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람들이 작가 이외수(李外秀·62)를 절친한 친구처럼 편하게 여기는 이유도 다르지 않다. 그는 자신의 아픔을 독자에게 에누리 없이 보여준다. 동냥으로 청년시절을 보냈다, 어렵게 지방대학에 들어갔다, 나흘 동안 20원 하는 라면 하나로 버텼다, 이발과 목욕을 못해 기인처럼 다녔다, 개집에서 잘지언정 꿈은 품고 살았다, 돈이 없어 신혼여행은 어린이대공원 식물원으로 갔다, 소설을 위해 3년간 얼음 밥으로 끼니를 때웠다….
그의 얘기를 듣고 있노라면 마음의 빗장이 스스로 열린다. 못난 사람이 후진 땅 딛고 일어섰다는 사실만으로도 얼었던 마음이 녹는다. 독자가 이렇듯 방심한 사이 그는 작가답게 글이라는 무기로 또 다른 감동의 보따리를 남겨두고 떠난다. 그의 글에는 가식이 없다. 그의 말은 글보다 진솔하다. 그가 요즘 TV와 인터넷 언론에 자주 얼굴을 비친다. ‘1박2일’ ‘무릎팍 도사’에도 나왔다. 강원도 화천의 두문불출 거사가 이렇듯 오락 프로그램에까지 나간 까닭은 뭘까. 언론매체들이 그를 찾아 나선 이유는 또 무엇일까.
“나는 미제 쇠고기 먹고야 말 것”
이유는 단순하다. 요즘 우리 사회를 뒤흔드는 쇠고기 파동에 대해 그가 촌철살인의 말들을 쏟아내고 있기 때문이다. 국민의 가려운 마음을 빡빡 긁어주는 까닭이다. 이외수는 자신의 홈페이지(www. oisoo.co.kr)에서 ‘광우병 걱정 없다고 말씀하시는 분들도 계시는군요. 그럼요, 무식을 갑옷처럼 착용하고 계시는데 무슨 걱정이 있겠습니까’라며 위정자를 정면 비판한 후 ‘미국산 쇠고기, 수입하면 나는 먹고야 말 것이다. 완벽하게 피할 수 있는 방법을 모르기 때문에…’라고 개탄하기도 했다.
그가 쏟아내는 ‘권력 비판’의 근거를 직접 들어보고 싶었다. 누군가를 사랑해도 수많은 곡절이 있는데 무언가를 비판하는 데 하물며 왜 내막이 없겠는가. 그의 집으로 전화를 걸었다. 이외수 선생의 부인은 “인터뷰하는 건 괜찮지만 선생님은 예술하는 분이다. 그러니 정치 얘기를 나눠야 하는 인터뷰라면 사양하겠다”고 잘라 말했다.
화천이면 가까운 곳도 아닌데 예서 그냥 인터뷰를 접을까 하는 생각도 있었다. 그러자 이런저런 사념이 꼬리를 물었다. ‘정치하는 사람이 예술을 말하면 예술도 정치가 되지만, 예술가가 정치를 말하면 정치도 예술이 된다’ ‘하루도 타인과 관계를 맺지 않고선 살아나갈 수 없는 세상에 정치 아닌 게 또 무엇이란 말인가’….
보슬비 내리던 6월5일, 결국 그에게 달려갔다. 그가 사는 화천 ‘감성마을’은 산 좋고 물 좋은 곳에 자리 잡았다. 전방지역이라 군인도 많았다. 그가 직접 그려놓은 센스 만점의 표지판을 보는 순간, 피로가 싹 가시며 ‘만나러 오길 잘했다’는 생각이 들었다. 화살표를 대신해 입 벌린 물고기가 그의 집을 가리키고 있었다. 친절하게도 그는 거기에다 ‘물고기가 바라보는 쪽으로’라고 적어놓았다.
오후 2시 언저리, 그를 첫 대면한 후 포천 일동에서 사온 막걸리를 ‘뇌물’로 건넸다. 그런데 그는 “이젠 술을 마시지 않는다”고 했다. 뇌물은 결국 사전취재를 하지 않았다는 증거물로 전락했다. 걱정된 나머지 에둘러 다른 질문들을 쏟아내느라 인터뷰는 오후 9시가 넘어서야 끝났다. 다행히 그는 세상 얘기하는 데는 주저함도 막힘도 없었다. 언젠가 읽은 그의 글이 떠올랐다.
‘나는 근심에 대해 근심하지 않는다. 근심은 알고 보면 허수아비다. 곡식이 익어가는 들판으로 가서 허기를 채우려면 필연적으로 마주칠 수밖에 없는 복병들이다. 근심에 집착할수록 포박은 강력해지고, 근심에 무심할수록 포박은 허술해진다. 내가 왜 시간이 흐르면 100퍼센트 소멸해버리는 무기력의 표본 허수아비에 대해 근심하겠는가.’(‘그대에게 던지는 사랑의 그물’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