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김정운 교수의 ‘재미학’ 강의 ⑥

입꽁지 내린 중년 남성들이여, 볼살을 움직여라!

  • 김정운 명지대 교수·문화심리학 entebrust@naver.com

입꽁지 내린 중년 남성들이여, 볼살을 움직여라!

1/5
  • 돈을 벌면 벌수록 행복해진다면 누구나 돈 버는 데만 골몰할 것이다. 다행히도 필요 이상의 돈으로 행복을 느끼는 일은 드물다. 그렇다면 행복을 만드는 조건은 무엇일까. 행복에 대해 한 교수는 외부요인 10%, 유전 50%, 노력 40%에 따라 결정된다고 하고, 다른 교수는 ‘하루에 기분 좋은 시간이 얼마나 되는가’에 따라 결정된다고 한다. 그러나 내적 외적 요인이 모두 갖추어진다고 해도 행복이 보장되는 건 아니다. 사는 게 재미있어야 한다. 사는 게 재미없다는 한국 남자들. 그들에게 처방전을 보낸다.
어쩌다 별이 5개, 6개 달린 고급호텔에서 잠을 자면 몹시 행복하다. 도대체 왜 이토록 기분이 좋은 것일까. 아니, 왜 우리 집 침실에서 자면 그런 기분을 느끼지 못하는 걸까. 한동안 나는 아주 골똘히 이 질문에 대해 고민했다. 가끔 나는 이런 황당한 질문에 많은 시간을 보낸다. 그런 내게 친구 박귀현은 단호히 말했다. “간단해. 함께 자는 사람의 차이지!” 거참, 대답하기 참 많이 황당했다. 참고로 귀현이는 목욕하고 나올 때, 와이셔츠에 넥타이까지 다 맨 다음, 비로소 팬티를 입는다. 그만큼 자신 있다는 거다. 그의 주장에 의하면 세상의 모든 남자는 둘로 나뉜다. 목욕탕에서 옷 입을 때, 팬티를 ‘가장 먼저 입는 남자’와 ‘가장 나중에 입는 남자’.

별 도움 안 되는 귀현이의 조언을 무시하고, 한참 고민한 끝에 우리 집 침실과 고급호텔의 결정적인 차이, 두 가지를 찾아냈다. 우선 조명의 차이다. 호텔방은 모두 부분조명이다. 벽의 모서리마다 백열등의 스탠드가 있어, 등의 그림자가 천장까지 길게 늘어진다. 이에 반해 우리 집 침실의 조명은 형광등이다. 오래가고, 밝다는 이유에서다. 그러나 형광등은 작업장에서나 쓰는 불빛이다. 사람을 예민하게 하는 각성의 기능을 가진 불빛이다.

20년 전 그녀와 재회하다

독일을 비롯한 북반구 사람들의 집에서는 형광등 불빛을 보기 힘들다. 오후 3시면 컴컴해지는 기나긴 겨울밤을 보내야 하는 이들에게 조명은 삶의 질과 직접적인 상관관계를 갖는다. 백열등 불빛은 아늑한 느낌을 주는데, 이들이 이 조명을 쓴 지는 꽤 오래됐다. 물론 초를 켜던 오래된 습관의 연장이다. 지금도 이들은 흔들리는 촛불의 그림자에 어른거리는 상대방의 얼굴을 바라보며 이야기를 나누며 산다. 나는 다양한 초를 켜고, 진한 커피와 포도주를 마시며 보냈던 독일의 그 궁상스러운 겨울밤들이 너무도 그립다.

입꽁지 내린 중년 남성들이여, 볼살을 움직여라!

우리 집 침실과 고급호텔의 결정적 차이는 조명과 침대시트 색상에 있다.

조명은 정서다. 형광등 아래에서 느끼는 것과 백열등 아래에서 느끼는 정서는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 백열등을 이용한 부분조명은 사람에게 아늑한 느낌을 준다. 사람도 마찬가지다. 같은 사람이라 할지라도 부분조명을 뒤로한 여인의 실루엣과 형광등 아래의 여인은 질적으로 다른 존재가 된다. 신혼여행지에서 봤던 아내가 간 곳 없는 것처럼 느껴지는 까닭은 바로 조명에 있다. 그래서 과감하게 침실 조명을 바꿨다. 형광등을 없애고 구석구석 부분 조명을 설치했다. 그랬더니 그녀가 돌아왔다. 20년 전 제주도 특급호텔에서 만났던 그 아름다운 여인이 다시 돌아왔다. 한데 만져보니 팔뚝의 두께가 전혀 다른 사람이었다. 그래도 최근까지 함께 지냈던 형광등 불빛 아래의 그녀보다는 훨씬 아름다웠다.



조명보다 더 중요한 것이 있었다. 하얀 침대시트다. 특급호텔의 침대시트는 한결같이 하얀색이다. 막 다림질한 듯한 기분 좋은 까슬까슬함도 있다. 그 안에 들어가면 ‘아, 참 좋다’고 나도 모르게 중얼거리게 된다. 나는 아내에게 우리 침대도 하얀 시트로 바꾸자고 했다. 아내는 황당한 표정으로 한참을 쳐다보더니, 이렇게 대답한다. “당신이 다 세탁하고, 매번 하얀 침대보 갈고 할 수 있다면, 그렇게 해.”

그날 이후로 난 매일 밤 졸랐다. “착하게 살겠다.” 하얀 침대에서는 “정말 열심히 하겠다. 최선을 다하겠다. 정말 잘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런데도 아내는 요지부동이었다. 한번 마음먹은 일은 꼭 해야 하는 성미를 가진 나는 새벽마다 일어나 왔다갔다했다. 잠든 아내가 깨도록 불을 켜고 부스럭거렸다. 잠을 깨, 졸린 눈으로 도대체 뭐하냐는 아내에게 ‘불면증’이라고 했다. 하얀 침대시트에서는 정말 잠이 잘 올 거라고 했다. 결국 내 월급을 아내의 통장으로 직접 이체한다는 조건으로 하얀 침대시트를 얻어냈다. 요즘 난 하얀 시트에서 잔다. 잠이 정말 잘 온다. 그 깔끔한 하얀색 시트의 느낌이 정말 행복하다. 아, 그리고 … 정말 매번 최선을 다한다.

1/5
김정운 명지대 교수·문화심리학 entebrust@naver.com
연재

김정운 교수의 ‘재미학’ 강의

더보기
목록 닫기

입꽁지 내린 중년 남성들이여, 볼살을 움직여라!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