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즘 다시 동창회가 뜬다. 몇몇 포털 사이트와 모바일 업체의 경쟁적 마케팅 결과로 보이기도 한다. 2000년대 초반 열풍을 불러일으킨 동창 찾기 사이트 ‘아이러브스쿨’ 이후 온라인 동창회가 다시 열기를 띠는 양상이다. 개방형 SNS의 시도 때도 없는 초대에 지친 많은 사람은 동문 중심의 폐쇄형 SNS로 돌아선다.
모바일 동창회는 ‘삶의 청량제’
온라인 동창회나 모바일 동창회로 불러야 할 이것은 의외로 삶의 청량제 구실을 한다. 시간을 내 나가야 하는 오프라인 모임이 아니기 때문에, 일단 ‘참가 스트레스’를 덜 받는다. 반면에 상시 소통이 가능한 구조다보니 원할 때 언제나 들를 수 있다. 바쁠 때 꺼둬도 뭐라 할 사람이 없다.
더욱이 개방형이 아니기 때문에, 아무나 들어와 나를 염탐할 여지가 거의 없다. 폐쇄형 SNS는 일종의 해방구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누군가 내 글을 퍼 나를 걱정도 적다. 프로필을 어느 선까지 공개할 것인지 고민할 이유도 없다.
포털이나 모바일 업체가 내놓은 동창회 SNS의 형태도 다양해졌다. 여기선 실컷 수다를 떨 수 있다. 이 열풍은 한동안 이어질 기세다. 그러나 부작용도 없지 않다. ‘아이러브스쿨’이 이미 낳았던 부작용이기도 한데, 남녀 동창 간 부적절한 연애로 이어질 가능성이 없지 않다. 다만 감수해야 할 리스크가 상당히 크므로 잘 생각하기 바란다.
실제 동창회에 열심히 참여하는 사람, 모바일 동창회에 푹 빠져 있는 사람은 대개 순수파다. 이들은 선수에게 거부감이나 적대감을 내비치기도 한다. 동창회에 ‘사업하러 왔느냐’ ‘정치하러 왔느냐’는 불만이다.
그렇다보니 선수는 반창회나 동기회보다는 총동창회 활동에 집중하는 경향이다. 순수파 또는 순수를 가장한 사람이 다수를 이루는 반창회나 동기회를 떠나 더 큰물에서 놀겠다는 것이다. 그 물에서는 순수파가 오히려 소수다. 총동창회의 위계는 사뭇 살벌하다. 친한 듯 살얼음이 살짝 낀 관계망이라고 봐야 하지 않을까.
학창 시절 루저의 ‘회장 욕구’
총동창회 임원진은 그 나름 사회적 검증을 거친 이들의 전유물이다. 직위가 높거나 돈이 많다. 동기회 회장단으로만 짜인 일종의 스크럼 속에서 그들은 다시 지도부를 만들어낸다. 그들만의 리그 안에서 다시 그들만의 리그를 만드는 것이다.
총동창회는 실제로 정치에 뜻을 둔 사람이 모여드는 곳이기도 하다. 출마자의 명함 속에도 자주 등장한다. ‘○○초등학교 총동창회 회장’‘○○고등학교 총동창회 회장’은 물론 ‘○○ 행정대학원 총동문회 회장’ 등이다. 심지어 동기회 회장이나 부회장 직함까지 적어놓기도 한다. 유권자는 자신과 인연이 닿는 출마자에게 호감을 갖는다. 바로 이 점을 노린 것이다. “이번에 출마한 아무개 있잖아? 우리 초등학교 출신이네?” 이런 식이다.
“보고 싶다, 친구야”
특히 선거에서는 지역 연고가 중요하기 때문에, 해당 지역 학교 출신임을 자주 강조하곤 한다. 더욱이 그 학교 출신 중에서도 총동창회 회장을 맡을 정도라면 신뢰도도 함께 올라간다. 아울러 총동창회 회장 직위를 활용해 동창회 임원 조직을 움직이면 득표에도 유리하다. 그렇다보니 총동창회 회장 선거가 은근히 치열해지기도 한다.
총동창회를 정치적 욕구 해소의 장으로 활용하려는 사람도 없지 않다. 현실 정치에 참여할 여건은 안 되지만, 정치를 하고 싶은 사람이다. 저강도 정치적 욕구 중에서는 비교적 강한 편에 속하는 것이 바도 ‘회장 욕구’다. 이 욕구는 학창 시절 ‘반장 욕구’만큼이나 누구나 한 번쯤 가져보는, 하지만 누구에게나 허락되지는 않는 그런 것이다.
‘회장 욕구’는 특히 학창 시절 루저 또는 아웃사이더에 속했던 사람에게 강하게 나타난다. 총동창회를 만회의 장으로 삼으려는 것이다. 이들은 학교 다닐 땐 공부도 못했고 운동도 못했다. 하지만 사회에 나가 성공도 했고 돈도 벌었다. 기본적 욕구를 해결하니 다른 사람의 인정을 받고 싶어 한다. 하다못해 동창 사이에서라도 인정받고 싶어 한다. 특히 학창 시절 잘나가던 친구들 코를 납작하게 해주고 싶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