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각 자치단체가 내놓은 수돗물 브랜드. 병 모양도 물맛도 같지만 이름은 제각각이다.

1 강북아리수정수센터의 ‘아리수’ 생산 현장. 2 환경단체는 “탄소 배출을 줄이자면서 ‘페트병 수돗물’을 허용하는 것은 모순”이라고 비판한다. 3 대구는 시민공모로 뽑은 ‘달구벌 맑은물’을 브랜드명으로 정했다.

‘미추홀참물’을 만드는 인천시상수도사업본부.(좌) 페트병과 박스 포장을 거쳐 세상으로 나가는 수돗물.(우)
카메라 스케치
각 자치단체가 내놓은 수돗물 브랜드. 병 모양도 물맛도 같지만 이름은 제각각이다.
1 강북아리수정수센터의 ‘아리수’ 생산 현장. 2 환경단체는 “탄소 배출을 줄이자면서 ‘페트병 수돗물’을 허용하는 것은 모순”이라고 비판한다. 3 대구는 시민공모로 뽑은 ‘달구벌 맑은물’을 브랜드명으로 정했다.
‘미추홀참물’을 만드는 인천시상수도사업본부.(좌) 페트병과 박스 포장을 거쳐 세상으로 나가는 수돗물.(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