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심영우(60) 정암이앤씨 대표는 첫인상부터 ‘건설인’의 느낌을 찾기 어려웠다. 거친 건설 현장보다는 건축가나 학자가 어울려 보였다. 실제 그는 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겸임교수이기도 하다. 또한 1980년 토목공학과를 졸업한 후에도 서울산업대 구조공학과, 한양대 토목공학 석사, 건국대 건설개발학 석사, 철도건설공학 박사 등 학위도 다양하다.
▼ 회사를 소개해달라.
“주 종목은 토목과 철근콘크리트 공사다. 도로, 항만, 철도 등 주로 SOC에 참여한다. 거기에 터널, 교량 등 기술 집약 공사로 영역을 넓힌다. 축적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철저한 정밀 시공을 통해 품질을 높이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한다.”
▼ 대표적인 공사를 꼽는다면.
“중요하지 않은 공사가 어디 있겠는가. 우리가 안전하고 품질 좋게 잘 만든 곳을 지날 때마다 자부심을 느낀다. 평화의 댐 2단계사업 시설공사에 참여했는데 국가안보전략으로 만든 것이라 이미지가 안 좋긴 하지만, 댐 자체는 잘 만들었다. 원주-강릉 고속철도도 어려운 가운데 들어가 일을 하면서 자부심을 느낀다. 친환경 발전소인 삼척그린파워 1, 2호기는 우리가 주도적으로 만든다. 완성되면 우리에게 또 하나의 이정표가 될 것이다.”
▼ 다른 전문건설업체에 비해 분야가 다양하다.
“항상 10년 후를 내다보고 준비했다. 2000년대 초 주택 경기가 호황이었는데, 항상 호황일 수는 없다. 주택 경기가 꺼지면 SOC사업으로 몰릴 수밖에 없다. 평창올림픽이 성사되면 철도 건설이 경쟁력이 있을 거라고 판단하고 10년 전부터 준비했다. 업무를 마치면 기차 타고 대전까지 내려가 철도를 공부했다. 또한 4∼5년 전만 해도 플랜트 분야가 상당히 침체돼 있었다. 시간이 지나면 이 분야 경기가 좋아질 거라 예측하고 미리 전문 인력을 충원해서 직원들을 적재적소에 배치했다. 경기 순환을 예상해 미리미리 준비하다보니 주택, 택지, 플랜트, 철도, 고속도로 등 포트폴리오가 잘돼 있다.”
▼ 철도 외에 준비하는 분야가 있다면.
“다른 건설업체에 없는 면허 중에 토양정화가 있다. 최근 미군기지 토양정화사업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현재 시장은 작지만 이 분야가 계속 성장할 것으로 보고 미리 준비한 결과다. 언뜻 건설과는 관련 없는 분야처럼 보이지만 환경과 건설은 뗄 수 없는 관계다. 직접 토양기술사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해 매일 아침 한 시간씩 공부한다. 또한 수중공사를 위해 수중불분리시멘트 특허 가운데 가장 발전된 기술에 대한 통상사용권도 획득했다.”
▼ 포트폴리오를 다양화하는 특별한 이유가 있나.
“엔지니어 출신 CEO는 자기가 잘 아는 쪽만 보려는 경향이 있다. 한 우물을 파는 것이 장점도 많지만 맹점도 있다. 특히 건설은 경기에 민감해서 주력 분야 경기가 나빠지면 회사 전체가 위기에 빠지기 쉽다. CEO는 직원과 그 가족을 책임져야 하는 위치다. 미래를 준비할 의무가 있다. 한쪽이 나빠지면 다른 쪽을 통해 위기를 헤쳐나갈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 삼성이 모범적인 사례다. 휴대전화 사업이 잘 될 때 거기에 안주하지 않고 10년, 20년 후를 준비하고 있지 않나. CEO는 항상 10년 후를 내다보고 준비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