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선조실록과 선조가 묻힌 동구릉. 둘 다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됐다.
그 만남을 통해 환자를 치료하면서 그간 많은 가치를 부여했던 사실들이 공허해지고 사소한 편린이 중요한 의미로 새롭게 등장하기도 한다. 한의학은 환자와 환자를 둘러싼 현재의 상황뿐 아니라 그 사람이 어떤 인생을 살아왔는지, 그 역사에서 질환의 근본을 파헤친다. 현재 즐겁다고 과거까지 즐거웠던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조선 왕의 질병에는 그가 어떤 인생을 살았는지 그 이력이 담겨 있다. 왕의 인생은 왕조시대 역사의 큰 흐름을 형성해왔다. 따라서 왕의 질환은 역사적 상황의 산물이라고 볼 수 있다. 거꾸로 그가 어떻게 살았는지, 어떤 일 때문에 괴로워했는지를 살펴보면 그가 앓은 질병이 왜 생겼는지도 보인다. 또한 당시 어의(御醫)나 치료자들의 의료행위가 타당한 것이었는지, 만약 타당하지 않은 의료행위를 했다면 그 이유가 무엇인지 알 수 있다.
庶子 콤플렉스

드라마 ‘불멸의 이순신’에서의 선조(최철호 분)
명종 22년 6월 27일, 왕의 병세가 갑자기 위독해지자 중전과 몇몇 사대부가 임종을 지켜보기 위해 모였다. 명종은 아직 숨은 붙어 있었지만 말은 제대로 할 수 없는 상태였다. 명종의 분명한 하교가 없는 가운데 영의정 이준경(李浚慶·1499~1572)이 후계자를 누구로 할 것인지를 중전에게 청하자 중전은 하성군 이균을 지명했다. 이 사람이 바로 비운의 임금, 선조였다.
선조의 아버지는 반정(反正)으로 왕위에 오른 중종과 창빈 안씨 사이에 난 덕흥군 이초(李?·1530~1559)다. 후궁의 자손으로 태어난 이균이 왕이 된 사실은 많은 풍수가의 입에 올랐다. 창빈의 묘소는 원래 경기도 장흥 땅에 있었는데 서울 동작으로 옮기고 난 후 손자가 임금 자리에 올랐다 해서 그가 묻힌 동작릉이 풍수학자 사이에서 연구대상이 될 정도였다. 후계가 불투명한 상황에서 이뤄진 방계 왕족의 왕위 계승은 곧 벼락출세를 의미했고, 바로 이 때문에 선조는 평생 동안 엄청난 스트레스에 시달렸다. 치열했던 선조의 ‘서자 콤플렉스’는 질병으로 이어졌다. 마음의 병이 몸으로 옮겨간 것이다.
조선왕조실록에 가장 많이 언급된 선조의 질병이 크게 소화불량과 귀울음(이명), 편두통으로 나뉘는 부분도 같은 맥락이다. 감기로 인한 기침과 콧물 등 흔한 증상과 근골격계 질환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질환이 마음의 병에서 생겨난 질병인 셈. 현대의학으로 말하자면 스트레스가 주원인인 질환이다.
선조시대는 사림(士林)이 장악했다. 이들은 송나라 주자학을 중심으로 한 성리학을 추종했다. 적통(嫡統)이 아닌 선조를 전격적으로 왕위에 올린 세력이 바로 이들이다. 그 때문일까. 이들 사대부의 역할이 커질수록 왕은 주눅 들고 신하는 큰소리를 쳤다. 왕권의 시대는 저물고 신권의 시대가 도래한 것이다. 사림들은 자신이 만든 임금인 선조의 내면세계를 뜯어고치기 위해 안간힘을 썼다. 선조를 성리학적 이상 군주로 키우려는 교육을 시작한 것. 이황, 이이, 기대승 등 이름만 들어도 알 수 있는 성리학의 거두들이 모두 선조의 경연강사로 나섰다. 이황은 성학십도를, 이이는 성학집요를 통해 선조를 위대한 군주로 키우려 노력했다. 그들은 신하가 아닌 스승에 가까웠고, 정치적 후원자로서 충고를 쏟아냈다.

선조의 경연강사였던 이황(왼쪽)과 이이. 사림의 대표였던 이들은 선조를 성인의 반열에 올려놓기 위해 끊임없이 압박했다. 이이는 선조의 목소리 질환이 여색을 밝히기 때문이라고 직언하기도 했다.
“그(이황)를 옛사람으로 가칭하여 말했는데, (그가 도대체) 어떠한 사람이며 옛사람의 누구에게 비교할 만한가? 이런 말로 묻는 것이 미안하지만 평소에 궁금하였기 때문에 말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