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 문명이 화려한 꽃을 피운 것은 인간의 창의성이 발현된 덕분이다. 그리스인들은 제우스, 헤라, 아프로디테 등 수많은 신(神)을 상상력으로 만들어냈다. 신이 인간을 빚어냈다기보다는 인간이 인간 모습을 닮은 신을 창조할 정도였다.
그리스 문명의 속성은 르네상스 때 다시 살아난다. 당시의 천재들은 엄격한 교회 질서의 굴레에서 벗어나 창의력을 발휘했다. 근대 이후에도 인간의 상상력은 빛을 뿜는다. 비행기를 예로 들어보자. 과거에는 인간이 하늘을 나는 것이 가능하다고 누가 믿었겠는가. 라이트 형제의 상상력과 추진력 덕분에 비행기가 발명됐다. 20세기에 과학기술문명이 폭발적으로 발전하면서 창조 비슷한 일들이 줄지어 일어나기 시작했다. 1980년대에만 해도 지구상에 존재하지 않던 노트북 컴퓨터가 창조되지 않았는가. 이제는 생명체를 만드는 도전도 시도되고 있다.
창조는 경영에서도 중요한 개념이 되었다. 워낙 경쟁이 치열하다 보니 ‘개선’ ‘혁신’보다 강도가 더 높은 ‘창조’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21세기에 접어들어 더욱 강조되는 것으로 보아 앞으로 오랫동안 지속될 흐름인 듯하다. 2007년 이후 한국 재계에서도 ‘창조경영’이 중요한 화두로 자리 잡고 있다. 창조경영의 선구자 조지프 슘페터(1883~1950) 전 하버드대 교수는 기술 혁신으로 낡은 것을 없애고 새로운 변혁을 일으키는 ‘창조적 파괴(creative destruction)’가 기업경제의 원동력이라고 갈파한 바 있다.
어떻게 하면 창조경영이 가능할까. 여러 경영인과 학자들은 그 노하우를 찾으려 고심한 끝에 저마다 비결을 제시한다. ‘르네상스 창조경영’(최선미·김상근 지음, 21세기북스)은 그 비결 가운데 하나다. 르네상스 시대의 거장들이 거둔 성과를 분석해 창조경영의 비밀을 밝힌 책이다.
미켈란젤로처럼 생각하라

인문예술학적 영감으로 돌파구를 열라고 강조하는 ‘르네상스 창조경영’.
저자들은 “아마 5000년 인류 역사 가운데 가장 강렬한 ‘창조성’의 기운이 분출했던 시기는 14~16세기 이탈리아와 유럽 전역에 나타났던 르네상스 시대일 것”이라며 “100년에 한 번 나올까말까 한 천재들이 4~5년 단위로 줄줄이 태어나 문학, 예술, 과학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창출한 시기”라고 강조했다. 이 책은 ‘시스템화가 불가능’한 창조경영의 ‘예술적 시스템화’를 꾀했다.
미켈란젤로가 13세 소년이던 1488년 의 일이다. 화가 견습생인 그는 천재화가 마사초(1401~1428)가 그린 ‘세례를 베푸는 성 베드로’라는 그림을 보고 경악했다. 추운 겨울에 벌거벗고 찬물을 맞으며 세례를 받는 신자가 벌벌 떨며 베드로를 째려보는 장면이었다. 거룩한 의식을 모독하는 표정이었다. 그러나 그것이 인간의 본질 아닌가. 매우 평범한 진리이지만 다른 사람들은 그것을 깨닫지 못했다. 이 책은 미켈란젤로의 이 발견을 르네상스의 출발이라고 설명한다.
오늘날 최고의 창조경영자로 꼽히는 스티브 잡스는 자신이 창업한 애플사에서 쫓겨난 후 절치부심한 끝에 아이팟을 개발해 화려하게 부활했다. 그가 ‘사물의 본질’을 꿰뚫어보는 직관력을 창조경영에 적용한 결과다. 이 책은 사물의 본질을 파악하는 능력을 키우기 위해 △남이 읽지 않는 책 읽기 △무작정 싸움 걸기 △실패의 위험 무릅쓰기 등을 시도하면 좋다고 추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