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날엔 다리 위에서 뛰어내렸다”
▼ 낙동강 운하 문제에 대해 먼저 묻겠습니다. ‘운하’라고 표현해도 되겠죠?
“우리는 워터 웨이(Water way)라고 합니다. 물길을 잇는다는 뜻으로요. 워낙 거부감이 심하니까, 운하라는 말에.”
▼ 편의상 ‘운하’로 하죠.
“그러죠.”
▼ 낙동강 운하의 대상인 낙동강의 수질은 요즘 어떤가요.
“옛날에는 경남 창녕 남지 쪽에서 어린이들이 목욕을 했어요. 다리 위에서 물로 뛰어내리기도 했고요. 그런데 요즘은 수량이 확 줄어서 그랬다간 큰일 나요. 또 강 밑에서 올라오는 찌꺼기 같은 것들 때문에 물에 들어가지도 못합니다. 갈수기 때는 3급수 이하로 떨어져요. 이게 낙동강의 현실입니다.”
▼ 강의 수량이 너무 적어서 문제라는 말씀인가요.
“평소에는 그렇죠. 그런데 매년 비가 많이 올 때마다 홍수 피해를 보고 있죠. 낙동강을 사이에 두고 한쪽이 창녕, 그 건너 쪽이 함안·의령이죠. 그 지역은 사정이 말이 아니에요. 강물이 불어날 때면 ‘건너 쪽 둑이 먼저 터져야 될 텐데…’라고 기도해야 하는 기막힌 일이 생겨요. 건너 쪽에서 먼저 터져줘야 이쪽에 피해가 없으니까.”
“낙동강은 이미 끝났다”
김 지사는 낙동강 홍수 피해와 관련 “2001~2005년 통계에 따르면 인명피해는 91명, 재산 피해는 3조원 가까이 된다”고 말했다. 김 지사 주장의 요지는 낙동강은 볼썽사납게 말라 있거나 홍수가 나거나 해서 큰 고통을 주고 있다는 것이다.
“낙동강은 하천 기능을 잃었습니다. 하천 유지를 위한 수량이 부족하고 퇴적토에 의한 중금속 오염이 심각해요. 한마디로 낙동강은 지금 ‘관리’가 불가능한 상태입니다. 물 문제가 지역 낙후의 주요인이 되고 있죠. 수량 부족과 오염은 필연적으로 식수난, 식수의 품질 저하를 일으키고 있습니다. 수질개선을 위해 정부는 2015년까지 낙동강에 9조7000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나 그 효과는 미지수예요. 수량 부족이라는 근본적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 빠져 있으니까요.
경남 낙동강 수계 107km에서 하루 평균 93만8000t이 취수됩니다. 그런데 경남도민 320만명이 하루에 필요로 하는 수량은 138만2000t입니다. 우리나라는 2011년부터 약 3억t의 물 부족이 예상됩니다. 지역 간 물 수급 불균형 및 물 이동의 한계로 실제 물 부족량 누계는 8억㎥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요. 낙동강 주변은 홍수 때 침수기간이 길어 피해가 무척 큽니다. 강 바닥의 퇴적토 준설이 이뤄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죠.”
▼ 낙동강의 수량·수질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운하가 필요하다는 논리인가요.
“지금은 낙동강이 방치, 방기되어 있다고 보거든요. 낙동강을 되살리고 매년 되풀이되는 홍수를 막기 위해서 낙동강 운하 사업을 서둘러야 한다고 생각해요. 이대로 두는 것은 무책임한 일이죠. 2015년(낙동강 치수계획 기간)까지 둬선 안 되고 조기에 운하사업을 집행해 수질 문제, 홍수 피해를 해결하고, 더 나아가 산업·관광·레저와 연계시켜 시너지 효과까지 가져올 수 있다면 100점 아닙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