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그가 비서관으로 임명된 일도 큰 화제를 불러 모았다. 국토해양부 공무원들은 한결같이 “아무도 예상하지 못한 발표였다”며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
국토해양비서관(옛 건설교통비서관)은 대통령의 정책 결정을 조언할 뿐만 아니라 수시로 대통령의 뜻을 반영해 국토해양부 정책을 조율하는 중요한 자리. 국토해양부의 전신인 건설교통부가 1994년 출범한 이후 줄곧 고위 공무원들이 독차지하며 장차관 등 더 높은 곳으로 가기 위해 거치는 필수 코스처럼 여겨지는 직책이다.
게다가 국토해양부는 새 정부 출범과 함께 건설교통부와 해양수산부가 합쳐 탄생한 공룡 부처. 연간 예산만 59조원이 넘고 직원도 7000여 명에 달한다. 과천청사에서 유일하게 건물 한 동을 단독으로 쓴다. 주택, 국토개발, 항공, 철도, 항만 운영 등 국민생활에 직결된 모든 정책을 결정해 항상 주목을 받는 곳이다. 현재 논란이 커지고 있는 대운하 사업에다 노무현 정부가 쏟아낸 부동산 정책 및 혁신도시 등 각종 국토개발사업 뒤치다꺼리 등 처리해야 할 현안도 산적해 있다.
이런 이유로 행정에 정통하고 얽히고설킨 이해관계를 능숙히 처리할 전문 관료가 임명될 것으로 점쳐졌다. 발표 직전까지 S씨 등 고위 공무원들이 유력한 후보로 거론되기도 했다. 반면 신 비서관은 얌전하고 조용한 데다 사람들 눈에 띄지 않는 스타일이어서 후보 물망에 오른 적이 없었다.
그의 발탁 배경에 대해 관가에서는 시장경제주의 원칙에 입각한 합리적 주택도시행정의 중요성을 강조하던 신 비서관의 철학이 이명박 정부의 코드와 맞았다는 분석이 많다. 교수 및 언론인 출신을 선호하는 이 대통령의 기호에도 부합했다. 이 대통령이 서울시장으로 재직하던 때 서울시 도시계획위원으로 활동한 인연이 열매를 맺었다는 해석도 있다. 서울시 출신들을 높이 평가하는 이 대통령에게 좋은 점수를 받았다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그의 부군인 서동원 공정거래위원회 부위원장의 영향력이 작용했을 가능성을 제기한다. 서 부위원장은 2006년 공정위 상임위원(1급)을 끝으로 공직에서 물러났다가 새 정부 출범과 함께 복귀한 정통 관료. 신 비서관은 서 부위원장과 1982년 결혼해 1남 1녀를 두고 있다.
신 비서관은 기자와 전화통화를 하면서 “공부를 통해 쌓은 이론과 언론인 생활을 통해 경험한 지식을 바탕으로 한국 건축 도시 행정 선진화에 기여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