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김정운 교수의 ‘재미학’ 강의 2

창의력은 재미가 만든다

빗자루로 마당 쓸지 말라, 타고 날아라!

  • 김정운 명지대 교수·문화심리학 entebrust@naver.com

창의력은 재미가 만든다

2/6
따지고 보면 과거의 기억이란 모두 이런 식의 이야기 만들기, 즉 스토리텔링의 결과다. 의미를 부여하려는 노력들이 개인사에 관한 기억을 구성하고, 평생 반복해 재생산한다. 그래서 우리는 때에 따라 우리가 기억하고 싶은 방식으로 기억하기도 한다. 이러한 이야기를 통한 개인사의 재구성과 민족, 국가에 대한 스토리텔링은 그 생성문법이 동일하다. 고대의 역사란 이전부터 구전되던 이야기꾼들의 이야기를 활자화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최근 ‘단일민족론’에 대한 다양한 비판이 제기되는 것도 역사가 객관적 사실의 집합이 아니고, 의미를 구성하기 위한 이야기꾼들의 스토리텔링 결과라고 보기 때문이다.

기업도 마찬가지다. 잘나가는 기업일수록 스토리가 풍부하다. B&G Company, 즉 크고(Big) 위대한(Great) 기업의 조건은 B&G다. 두 번째 B&G는 ‘뻥&구라’의 약자다. 크고 위대한 기업의 이니셜과 ‘뻥 앤 구라’의 이니셜이 같은 것은 절대 우연이 아니다. ‘뻥 앤 구라’는 위대한 기업의 조건이기 때문이다.

요즘 위대한 글로벌 기업들, 예를 들어 GE나 구글, 애플, 마이크로소프트와 같은 회사에 관한 이야기를 한번 들여다보자. 위기의 순간을 극복한 최고경영자의 리더십, 신상품 개발과정에 관한 신화, 직원들의 헌신 등 참으로 다양한 이야기가 나온다. 한국도 마찬가지다. 특히 요즘 광고로 부활한 현대그룹 정주영 회장에 관한 이야기는 참 다양하다. 이젠 그의 트레이드마크처럼 되어버린 “해봤어?”와 같은 이야기는 감동적이기까지 하다. 삼성 이병철 회장, 포스코 박태준 회장에 대한 일화들은 그 기업과 관계없는 일반인에게조차 익숙하다.

낚시꾼들이 놓친 고기

창의력은 재미가 만든다

낚시꾼들에게는 저마다 월척을 놓친 흥미로운 사연이 있다.

이야기가 없는 기업은 위대한 기업이 아니다. 한국 사회가 과거의 영웅신화를 다시 떠올리는 이유는 지금 할 이야기가 마땅히 없기 때문이다. 이야기가 더 이상 만들어지지 않는다는 것은 매우 위험한 신호다. 이야기를 만들고 이야기를 반복해서 재생산할 수 있는 의미부여의 과정이 없다는 뜻이다. 꼭 위대한 영웅신화만 이야기가 되는 것이 아니다. 회사 구석구석에서 아주 작고 즐거운 이야기들이 끊임없이 회자될 때, 그 회사는 살아 있는 회사가 된다. 그러나 직원들이 모여 앉아 어젯밤 술자리 2차 갔던 이야기, 필름 끊어진 이야기, 상사 욕하는 이야기나 나누는 회사는 곧 망한다. ‘남의 돈 따먹기’ 위해 일하는 이들만 있기 때문이다.



개인도 마찬가지다. 자신에 대해 할 이야기가 별로 없다는 것은 사는 재미가 더 이상 없다는 뜻이다. 모여 앉으면 누가 아파트 팔아서 돈 번 이야기나 주고받는 삶은 삶이 아니다. 자기가 찾은 작은 즐거움에 관해 가슴 벅차올라 이야기를 나누는 삶이 진짜다. 대통령이 어떻고, 국회의원이 어떻고 하는 이야기는 진짜 내 이야기가 아니다. 날씨 이야기만큼이나 허망한 이야기다.

낚시꾼들의 이야기는 늘 자기 이야기다. 그래서 참 즐겁다. 모여 앉으면 놓친 고기에 대한 이야기가 대부분이다. 놓친 고기는 언제나 팔뚝만하다. 그 찌의 움직임, 그리고 손끝으로 느껴지는 묵직함에 대한 자세한 서술. 그리나 모두 다 끌고 와서는 눈앞에서 놓쳤다고 한다. 그 팔뚝만한 놈을. 그러곤 한 손으로 자신의 팔뚝을 잡아 표시하며 흔든다. 그러나 모두 다 안다. 그가 놓친 고기가 사실 손바닥만한 놈이었음을.

그럼에도 이 단순한 스토리 구조는 언제, 누가 해도 흥미롭다. 서로의 눈빛에는 안타까움이 교차한다. 사실 이런 이야기를 나누는 것 자체가 낚시의 본질이다. 꼭 낚싯대를 들고 고기를 잡는 것만 낚시가 아니다. 낚시가 주는 정말 큰 즐거움은 놓친 고기에 관한 이야기들이다. 그래서 오늘 저녁도 많은 낚시꾼이 낚시 TV 앞에 앉아 그 이야기를 듣는다. 한 시간 내내 고기 한 마리 못 잡는 그 황당한 프로그램을.

스토리텔링은 인간의 창조적 행위의 조건이자 결과다. 동물과 구별되는 인간의 모든 창조적 행위는 의미를 부여하려는 스토리텔링의 산물이기 때문이다. 결국 이야기 구성의 원리를 이해하면 창조적 행위의 본질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는 이야기다. 기업에서 그토록 목말라 하는 창조경영의 본질 또한 이 스토리 구성 과정을 이해하면 아주 간단해진다.

일단 단어의 의미부터 명확히 해야 한다. ‘창조경영’이란 단어는 엄밀히 말해 그리 정확한 표현이 아니다. 창조는 아무것도 없는 상태에서 새로운 어떤 것을 만들어내는 행위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어떤 인간도 아무것도 없는 상태에서는 어떤 것을 만들어낼 수 없다. 엄밀히 말해 창조라는 단어보다 ‘창의’라는 단어를 쓰는 것이 의미상 정확하다. 그러나 언어의 프래그매틱스, 즉 화용론(話用論)적 관점에 따라 창조경영을 창의성의 개념으로 이해해도 그리 큰 문제는 없다.

2/6
김정운 명지대 교수·문화심리학 entebrust@naver.com
연재

김정운 교수의 ‘재미학’ 강의

더보기
목록 닫기

창의력은 재미가 만든다

댓글 창 닫기

2023/04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