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1년 5월 ‘서울 G20 국회의장 회의’ 모습
지난 2월 29일 영어 온라인 커뮤니티 ‘Oh No They Didn‘t (ONTD)’에 민망한 글 하나가 등장했다. ‘K-Pop or KKK-Pop? 노골적인 반(反)흑인 음악이 미국을 휩쓸고 있다’는 글이다. 여기서 KKK는 악명 높은 인종차별주의 단체 KKK(Ku Klux Klan)를 의미한다.
이 글에서 아이디 ‘IFUA SKEDMETO’를 쓰는 흑인 네티즌은 K-POP 가수들의 흑인 희화화를 비난했다. ‘강심장’(SBS)‘청춘불패’(KBS) 같은 지상파 텔레비전 예능 프로그램에 출연한 이들은 흑인 성대모사를 하거나 흑인 분장을 했었다.
정신 나간 지상파 3사
지난 1월에는 ‘세바퀴’(MBC)의 출연진이 흑인 만화 캐릭터 분장을 했다. 이에 대해서도 유튜브에 항의 영상이 올라왔다. 가수 타이거 JK는 당시 ‘올케이팝’에 기고한 칼럼에서 의도성은 없었다고 하지만 인종차별 문제에 대한 교육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우리는 지금 다른 나라 국민을 어떤 눈으로 바라보고 있을까? 혹시 미국의 시각으로, 그것도 백인우월주의의 시각으로 보고 있는 건 아닐까? 한번 반문해봐야 할 일이다. 만약에 그렇다면 KKK-Pop으로 불려도 억울해할 일이 아니다.
미국은 6·25전쟁 이후 우리가 가장 동경해온 나라다. 지금도 이런 기류에 큰 변화가 있는 건 아니다. 여전히 불법적인 방법을 동원해서라도 이민을 가고 싶어 한다. 최근 들어서야 겨우 비자 면제를 받았다. 미국을 너무 동경한 나머지 그들의 시각으로 세상을 바라보아야만 제대로 보는 것 같은 환상, 그 환상이 아직도 한국 사회를 배회 중인 건 아닌지 모르겠다.
2011년 12월 5일 오후 4시 40분 대한민국은 수출 5155억6000만 달러, 수입 4860억 달러로 전체 무역규모 1조 달러 시대를 열었다. 세계에서 9번째다. 1962년 5억 달러에서 50여 년 만에 2000배 이상 무역을 늘렸다. 덕분에 국내총생산(GDP) 대비 무역의존도는 다른 나라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다. 주요 경제지표(PGI)에 따르면 2009년 우리나라 GDP 대비 무역의존도는 82.2%로 G20 국가 중 1위다. 2위인 독일(61.6%)과 20%포인트 이상 격차가 난다. 무역의존도는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상승해 2011년 무역의존도가 100%에 근접했을 가능성까지 제기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무역의존도는 1990년 51.1%, 1995년 50.3%를 거쳐 2000년대 들어 60%대를 유지하다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거치면서 급등했다. 한마디로 현존하는 지구상 최고의 통상국가가 바로 대한민국이다.
따라서 우리는 당연히 나라 밖 일에 관심이 많아야 한다. 지구상에서 일어나는 시시콜콜한 사건 하나에도 무역이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뉴스에서 외신 보도의 비율은 매우 낮다. 이 정도 통상국가라면 미국의 CNN 이상으로, 또 실시간으로 24시간 국제뉴스를 전해도 모자랄 판인데, 뉴스 후반부에 찔끔 전하는 것이 전부다.
한국 정부의 ‘거지 근성’
외신이 헤드라인에 오르는 경우도 드물다. 한국인과 관련된 사건이 아니면 비중 있게 취급되지 않는다. 우리 언론, 그 중에서도 여론을 선도한다는 지상파 3사의 국제화 수준이 의심스럽지 않을 수 없다. 흑인 비하 사건이 우연히 일어난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세상사에 무관심한 나라가 어떻게 무역 1조 달러를 달성했는지 가끔은 불가사의하게 느껴진다. ‘그냥 한국인’ 따로, ‘장사하는 한국인’ 따로 존재하는 느낌이다. 그러나 이렇게 계속 무심해도 괜찮은 걸까? 그들이 우리를 KKK라고 부르건 말건 무시하고 살면 그만일까?
따지고 보면 우리는 세계에 진 빚이 많다. 무역으로 이익을 남긴 결과 잘 먹고 잘살고 있어서 그렇다. 또한 일제로부터 해방될 때도, 전쟁의 포화 속에서 다 허물어진 나라를 되살려낼 때도, 전후 경제적 번영을 이루는 과정에서도 남의 나라 도움을 많이 받았다. 이제 누가 봐도 번듯한 나라이지만 한국 정부의 ‘거지 근성’은 여전하다.
예컨대 세계 무역 협상에서도 기후변화 협상에서도 한국 정부는 ‘개도국 지위’ 유지에 사활을 건다. 온 세계가 한국은 이제 선진국이라고 말하는 데도 우리만 개발도상국이라고 부득부득 우기는 격이다. 알고 보면 세상에 빚을 많이 진 나라, 그 결과 졸부가 되었지만 끝까지 부자가 아니라고 우기면서 제 할 도리를 하지 않는 나라, 바로 이것이 국제사회에 비친 한국의 자화상이다.
이들 눈에 한국은 몸집은 이미 어른이지만 생각은 아이인 나라에 지나지 않는다. 오죽했으면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이명박 대통령을 만날 때마다 공적개발원조(ODA)와 유엔평화유지활동(PKO) 확대를 주문 외듯이 할까? 반 총장의 당부는 이런 말과 다르지 않다. “내 조국이 한국이라는 걸 세상이 다 아는데 제발 돈 좀 풀어서 좋은 일 좀 해라. 낯 뜨겁고 쪽 팔려서 유엔 사무총장 못 해먹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