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조성식 기자의 Face to Face ④

여의도순복음교회 담임목사 이영훈

“가진 자가 안 내놓는 게 문제 재벌이 자세 바꾸면 노사문제 풀려”

  • 조성식│동아일보 신동아 기자 mairso2@donga.com│

여의도순복음교회 담임목사 이영훈

1/7
  • ● 우리 사회의 갈등, 지도자들 아집이 원인
  • ● 조용기 원로목사는 나의 영적인 아버지
  • ● 민중신학 참뜻이 순복음 성령운동으로 실현
  • ● 한국 교회 당면과제는 북한 돕기
  • ● 사람이 아파 죽어가는데 교리 따져 뭐하나
  • ● 기독교 편향이 아니라 오히려 역차별받고 있다
여의도순복음교회 담임목사 이영훈

● 연세대 신학과, 순복음신학원 신학과 졸업 <br>● 연세대 연합신학대학원(석사), 미국 웨스트민스터신학교 대학원(석사), 미국 템플대 대학원(종교철학박사) 졸업 <br>● 1982년 목사 안수 <br>● 미국 워싱턴순복음제일교회,일본 순복음동경교회, 미국 LA순복음교회 목사 역임 ● 現 여의도순복음교회 담임목사 <br>● 저서: ‘펜사콜라 기적의 현장 브라운스빌교회’

일요일인 4월5일 오전 11시. 돔형의 오페라하우스를 닮은 여의도순복음교회 본당은 신도들로 발 디딜 틈이 없었다. 등록교인 78만명에 출석교인 30만명으로 단일교회로는 세계 최대 규모라는 이 교회의 예배 열기는 10여 년 전 내가 조용기 목사에 대한 호기심으로 둘러봤을 때나 지금이나 별 차이가 없다.

열기의 발화점은 음악이다. 예배 시작 전 신도들은 단상에 선 남녀 혼성 성가대의 주도로 손뼉을 치거나 손을 흔들며 찬양에 몰입했다. 관현악단의 웅장하고도 섬세한 선율은 염탐꾼처럼 주변을 흘깃거리는 나의 강퍅한 마음을 뒤흔들어놓기에 충분했다.

관현악단과 대규모 성가대의 화력으로 예배 분위기를 돋우는 것은 오늘날 잘나가는 국내 대형교회의 공통적인 특징이기도 하다. 쇼펜하우어는 일찍이 “음악은 다른 모든 예술처럼 현상의 모사(模寫)가 아니라 의지 그 자체의 직접적인 모사”(‘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라고 갈파한 바 있다. 기독교 역사라 할 만한 중세 유럽의 역사만 보더라도 종교와 음악의 관계는 불가분이다. 종교음악을 빼놓고는 음악의 발전사를 거론할 수 없을 정도다. 종교가 인간의 약점을 찌르고 감싸 안는 것이라면 그 수단으로 음악만큼 적절한 것도 없으리라.

지난해 5월부터 조용기 목사 후임으로 이 거대한 ‘종교왕국’을 이끌어가는 이영훈(55) 목사의 설교는 강하면서도 부드러웠다. 설교 도중 예배당 곳곳에 설치된 폐쇄회로 TV에는 특정 용어를 설명하는 자막이 올라왔다. 한글은 물론 영어와 일본어, 중국어 자막이 차례로 떴다.

예배가 끝나고 2층에서 바깥으로 연결된 통로를 지나면서 알았는데, 좌석이 모자라 바닥에 돗자리 같은 걸 펴고 예배 본 사람들이 있었다. 낮 1시에 시작하는 4부 예배의 설교자는 조용기 원로목사. 아직 40분쯤 남았는데, 예배당으로 들어가려는 신도들의 줄이 밀려 있었다. 나는 이 괴이한 풍경에 고개를 흔들며 탈출하듯 밖으로 나왔다.



벚꽃축제를 코앞에 둔 윤중로에는 인파가 넘쳤다. 회사로 가기 위해 택시를 집어탔다. 북한이 로켓을 발사했다는 뉴스가 해일처럼 라디오를 덮치고 있었다. 택시기사가 “미사일이 아니고 로켓인데 뭐가 문제냐”며 내가 순복음교회에 머무는 동안 일어난 세계적 사건에 대해 열을 내며 얘기했는데, 내게는 딴 세상 얘기처럼 들렸다.

“놓고 치는데도 잘 안 맞데요”

이영훈 목사와의 인터뷰는 4월7일 오후 2시간 동안 진행됐다. 취임 후 첫 공식 인터뷰라고 했다. 집무실 중앙 벽면에는 조용기 원로목사의 대형사진이 걸려 있다. 조 목사가 지켜보는 가운데 인터뷰하는 모양새가 됐다.

▼ 봄날이 화창한데 벚꽃 구경 좀 하셨습니까?

“사람 구경하지요.(웃음) 제가 지난주에 미국에서 돌아왔어요. 이번 주가 고난주간이라 특별새벽기도회도 있고 해서 조금 바쁜데, 중요한 인터뷰이기 때문에….”

▼ 가까이 있으면 외려 안 보게 되지요?

“그렇지요. (차로) 지나가면서 보는 정도죠. 제가 워싱턴에서 10년 가까이 살았는데, 백악관 안에는 한 번도 안 들어가 봤어요. 매번 백악관 앞까지만 가고.(웃음)”

▼ 실은 엊그제 예배에 참석해 목사님 설교를 들어봤습니다. 모처럼 안 졸았습니다.(웃음) 이렇게 큰 교회의 담임목사시니 개인시간을 갖기 힘들 것 같은데요. 가족과 함께 보내는 시간도 많지 않을 것 같고요.

“되도록 가족과 함께하는 시간을 많이 가지려 노력합니다. 너무 바쁘다 보면 가정에 소홀하기 쉬운데, 가정생활도 목회의 한 부분이라고 생각하거든요. 그밖에 개인적인 시간은 거의 못 가져요. 모임도 다 교회일과 관련된 것들이지요.”

취미활동을 묻자 이 목사는 “한국에 들어온 뒤 운동을 배워 월요일에 가끔 치고 있다”고 밝혔다. 내가 “작대기 휘두르는 거요?” 묻자 웃으며 고개를 끄덕였다.

“가끔 나가는데 잘 안 되더라고요. 야구는 날아오는 공을 때리는데도 잘 맞는데, 이것은 놓고 치는데도 잘 안 맞더라고요. 공을 치는 것보다는 몇 시간 동안 잔디 위를 걷는다는 생각으로 가끔씩 가까운 목사님들과 교제를 합니다.”

그에 따르면 머리 올린 지 2년 됐는데, 아직 100타 안쪽으로 들어오지 못한 ‘비기너(beginner)’다. 90타 중반이 목표이고 그 이상 잘 치고 싶지는 않다고 했다.

여의도순복음교회 교인 수

지난해 발간된 ‘여의도순복음교회 50년사’에 따르면 여의도순복음교회 등록교인은 76만5301명이다(2007년 기준). 1958년 서울 서대문구 대조동에서 5명의 신도로 출발한 순복음교회가 여의도에 자리 잡은 것은 1973년. 1985년 12월 신도 수 50만명을 넘어섰고, 1993년 2월 기네스북에 70만 신도를 보유한 세계 최대의 교회로 기록됐다.

하지만 실제로 70만명을 넘어선 것은 1996년이다. 2003년 78만8000여 명으로까지 늘었다가 노무현 정부 시절 계속 감소해 2006년엔 75만명대로 떨어졌다.

여의도순복음교회의 본당 좌석 수는 1만2000개. 거기에 지하 부속성전, 교육관, 세계선교센터 등의 좌석 수가 1만개다. 다 들어차면 한 번에 2만2000명이 예배를 보는 셈이다. 7부 예배까지 있으니 일요일 하루 동안 최대 15만4000명이 예배에 참석한다고 볼 수 있다. 교회 관계자에 따르면 주일예배 평균 참석인원은 13만명이다.

그런데 그게 다가 아니다. 시간과 장소의 제약으로 본당에 오지 못하는 신도들이 23개의 지교회와 180개의 기도처에서 위성을 통해 똑같은 설교를 듣는다. 출석교인 수가 30만이라는 것은 이 인원을 다 합해서다. 어느 교회든 출석교인 수는 등록교인 수의 절반쯤 된다.

그런데 실제로 여의도순복음교회 예배에 참석하는 인원은 그보다 많다. 전국에서 600개의 교회가 위성예배에 동참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중엔 다른 교단에 소속된 교회도 많다고 한다.

내년 초 지교회들이 독립하면 여의도순복음교회 교인 수는 40만명 안팎으로 줄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여의도순복음교회의 교역자(목사·전도사)는 600여 명이다.


1/7
조성식│동아일보 신동아 기자 mairso2@donga.com│
연재

Face to Face

더보기
목록 닫기

여의도순복음교회 담임목사 이영훈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