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왜곡된 내용이 담긴 일본 후소샤의 역사교과서.
가나자와 시의회의 모리 도시카즈(森一敏) 의원이 필자와 동행했다. 본래 초등학교 교사이던 모리 의원은 ‘평화교육’에 앞장섰고, 그 때문에 2000년 8월4일 가나자와 시내의 호국신사가 이른바 ‘대동아성전대비(大東亞聖戰大碑)’를 세운 것을 문제삼아 “대동아성전대비를 철거하라”고 주장하면서 ‘전쟁 미화를 허용치 않는 모임’ 활동을 벌이고 있는 인물이다.
가나자와의 윤봉길 의사
필자도 대동아성전대비를 처음 보고, 그 뒷면에 새겨진 ‘팔굉위우(八紘爲宇) 네 글자를 보고 마음이 아팠다. 윤봉길 의사는 일본의 식민지주의를 긍정하는 이른바 ‘팔굉위우’에 의한 대동아성전 때문에 총살, 암장되었기 때문이다.
노타산의 윤 의사 순국기념비와 암장터를 둘러보기에 앞서, 모리 의원은 자그마한 신사로 필자를 안내했다. 그곳은 일본이 1945년 8월15일 패전한 후 한때 731부대(일명 이시이(石井)부대)가 숨어 있던 장소라는 설명을 들었다(731부대는 인간 생체실험이라는 잔혹한 만행을 저질렀다. 한국인, 중국인, 러시아인 등 3000명에 대한 이 만행은 1936년부터 1945년 패전 때까지 하얼빈시 남쪽의 부대 안에서 자행됐다-옮긴이).
따지고 보면 가나자와라는 고장은 메이지 시대(1867∼1912)부터 제2차 세계대전 패전 때까지 줄곧 바닷가의 군도(軍都)였다. 그러나 일본의 역사교육에서는 이 같은 사실을 배울 수 없다.
필자가 처음으로 가나자와를 방문한 것은 일본에서 진행되고 있는 공립 초·중학교의 ‘학교선택제’ 도입이 이곳에서 행해질 것 같으니 그 문제점을 강연해달라고 모리 의원이 요청했기 때문이다.
학교선택제는 ‘고이즈미 구조개혁’ 교육방식의 하나로, 이른바 신자유주의 정책에 따른 것이다. 이 구조개혁의 또 다른 측면은 교육에서 내셔널리즘을 강조하는 것이다. 이 두 가지 측면이 맞물려 일본 교육의 구조개혁이 진행되고 있다.
가나자와시에 세워진 대동아성전대비를 긍정하는, 즉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각국에 대한 침략을 정당화하는 중학교 역사교과서의 등장과 학교선택제가 상징하는 신자유주의적 시책에는 꿍꿍이가 있다. 이런 움직임이 집약된 것이 교육기본법 개정이며, 일본 평화헌법(1946년 제정) 개정인데, 이는 한마디로 개악이다.
일방적인 왜곡
3월31일 끝난 교과서 검정 결과가 4월5일 언론에 공표됐다. 그후 신문을 비롯한 수많은 매스미디어가 후소샤가 펴낸 교과서 내용에 관해 보도했다. 이는 한국 언론에도 잘 알려졌는데, 다음은 후소샤 교과서에 기술된 내용 중 한국과 관련이 있는 부분이다.
▲신라는 독자적인 율령(율령제 국가의 기본법전-옮긴이)을 갖지 못했다. 일본은 독자적 율령을 가졌다. ▲원구(왜를 침공한 원나라-옮긴이)의 거점이 된 곳은 조선반도였다. ▲청나라에 복속돼 있던 조선은 (일본과) 외교관계를 맺기를 거절했다. ▲일본의 안전과 만주의 권익을 방위하기 위해 한국과의 합병이 필요했다. ▲한국은 일본식 성(姓)을 쓰는 것을 인정했다.
이상과 같이 일방적이고 왜곡된 역사 기술이 도처에 나타나 있다. 그런가 하면 ‘일본군위안부’ 문제는 언급조차 하지 않았다. 강제적으로 이뤄진 조선인 징용에 대해서도 ‘법에 의한 징용’이었다고 왜곡했다.
그런데 이번 교과서 검정 과정에서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은 후소샤의 교과서 검정 신청본 70권을 교원과 교육위원회 관계자들에게 미리 돌렸다는 사실이다. 이는 용납할 수 없는 처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