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생활정치의 달인

주말엔 ‘본격 패셔니스타’ 주중엔 ‘살짝 패셔니스타’

패션의 정치학

  • 이종훈 | 시사평론가 rheehoon@naver.com

주말엔 ‘본격 패셔니스타’ 주중엔 ‘살짝 패셔니스타’

2/3
‘경악스러운 포인트’에서 배운다

출근 패션이 팬 서비스지만 그렇다고 연예인 패션으로 출근하는 것은 무리다. ‘살짝 패셔니스타’에서의 ‘살짝만 에지 있는 패션’의 경지를 터득하는 것이 중요하다. 직장인은 직장 동료, 선후배 중에서 롤 모델을 찾는 게 바람직하다. 남들에게도 좋은 평가를 받는 호남형이 반드시 있을 것이다. 롤 모델이 한 명일 이유도 없다. 정장은 아무개 팀장이, 세미 정장은 아무개 차장이, 금요일 캐주얼은 아무개 대리가 갑이라면, 그들 모두로부터 배우면 그만이다. 패셔니스타들은 다른 사람의 칭찬을 즐기므로 이들로부터 유용한 조언을 쉽게 들을 수 있다.

패션 테러리스트들의 패션도 연구 대상에 포함시켜야 한다. 이들로부터 배워야 할 것은 실패 포인트다. 사람들이 이들을 보고 가장 경악하는 포인트를 반면교사로 삼으면 같은 실수를 방지할 수 있다. 사실 패셔니스타들도 가끔 무리수를 두는 바람에 패션 테러리스트가 되기도 한다. 주로 자아도취에 빠져 생기는 일이다.

원색, 딱 붙는 스타일 피하라

패셔니스타가 되기 전에 패션 테러리스트가 되는 것부터 피하고 봐야 한다. 적어도 패션에 관한 한 중간은 가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려면 첫째, 사이즈는 너무 크지도 작지도 않은 것을 택해야 한다. 특히 딱 붙는 스타일은 절대 피해야 한다. 둘째, 색상에서 원색보다는 중간색을 택하는 것이 좋다. 액세서리도 강렬한 원색은 피해야 한다. 가죽 액세서리도 블랙과 브라운으로 무난하게 가는 게 좋다.



모방하고 또 모방하라

태생적 패셔니스타가 드물다는 것은, 패셔니스타 상당수가 누군가를 따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심지어 패션 디자이너나 패션 업체 간 베끼기 사례도 적지 않다. 그만큼 창조는 어렵다. 기본적으로 패션은 누군가가 만들어놓은 제품을 소비하는 일이다. 물론 소비 패턴에서 창의성이 발휘되지만 창의성 그 자체는 별 의미가 없다. 괜찮아 보이는 스타일을 모방하고 또 모방하는 게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다. 무엇보다 위험을 줄일 수 있고 시간도 절약할 수 있다. 따라 하기를 하다보면 어느 순간 패션의 성공 요인이 보일 것이다.

주말엔 ‘본격 패셔니스타’ 주중엔 ‘살짝 패셔니스타’

에지 있게, 그러나 튀지 않게, 직장인 패션의 원칙이다.

따라 하기, 약간의 변조

패셔니스타는 모방은 하되 자기 자신에게 맞게 변조를 꾀함으로써 모방을 최대한 은폐하려는 경향성을 보인다. 천편일률적 패션을 거부하고 싶기 때문이다. 이들에게 가장 당황스러운 순간은 자신과 위아래로 똑같은 옷을 입은 사람과 대면하는 때다. 그럴 때 이들은 수치심을 느낀다. 그래서 한정품만 구입하려는 패셔니스타도 없지 않다.

하지만 ‘살짝 패셔니스타’는 크게 괘념치 않는다. 기성복을 입는 것이 흔하기도 하지만, 무엇보다 패션이 핵심 역량은 아니기 때문이다. 다음에 약간 변조를 가하면 그만이다. 처음에는 따라하기, 다음엔 약간의 변조…알고 보면 쉽다.

복장 가이드라인

스타일에 관한 이야기로 너무 떠들썩해지면 오히려 손해를 본다. 튀는 패션은 거부감을 유발한다. 회사 차원의 복장 규제가 없는 경우에도 직장인 사이에는 이심전심 복장 가이드라인이 존재한다. 심리적 마지노선이다.

잡코리아가 2012~2013년 실시한 직장인 대상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남성 직장인의 꼴불견 복장으로 ‘맨발에 슬리퍼’ ‘민소매 셔츠’ ‘반바지 차림’ ‘몸에 너무 꼭 맞는 의상’이 꼽혔다. 여성 직장인의 꼴불견 복장으로는 ‘너무 짧은 치마 또는 반바지’ ‘맨발에 슬리퍼’ ‘가슴 라인이 깊게 파인 상의’ ‘너무 얇아 속이 비치는 의상’ ‘특이한 스타킹’, ‘너무 짧은 레깅스’가 꼽혔다. 아마 이런 차림은 요즘도 직장에서 그리 환영받지 못할 것이다. 이런 점에서 오피스 패션은 기본적으로 차분한 기조를 유지해야 한다. 태풍이 아닌 산들바람처럼 말이다.

정장, 넥타이, 벨트, 구두의 경우

패션에도 몸통과 깃털이 있다. 몸통은 의상이다. 깃털은 구두와 가방, 넥타이, 스카프 같은 액세서리다. 오피스 패션에서 몸통 중의 몸통은 정장이다. 자주 입기도 하지만 사실상 전투복이나 다름없기 때문이다. 전투에 임하는 장수가 창에 쉽게 뚫리는 싸구려 갑옷을 입고 출전할 수는 없다. 그런 점에서 기본 정장에 대해서는 예산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최대한 투자하는 것이 좋다. 많이 갖추라는 뜻이 아니다. 단 몇 점이라도 제대로 갖추라는 것이다.

남성 직장인은 여성 직장인에 비해 유리하다. 색상 면에서 덜 다양하기 때문에 기본 정장을 많이 늘릴 필요가 없다. 여성 직장인은 조금 더 다양한 색상을 구비해야 하기에 비용을 더 들일 각오를 해야 한다. 기본 정장을 대여섯 벌 준비해두면 직장생활을 하는 데 큰 애로는 없다. 중저가 브랜드에서도 잘 고르면 충분하다. 다행스러운 것은 브랜드가 다양해졌다는 점이다. 브랜드마다 옷의 틀이 조금씩 달라, 여러 곳의 옷을 입어보면 내 몸에 가장 잘 어울리는 스타일을 찾을 수 있다. 나도 잘 맞는 브랜드의 옷을 주로 입는데, 맞춤복 아니냐며 묻는 사람이 적지 않다.

2/3
이종훈 | 시사평론가 rheehoon@naver.com
목록 닫기

주말엔 ‘본격 패셔니스타’ 주중엔 ‘살짝 패셔니스타’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