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앙은 고대 중원의 개화되고 교통도 편리했던 약소국 위(衛)나라에서 기원전 390년 태어났다. 아버지는 공자(公子)였다지만, 상앙은 첩의 아들이었다. 그런 비정상적인 출생신분으로 말미암아 형성된 특이한 성격은 그의 개인적 운명을 좌우했다. 나아가 그가 활약한 진(秦)나라의 역사에도 적잖은 영향을 끼쳤다. 원래 동북아문화권(유교문화권)에서는 ‘첩의 아들’이라면 덮어놓고 백안시하고 소외하는 편견이 있었다. 능력과 사람됨은 무시한 채 멸시와 학대를 퍼부었던 것이다.
사회가 자기를 편견으로 대하고 차별대우하면, 억울하게 당하는 쪽은 어떻게 될까. 어려서부터 반항심이 자라게 마련이다. 또 그런 반감에 어울리게끔 사회의 부조리하고 어두운 측면만 더욱 눈에 띄게 되고, 지배계층과 추종세력의 부패와 무능, 무지와 우매만 돋보인다. 그에 대한 결과는 저항 혹은 탈출이다. 이 경우 정서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것이 편향된 각박함이다. 이웃에 대한 보살핌과 따뜻한 사랑의 정신을 찾아볼 수 없는 것이다.
그리되면 새로운 저항이 심화되다 유사시엔 그에 대한 보복과 제재가 뒤따르면서 극한 상황을 빚고 만다.
상앙의 생애가 그러했다. 총명한 소년 상앙은 차별대우 속에서도 억세게 자라났다. 어려서부터 독서를 즐겼는데, 공자의 윤리철학보다는 법가(法家)의 현실정치론을 탐독했다. 청년기에 고향을 떠났는데, 행선지는 그때만 해도 열강 중 하나로 꼽히던 위(魏)나라였다.
상앙이 책 봇짐을 내려놓은 곳은 당시 위나라의 최고 벼슬인 상국(相國) 자리에 앉은 공숙좌(公叔座)의 집이었다. 공숙좌는 상앙이 비록 서자(庶子)이지만 공자(公子)의 아들이고, 지능이 뛰어나며 학식도 풍부하다고 판단해 그를 높이 샀다. 공숙좌 자신이 학식 있는 인격자였다. 그는 조국 위나라에서 등용하지 못한 인재들의 다음 행선지가 경쟁국인 진(秦)나라일 것이라고 전망하고 걱정스러워했다.
진(秦)나라에서 등용되다
그 공숙좌가 병석에 누워 중태에 빠졌다. 위나라 혜왕(惠王)이 문병차 찾아가 그 위독함을 알고는 걱정스레 물었다.
“만약 병석에서 오랫동안 치료를 받으셔야 한다면, 그 시기에 국정을 대신 맡아볼 인재로는 누가 좋을까요?”
“제 문하생으로 상앙이란 인재가 있습니다. 청년이지만 지능과 학식이 탁월할 뿐 아니라 구상과 통찰력, 통솔력과 정치력을 아울러 갖췄습니다.”
공숙좌가 진언한 뒤 혜왕의 표정을 읽으니, 듣고 흘려버리는 무관심이었다. 아마도 실적이 없고 경험도 태무(殆無)한 백면의 청년을 중용한다면 그렇게도 인재가 없느냐고 천하가 비웃을 거라고 생각한 것 같았다. 공숙좌는 좌우 측근들을 물러나게 하고는 다시 진언했다.
“만약 군왕께서 상앙을 등용하시지 않는다면 차라리 그를 없애야 합니다. 우리나라의 안전을 위해 외국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해야 합니다.”
혜왕은 “알아듣겠다”고 하고는 궁으로 돌아갔다. 그러고는 측근에게 말했다.
“상국이 연로하여 병석에 눕더니, 그 진언에 노망기가 짙은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