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3년 새 서울시장이 부임한 뒤 세종문화회관에는 대대적인 변화의 바람이 불었다. 당시 ‘세종’은 무수한 ‘작업’ 전문가를 사장과 임원급 영입대상에 올렸고, 결국 2005년 12월 김주성 코오롱그룹 부회장을 사장으로 발탁했다. 그룹 구조조정본부 사장을 지낸 김 부회장은 코오롱그룹 임원들 사이에선 ‘해결하기 힘든 일이 있으면 김주성을 보내라’는 말이 있을 만큼 ‘해결사’로 통했다.
세종문화회관 사장은 재단이사회에서 추천하고 서울시장이 임명한다. 따라서 구조조정 전문가를 필요로 하는 주체는 재단이사회다. 그렇다면 왜 이들은 늘, 거친 해결사를 염원했던 것일까.
2005년 초겨울, 새로운 사장을 선임할 목적으로 재단이사회 회의가 열렸다. 이 회의에 참석했던 한 인사는 회의의 결론을 이렇게 전한다.
“세종문화회관은 웬만한 분이 와서는 운영을 할 수 없다. 지금도(2005년 당시) 밖에는 노조가 천막을 치고 농성하고 있지 않나. 노조의 핵심은 예술단 멤버들이고, 이들을 관리하지 못하면 계속 시끄러울 수밖에 없다. 이들이 노조에 기대지 않고 자기 실력을 높일 수 있도록 설득하지 못하면 세종의 미래는 없다.”
재단이사회의 바람대로 대기업 구조조정본부 사장 출신이 들어왔고 개혁 작업은 진행 중이다. 그러나 ‘세종’은 아직 시끄럽다. 문제가 수면으로 드러나지 않아 외부엔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안으로 조금만 들어가면 여러 가지 갈등으로 내홍을 겪고 있음을 목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세종’의 예산권을 쥔 서울시는 지난 2월, 8년 만에 처음으로 감사를 실시했고, 비슷한 시기에 감사원도 두 차례에 걸쳐 ‘세종’을 조사했다. 어떤 문제가 있기에 평화로운 ‘예술인 마을’에 구조조정 전문가가 들어오고, 감사관이 들이닥치는 것일까.
감사관이 들이닥친 이유
강북의 세종문화회관과 강남의 예술의전당은 같은 공연기관이지만 명확하게 다른 것이 있다. 세종문화회관엔 예술단이 있다는 사실이다. 예술단은 국악, 극단, 무용단, 뮤지컬단, 합창단, 오페라단, 청향(청소년 오케스트라), 소년소녀합창단, 청소년국악단 등 9개. 이들 중 재단이사회에서 문제 삼는 예술단은 국악, 극단, 무용단, 뮤지컬단, 합창단 등 5개 단체다. 이들은 세종문화회관의 정규 직원으로 대부분 노조에 가입돼 있다.
세종문화회관 노조는 1999년 서울시 기관이던 세종문화회관이 재단법인으로 독립하면서 함께 발족했다. 그 뒤 노사관계는 크고 작은 논란이 일면서 삐걱댔다. 서로 반목한 이유는 예술단원의 평가 방식 때문이었다. 예술단의 실력을 높이려면 정기적으로 평가를 받아야 한다는 회사의 주장과 평가를 빌미로 구조조정을 하려 한다는 노조의 반박은 만날 수 없는 평행선 같았다.
급기야 사측은 2005년 11월 국악단 단원 12명을 해고하고, 2명은 노조활동을 했다는 이유로 직위해제했다. 이에 노조는 80일이 넘도록 천막을 치고 농성을 벌였다. 이즈음 예술단을 ‘세종’에서 분리한다는 소문도 나돌았다.
이렇듯 극단적인 사태가 빈발하면서 세종문화회관 노조는 강성으로 알려지게 됐다. 예술단의 한 인사는 “우리들은 보수적이고, 변화를 싫어한다. 개인주의적 성향이 강해 노조활동도 좋아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러면 이들은 왜 강경한 사람들이 됐을까.
예술단은 신문사 조직으로 치면 기자들과 같다. 기자 한 사람, 한 사람의 빼어난 필력이 신문사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듯, 예술인도 마찬가지다. 한 사람의 예술계 스타는 공연기관의 자랑이자 나라의 자랑이기도 하다. 개인의 기량이 그만큼 대접받는다는 얘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