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멕시코 포포카페테틀 화산을 배경으로 선 대성당.
1799년 6월5일, 스페인 북서단의 라코루냐 항을 출발한 알렉산더 폰 훔볼트(Alexander von Humboldt·1769~1859)는 베네수엘라의 쿠마나 항에 하선한 직후인 7월16일 유럽의 지인들에게 그곳 사정을 이렇게 알렸다. 훔볼트가 첫 번째 여행지에서 보낸 첫 번째 편지였다. 당시 그의 나이 만 서른 살.
훔볼트는 1769년 9월 프로이센 제국의 수도 베를린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프리드리히 대왕의 근위 장교였고 어머니는 재력가인 위그노 가문의 딸이었다. 언어학자로, 철학자로 그리고 외교관으로 이름을 날린 빌헬름 폰 훔볼트가 그의 형이다.
어린 시절 병약했던 훔볼트는 ‘로빈슨 크루소’나 게오르그 포르스터(1754~95)의 ‘세계 주항기’ 같은 여행 또는 과학서적을 읽으며 호기심을 채웠다. 스무 살이 되던 1789년, 그는 형이 다니던 괴팅겐대에 들어갔다. 거기서 어릴 때의 우상이자 항해사 제임스 쿡의 2차 항해(1772)에 참가한 게오르그 포르스터를 만났다.
이듬해에 그는 포르스터와 함께 산업혁명이 진행 중이던 영국과 혁명 1주년으로 잔뜩 들떠 있던 프랑스를 다녀왔다. 프로이센에선 감히 상상할 수조차 없던 새로운 세상을 목격한 그에겐 새로운 목표가 생겼다. 지구와 자연, 그리고 미지의 세계에 대한 도전이다.
프로이센으로 돌아온 그는 대학에서 광물학을 전공했고, 졸업 후 광산 감독관으로 일했다. 스물셋의 어린 나이에 그 자리에 오른 것은 대학 성적도 좋았지만 귀족 출신이라는 점이 크게 작용했다. 그는 틈만 나면 주변국들을 여행하면서 알프스 산지의 암석 구조를 관찰했다.
9세 때 아버지를 여읜 이래 엄격한 칼뱅 교도 어머니 밑에서 자란 훔볼트는 27세 때 어머니마저 여의었다. 갑자기 막대한 유산을 물려받은 그는 자신의 꿈을 펼치기 위해 주저 없이 광산 감독관직을 사임하고 인간의 발길이 닿지 않은 미지의 세계로 여행을 떠날 준비에 착수했다.
그는 화산에 대한 지식을 얻고자 곧바로 이탈리아로 건너가 폼페이 인근의 베수비오 산에 오르고자 했다. 하지만 당시 이탈리아가 프로이센과 적대적 관계에 있던 프랑스 나폴레옹에 의해 점령당한 상태여서 여행은 여의치 않았다.
훔볼트는 여행과 탐험에 필요한 과학 분야 연구의 중심인 파리로 건너갔다. 다행히 프랑스와 프로이센은 양국간 개인의 이동은 막지 않았다. 훔볼트는 파리에서 육분의(六分儀), 기압계 등 관측에 필요한 기자재들을 구입하고 그 사용법을 익혔으며 과학자들과 교분을 나누었다. 그중에는 식물학자 아이메 봉플랑(Aime Bonpland·1773~1858)도 있었다.
그러던 어느 날 훔볼트는 뜻밖에도 프랑스 정부로부터 세계일주 탐험항해에 동행해달라는 요청을 받았다. 하지만 기쁨도 잠시, 그 계획은 여러 가지 이유로 물거품이 되고 말았다. 자비로 추진하던 북아프리카 여행계획도 나폴레옹의 북아프리카 원정과 맞물려 미뤄야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