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한국 근대유화 거성 이인성과 이중섭

두 천재의 극과 극 인생궤적 예술은 가고 브랜드만 남았다

한국 근대유화 거성 이인성과 이중섭

1/4
  • 1998년 2월 ‘월간미술’은 미술평론가들의 투표로 ‘근대 유화 베스트 10’을 선정했다. 이인성(李仁星·1912~50)의 ‘경주의 산곡에서’와 ‘가을 어느 날’이 각각 공동 1위와 7위, 이중섭(大鄕 李仲燮·1916~56)의 ‘흰 소’가 2위를 차지했다. 작가별로는 이인성이 김환기와 공동 1위를, 이중섭이 단독 2위를 차지했다. 한국 근대 화단의 대표자 격인 이인성과 이중섭 두 거성이 망우리공원에 함께 묻혀 있다. 그들의 묘는 삶이 그러했듯 이인성은 화려하며 이중섭은 조촐하고 쓸쓸하다.
한국 근대유화 거성 이인성과 이중섭

이인성과 그의 작품 ‘ 한정’(위). ‘황소’의 작가 이중섭(아래).

지난 5월20일 언론은 ‘서울시가 문화재로 관리하던 화가 이중섭의 집과 문인 이상의 생가가 잘못 지정됐다’는 기사를 내보냈다. 답답하고 우스운 졸속행정의 표본을 보는 듯했지만, 그래도 서울시가 유명 예술가의 흔적을 보존하려고 노력하고 있다는 사실에 새삼 위안을 받았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이중섭이 전시회를 준비하며 잠시 살던 집은 문화재로 대접을 받는 데 반해 그가 50년 이상 머물고 있는 망우리의 묘지는 찾는 이, 관리하는 이 없이 쓸쓸하기만 하다.

한평생 고달픈 삶을 살았어도 예술가는 그가 남긴 작품으로 후인의 가슴속에 영원히 살아 있다. 신록이 푸르른 지금, 그들의 무덤은 비석을 통해 우리에게 ‘말’을 건다. 그곳에 가면 그들이 살던 집에서보다 더 많은 말을 들을 수 있다. 그래서 고인의 묘지는 생가보다 더 소중한 문화재임에 틀림없다. 망우리공원 측은 1997~98년 공원화사업 당시, 어떤 연유에서인지 모르나 보훈처에 등록된 독립지사 중심으로 연보비와 안내도를 만들었을 뿐, 화가와 문인 등은 그 대상에서 제외했다.

이인성과 방정환

동락천 약수터 오른쪽 위 좁은 길을 올라가면 독립지사 유상규의 묘가 나오고, 다시 오른쪽 위에 있는 도산 안창호의 묘터를 지나 능선 길을 올라 오른쪽으로 조금 가면 커다란 자연석의 ‘사설(私設)’ 연보비가 보인다. ‘근대 화단의 귀재 화가 이인성’이라 쓰인 연보비의 뒷면에는 그의 치적이 적혀 있다.

‘서양화가 이인성(李仁星)은 1912년 8월28일 대구시 북내정 16번지에서 태어나 17세 때 조선미술전람회에 입선하면서 두각을 드러낸 이래 한국 근대미술 도입기와 성장기에 빼어난 창작활동을 펼쳤다. 일본 도쿄 태평양미술학교 재학시절 제국미술전람회, 문부성미술전람회, 광풍회 공모전 등에 입선, 일본에서도 명성을 떨쳤다. 1935년 귀국한 뒤 대구와 서울에서 활약하면서 선전(鮮展)·제전(帝展) 등에 여러 차례 입선·특선했으며, 선전 추천작가, 국전 심사위원을 지내는 등 우리 화단에서 확고한 위치를 굳혔다. 한국 미술사에 길이 빛날 작품들을 남긴 그는 1950년 절정의 기량을 더 펼쳐보지도 못한 채 38세로 요절, 불꽃같은 예술적 인생을 마감했다. 그의 50주기인 2000년에는 호암갤러리에서 회고전이 열렸고, 대구광역시가 이인성미술상을 제정했으며, 2003년 11월에는 문화관광부의 ‘이달의 문화인물’로 선정되기도 했다. 2003년 10월 16일 이인성 기념사업회 세우다’



묘 오른쪽에는 자그마한 검은 단비가 자리잡고 있는데 거기에도 비슷한 내용의 글이 쓰여 있다.

‘이인성(1912~1950). 1912 대구에서 출생. 1928 ‘촌락의 풍경’으로 세계아동미술전람회 특선. 1929 제8회 조선미술전람회 ‘그늘(陰)’ 입선. 1944년까지 16회 연속 선전 출품. 1935 제22회 일본 수채화회전 ‘아리랑고개’ 일본 수채화협회상(최고상) 수상. 제14회 선전 ‘경주산곡에서’ 창덕궁상(최고상) 수상. 1937 제16회 선전 서양화부 추천작가 선임. 1949 제1회 대한민국 미술 전람회 서양화부 심사위원. 1950 6.25 당시 작고. 1998 월간미술 주관 ‘근대유화 베스트 10’에서 ‘경주의 산곡에서’ 1위 선정. 2000 호암갤러리에서 작고 50주기 회고전 개최 ‘이인성미술상’ 조례 지정. 2002 문화관광부 2003년 11월 이달의 문화인물 이인성 선정’

단비에 쓰인 내용 중 ‘세계아동미술전람회 특선’ 부분은 사실이 아니다. 특선을 한 것은 맞지만 ‘세계아동미술전람회’가 아니라 ‘세계아동예술전람회’가 옳다. 이 전람회는 소파 방정환 등이 운영한 출판사 ‘개벽사’가 주최하고 동아일보가 후원해 경성에서 개최한 ‘세계아동예술전람회’였다. 필자는 ‘신동아’ 2008년 5월호에 실은 ‘소파 방정환’의 글에서 세계아동예술전람회에 소년 이인성이 특선을 한 사실을 당시 동아일보 기사를 근거로 밝힌 바 있다.

1/4
김영식 수필가, 번역가 japanliter@naver.com
목록 닫기

한국 근대유화 거성 이인성과 이중섭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