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물가 비싸고, 육아에 허리 휘고 … 그래도 한국이 살기 좋은 까닭

물가 비싸고, 육아에 허리 휘고 … 그래도 한국이 살기 좋은 까닭

1/5
  • 1년 만의 한국 나들이. 반갑긴 하지만 걱정도 크다. 아이들은 그 잘하던 영어를 무서운 속도로 잊어먹는다. 집세와 가스요금 등 영국 생활비의 절반은 그대로 나가면서 한국 생활비가 추가로 들어간다. 인건비를 제외하면 한국 물가는 그 비싸다는 영국 물가 못지않다. 아이들 과외비는 또 어떻고…. 그래도 이것저것 다 따져보면 한국살이가 편하다. ‘효율성’ 때문이다. 곧 영국으로 돌아가야 할 나는 이 편리한 효율성에 익숙해질까봐 두렵다.
물가 비싸고, 육아에 허리 휘고 … 그래도 한국이 살기 좋은 까닭

자동차 연료비와 대중교통 요금이 비싼 영국 사람들은 웬만한 거리는 걸어 다니거나 자전거를 타고 다니는 게 습관이 돼 있다.

7월말에 아이들과 함께 한국에 왔다. 영국으로 떠난 지 꼭 1년 만에 돌아온 것이다. 아주 돌아온 것은 물론 아니고 연구의 중요한 과정인 필드워크(Field Work)를 위해 2개월 동안 한국에 머물기로 했다. 희찬이는 잠시 동안이지만 좋아하는 새집과 BBC 드라마 ‘닥터 후’를 떠나 있게 된다는 사실 때문에 영 시무룩했고, 한국의 할머니와 친구들을 보고 싶어 하던 희원이는 흥분해서 재잘거리며 비행기에 올랐다.

글래스고와 한국을 잇는 직항노선이 없어서 우리는 네덜란드항공 소속 비행기를 타고 일단 암스테르담의 스키폴공항으로 가, 거기서 다시 인천공항행 비행기를 탔다. 갈아타는 시간까지 합하면 장장 열여섯 시간에 달하는 긴 비행이었다. 쉴 새 없이 보채고 싸우는 아이들을 달래며 지루한 비행 끝에 도착한 인천공항의 공기는 숨이 턱 막히도록 더웠다. 그 속에서 영국과는 다른, 낯익고도 익숙한 느낌이 생생하게 전해져 왔다. 아, 드디어 한국에 돌아왔다. 1년 동안 영국에서 보낸 수많은 날이 마치 하룻밤의 꿈처럼 느껴졌다.

“엄마, 한국 사람들 되게 많다! 봐봐, 한국말로 방송도 나와!”

아이들이 눈을 동그랗게 뜨고 소리치자 단체관광을 다녀오신 아줌마 승객들이 우리 가족을 힐끔거렸다. 인천공항이니 우리말 방송이 나오는 건 당연한 일이지만, 지난 1년간 엄마말고는 한국 사람을 만날 일이 거의 없던 아이들에겐 그마저 신기하게 느껴졌나보다.

내 집으로 돌아가는 두려움



솔직히 말하자면 나는 그다지 한국에 돌아오고 싶지 않았다. 물론 내 집과 내 고향이 그립지 않은 것은 아니었다. 아니, 너무도 그리웠기 때문에 도리어 오고 싶지가 않았다.

1년의 시간 동안 나와 아이들은 힘들게, 정말로 힘들게 낯선 생활에 적응해왔다. 아는 사람 하나 없는 스산한 북구(北歐)의 도시에 뿌리내리고 사는 과정은 말 그대로 ‘고군분투’였다. 그리고 거의 1년간의 고군분투 끝에 우리 세 식구는 그럭저럭 글래스고를 ‘우리 동네’라고 여기면서 살게끔 된 것이다.

그런데 가까스로 영국 생활에 적응한 이 시점에 한국에 돌아가면 우리 가족은 영국에서 익힌 삶의 방식을 금세 잊어버릴 게 분명했다. 너무도 편안한 아파트 생활과 익숙한 주위 여건, 은행이든 식당이든 약국이든 편하게 말이 통하고 텔레비전을 켜면 기다렸다는 듯 우리말이 쏟아져 나오는 환경에 몸을 담그면 어렵사리 적응한 ‘글래스고식 삶의 방식’을 다 잊어버리게 될 것만 같았다. 그리고 두 달간의 필드워크를 끝내고 다시 글래스고로 돌아가면 우리 가족은 저마다의 위치에서 또다시 힘겨운 ‘타향살이’를 시작하게 될 터였다.

나는 그 과정이 몹시 두려웠다. 이제 거의 잊어가고 있는 ‘내 집’으로 다시 돌아가게 된다는 것, 그리고 잊고 있던 내 집의 안락함에 다시금 몸을 맡기게 된다는 사실이 두려웠다. 내 영어 선생님이자 친구인 캐시는 “한국에 가면 아이들보다 네가 먼저 영어 쓰는 방식을 잊어버릴 걸?” 하고 말했다.

1/5
전원경│작가 winniejeon@hotmail.com│
목록 닫기

물가 비싸고, 육아에 허리 휘고 … 그래도 한국이 살기 좋은 까닭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