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나 은은한 향기가 풍겨져 나오는 사람 그런 사람을 만나 함께 있고 싶다. 그 향기가 온전히 내 몸과 마음을 적실 수 있도록. 그리하여 나 또한 그 향기를 누군가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내 마음에 심고 싶은 향기 나는 나무 한 그루. -이정하, 내가 길이 되어 당신께로- |

정동영(鄭東泳·53) 전 통일부 장관은 2004년 총선을 앞두고 “노인은 투표 안하시고 집에서 쉬어도 돼요”라고 말했다가 곤욕을 치른 바 있다. 그때 일에 대해 당사자인 정 전 장관은 “도를 넘었다”고 표현했다.
“젊은이들에게 연설하면서, 투표율이 저조한 젊은이들이 꼭 투표해야 한다고 투표의 중요성을 강조하다 도를 넘었습니다. 정치인에게 말이 얼마나 중요한지 충분히 알고 있었음에도 신중하지 못했어요.”
“유신은 망할 것입니다”
한번 뱉은 말은 주워 담을 수 없어 정 전 장관 본인도 큰 어려움을 겪었지만 그 일로 아예 몸져누운 사람이 있었다. 주일대사를 지낸 최상용(崔相龍·64) 고려대 교수다. 정 전 장관은 서울대 재학시절 강사이던 최 교수의 강의를 들은 것을 계기로 30년 가까이 사제의 연을 이어왔다. 노인 폄훼 발언의 파장이 일었을 때 정 전 장관은 최 교수에게 “다시 한 번 이런 일이 발생하면 정치인으로서는 끝이다”는 말과 함께 호된 꾸지람을 들었다. 최 교수는 평소 정 전 장관에게 “정치는 말의 권력”이라고 하며 말의 무게와 깊이를 강조해왔다. 정 전 장관은 당시 의원직과 당의장직, 선대의원직을 모두 내놓았고, 그 일을 계기로 노인 문제에 대해 더 깊이 생각하고 연구하게 됐다고 한다.
두 사람이 처음 인연을 맺은 것은 1978년이다. 그해 가을, 스물다섯 살 복학생 정동영은 ‘한국일보’와 ‘문화방송’ 기자 시험에 응시했다. 그는 “동아리 선배 중 친하게 지낸 두 사람이 ‘동아일보’ 기자가 됐는데, 기자실에서 분주하게 일하는 모습이 참 멋져 보였다”고 한다. 그러나 한국일보 시험엔 떨어지고 문화방송 필기시험에 통과한 후 면접을 보게 됐다. 면접관으로 들어온 문화방송 사장은 그에게 현재의 시국을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물었다. 그는 ‘눈 가리고 아웅’식 대답을 하고 싶지 않았다. 사장이 내려다보고 있는 입사지원서엔 유신반대 시위에 가담했다가 구류를 살고 구속된 전력이 적혀 있었기 때문이다.
“유신은 망할 것입니다.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으니 강압적인 철권통치를 포기하고 민주화로 나아가야….”
면접관은 그의 말허리를 끊고 나가보라고 했다. 면접시험 도중에 쫓겨난 그는 터벅터벅 걸어 학교로 향했다. ‘한국정치론’ 수업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날도 교정은 유신 반대를 외치는 확성기 소리로 소란스러웠다.
‘한국정치론’은 60여 명의 학생이 듣는 세미나 형식의 수업이었다. 수강생 대부분이 정치학과 학생들이었다. 그는 국사학을 전공했지만 한국정치에 관심이 많아 수강신청을 했고, 그날은 마침 그가 발표하기로 되어 있었다. 발표자로 나선 그는 학생들 앞에서 “오늘 문화방송 면접시험을 봤는데, 시국관을 묻는 사장의 질문에 유신은 망할 것이라고 대답하다 쫓겨났다”고 털어놓았다. 수업이 끝나자 강사가 그를 불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