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시기에는 시처럼 리듬 있는 글을 읽어주는 게 좋다. 그러면 아이는 규칙적인 리듬과 언어, 박자를 자각하게 된다. 또 선이 분명하고 밝고 단순한 그림이 있는 이야기책이 바람직하다.
‘동물들은 왜 옷을 입지 않아요?’(지양사)를 펼치면 시원시원한 구성이 눈이 띈다. ‘가시두더지가 옷을 입는다면 가시에 옷이 몽땅 해어지고 말 거예요’라는 글이 큼직하게 씌어 있고 다른 한쪽에는 가시두더지의 너덜너덜한 옷 조각들이 가시에 매달려 있다. 낙타, 뱀, 생쥐, 양, 돼지, 암탉, 캥거루, 기린 등의 동물이 차례로 등장한다. 그리고 이 동물들이 옷을 입으면 어떻게 불편할지 리듬감 있는 언어로 알려준다. 아이들은 들은 내용을 눈으로 확인하는 걸 좋아한다. ‘돼지가 옷을 입는다면 금방 더럽혀 놓을 거예요’라는 대목에서 돼지의 옷이 깨끗하면 아이들은 책에 흥미를 잃어버리고 만다.
또한 정확하면서 다양하고, 풍부하면서 살아 있는 언어로 씌어 있는 책이어야 한다. 하지만 등장인물의 말과 행동을 일일이 설명한 책은 좋지 않다. 그런 잔소리는 책 읽는 데 방해만 될 뿐이다. 아이들은 상상의 여지가 있는 책을 좋아한다.
‘그건 내 조끼야’(비룡소)에는 단 몇 마디뿐이다. ‘엄마가 짜 주신 내 조끼. 어때, 정말 멋지지! 정말 멋진 조끼다! 나도 한번 입어 보자. 그래. 조금 끼나? 앗, 내 조끼!’가 전부다. 첫 장에는 엄마가 선물해준 빨간 조끼를 입은 꼬마 생쥐가 그려져 있다. 다음 장에는 ‘정말 멋진 조끼다. 나도 한번 입어보자’는 글과 함께 오리가 부러운 표정으로 빨간 조끼를 만져본다. 그 다음부터는 “조금 끼나?”란 글과 꽉 끼어서 불편해하는 동물이 그려져 있다. 조끼를 입어보고 싶은 친구들은 생쥐보다 더 큰 동물들이다. 결국 코끼리가 입은 후에 조끼는 쭉 늘어나 가느다란 빨간 줄이 되고 만다. 생쥐는 울상이 되지만 마지막 장으로 넘기면 줄로 그네를 만들어 타면서 즐거워하는 토끼의 모습이 보인다. 물론 이 그림의 내용을 설명하는 글은 없다. 아이가 그림을 보고 생쥐의 기분을 생생하게 느낄 뿐이다.

한편 그림책의 그림은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 아이들은 책을 꼼꼼히 여러 번 반복해서 본다. 이 페이지에는 집의 창문이 오른쪽에 있었는데, 다음 페이지에는 왼쪽에 있다면 아이는 혼란스러울 것이다.
어려서부터 좋은 책을 접한 아이들은 커서도 좋은 책을 본능적으로 가려낼 수 있다. 아이가 책과 친해지게 하려면 책을 많이 읽어준다. 또 책을 장난감처럼 가지고 놀 수 있게 한다. 책을 주면 찢어버리거나 입으로 가져가기 때문에 걱정이라는 부모도 있다. 하지만 요즘에는 아이들이 좋아할 만한 다양한 소재로 만든 책들, 예를 들어 소리가 나거나 무언가 튀어 오르는 책도 많이 있다. 또 아이들의 손 안에 들어갈 만한 작은 크기의 책들도 출판되고 있다.
[ 4~7세 ]상상력에 날개를 달아준다
이 무렵엔 호기심이 왕성해 알고 싶은 것이 많다. “이건 뭐야?” “왜?”라는 말을 입에 달고 산다. 궁금증을 부모나 책을 통해 풀고 싶기 때문에 책에 푹 빠질 수 있고 상상력이 가장 커지는 시기이기도 하다. 상상력은 눈에 보이지 않는 이야기의 세계를 자신의 마음속에 그림처럼 그리는 것이다. 아이들은 태어날 때부터 상상력이 있는 것은 아니다. 경험을 통해서 만들어간다. 그림책은 스스로 영상을 만들지 못하는 아이들에게 이야기의 세계를 그릴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그림책의 수준이 중요한 것은 그 그림을 바탕으로 상상력을 키워가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