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명박 대통령이 4월22일 저녁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한나라당 18대 국회의원 당선인과의 만찬에 앞서 친형인 이상득 국회부의장 내외와 인사를 나누고 있다.
이명박 대통령의 친형 이상득(李相得·73) 의원이 두 차례 내부 권력투쟁에서 판정승을 거뒀다. 총선 직전 ‘불출마’를 요구한 ‘55인 선상반란’을 뚫고 18대 국회에 입성한 데 이어, 정두언 의원의 ‘권력 사유화’ 파문도 잠재웠다. 동생인 대통령이 진화에 나선 뒤에야 거둔 신승(辛勝)이었다. 내상(內傷)도 입었다. ‘권력 사유화’ 논란 과정에 오른팔 박영준 비서관이 낙마했다.
여권 내부에서 치이는 것도 부담스럽지만 국민 여론도 심상치 않다. ‘형님내각’ ‘상왕정치‘에 이어 ‘모든 것은 형을 통하면 된다’는 ‘만사형통(萬事兄通)’이란 말까지 등장했다.그에게 그만큼 힘이 쏠려 있단 얘기다.
세간의 주목을 받으면 받을수록 활동반경은 좁아들게 마련이다. 이상득 의원 스스로 인터뷰에서 “‘이력서’ 때문에 교회도 못 간다”고 밝혔다.
맑은 날이 있으면 궂은 날도 있고, 오르막길이 있으면 내리막길도 있는 법. 정글의 법칙이 지배하는 권력의 세계에서 ‘아우와 형’의 우애가 언제까지 유지될지는 알 수 없다. 100일 동안 고작 두 차례 기싸움이 벌어졌을 뿐이다. 이명박 정부의 임기는 앞으로도 1700여 일이나 남아 있다.
“국회의원으로 당선은 됐지만, 움직일 수도 없고 말도 제대로 할 수 없는 제 처지가 고통스럽습니다.”
5월17일. 광주를 방문한 이상득 의원은 한나라당 광주·전남 당원들과 가진 간담회에서 ‘대통령의 형’이라는 이유로 감내해야 하는 고충을 토로했다.
두 번의 판정승
다음날인 5월18일 밤. 서울 수유동 아카데미하우스에 친(親)이명박계 중진 및 핵심 의원 31명이 모였다. 이재오 전 의원을 7월 전당대회에서 당 대표로 내세우자는 논의를 하기 위한 자리였다. 그런데 예정에 없이 이상득 의원이 참석하는 바람에 분위기는 ‘친목모임’으로 바뀌었다. 한 참석자는 “당초 취지와 달리 모임 분위기가 이상하게 흘러 당황스러웠다”고 했다.
수유동 회동 이후 이재오 전 의원 측의 지원을 받아 원내대표 경선을 준비해온 정의화 의원이 중도하차했다. 독자적으로 당 대표 출마를 준비하던 안상수 의원도 경선 포기를 선언했다. 이상득 의원이 불쑥 나타나 던진 “정치 얘기는 하지 말자”는 한마디에 ‘이재오 대표 추대’ 논의는 없던 일이 돼버렸다. 총선 직전 이상득 의원의 총선 불출마를 요구하며 ‘55인 선상반란’을 주도한 이재오 전 의원은 자의반 타의반으로 미국행 비행기에 올라야 했다.
‘움직일 수도 없고 말도 할 수 없다’는 그의 얘기는 현실과 다르다. 굳이 말하지 않아도 그의 뜻대로 움직이는 구조다. 정두언 의원의 ‘권력 사유화’ 주장을 계기로 불붙은 제2차 파워게임에서 이상득 의원은 청와대 ‘왕비서관’으로 불리던 박영준 전 비서관을 잃었다. 그러나 이번에도 마지막에는 이상득 의원의 판정승으로 끝났다. 여전히 최고 권력의 균형추가 SD(이상득 의원의 영문 이니셜)에게 있음이 확인됐기 때문이다.
지금은 대통령 아우가 공격받는 형의 손을 들어준 상황이지만, 어린 시절과 학창시절에 이어 사회에 진출할 때까지만 해도 늘 앞서 나간 것은 형인 이상득 의원이었다. 이명박 대통령이 자서전 ‘신화는 없다’에서 “둘째형은 우리 가족의 희망”이라고 표현했을 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