하더니 어느 새 훌쩍 경주에 내려버린 선영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