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티아고 순례길은 예루살렘, 바티스칸 가는 길과 함께 기독교 3대 순례길로 손꼽힌다. ‘성인(聖人) 이야고’란 뜻인 산티아고는 예수의 12제자 중 하나로 이 지역에 기독교를 전파한 야고보를 지칭한다. 그의 유해가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대성당에 안치된 것으로 전해진다. 1993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됐는데 오래된 교회, 십자군전쟁의 흔적, 마녀로 몰린 여자들의 화형대, ‘다빈치 코드’로 유명해진 비밀조직 템플기사단은 물론 로마시대 돌길까지 여행자의 상상력을 자극하는 유적이 곳곳에 남아 있다. 총 12개 코스가 있는데, 대표적인 코스가 프랑스길로 알려진 프랑스 남쪽 국경마을 생장피 에르포르에서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까지 약 800km에 달한다.
최원석(67) 전 코리아타임스 주간은 지난 4월 3일 시작해 5월 7일까지 35일 동안 이 코스를 완주했다. 그것도 산티아고 대성당이 끝이 아니라 야고보가 마지막에 선교활동을 했던 피니스테레와 선교 활동에 실패했다고 생각해 실망하는 야고보를 격려하기 위해 성모 마리아가 찾아왔다는 묵시아까지 다녀왔다. 900km가 넘는 대장정이다.
“공항에 마중 나온 아내가 내 얼굴이 해골이 됐다고 하더라. 체중이 9kg이나 줄었다. 무엇보다 등산을 그렇게 해도 빠지지 않던 뱃살이 사라졌다. 나이 들면 아무리 운동해도 빠지지 않는 게 뱃살이라던데, 순례길을 걷는 동안 마음속 욕심과 근심만 내려놓은 게 아니라 몸속 깊숙이 자리 잡고 있던 뱃살까지 내려놓고 온 셈이다.(웃음)”
언뜻 봐도 바지가 헐렁해 보였다. 날렵한 허리, 단단한 허벅지가 젊은이 못지 않다.
35일간 900km 종주
900km. 매일 마라톤 풀코스(약 42km)를 22일 동안 달려야 하는 거리다. 성인 걸음 속도가 보통 시속 4km, 약간 빠르게 걸으면 시속 6km다. 보통 걸음으로 쉬지 않고 하루 8시간, 약간 빠른 걸음으로는 하루 5시간씩 꼬박 한 달을 걸어야 하는, 결코 쉽지 않은 거리다.
▼ 산티아고 순례길 종주를 하게 된 계기는.
“원래 걷는 걸 좋아한다. 산을 오르다보면 ‘더 높은 곳이 없나’ 하는 생각이 드는 것처럼, 많이 걷다보면 ‘더 긴 길이 없나’ 하는 생각이 절로 든다. 산티아고 순례길은 그 옛날 성 프란체스코도 걸었을 정도로 유서 깊은 길이다. 우리에게 익숙해진 것은 10여 년 전, 파울로 코엘료의 ‘순례자’가 번역되면서가 아닐까 싶다. 나도 15년 전, ‘순례자’를 영문 번역서로 읽고는 한번 걸어보고 싶다는 생각을 해왔다. 이번에 용기를 낸 것이다.”
▼ 매일 평균 30km씩 걷는 게 쉽지 않을 것 같다.
“절대 쉽지 않다. 젊은이를 많이 만났는데, 절반 이상이 발에 물집이 잡혀 울면서 포기했다. 계속 걷다가 무릎과 다리가 상한 경우도 봤다. 도전하는 것도 좋지만 열정만으로는 안 된다. 먼저 몸을 만들어야 한다. 난 30년 가까이 등산을 하면서 계속 걸었다. 1년 전부터는 하루 20km 이상을 매일 걸으며 몸을 만들었다.”
▼ 하루 30km씩 걸으며 주위 유적지까지 둘러볼 수 있나.
“자신을 찾기 위해 명상하며 걷는 길이다. 관광이 목적이 아니다. 스페인 4개 자치지역을 통과하는 긴 길이다보니 풍경이 비슷하면서도 조금씩 달라진다. 그래서 걸으면서도 지루한 줄 모른다. 물론 길을 가다 옆으로 빠지면 유적지를 만날 수 있는데, 초행자는 한번 벗어나면 다시 순례길로 되돌아오기가 쉽지 않다. 중간에 부루고스, 레온 같은 도시가 있어 그곳에서 하루씩 쉬며 구경할 수 있다. 순례자 중에는 매일 10~15km 정도씩만 걸으며 들르는 곳의 역사와 문화를 관찰하고 즐기는 경우도 있다. 이렇게 하면 두세 달 걸린다. 나는 일정상 걷는 데 바빠 유적지를 많이 찾지는 못했다. 한편으로 아쉬움이 있기는 하다.”
▼ 굳이 걷는 고행을 한 이유가 있나.
“‘나를 깨닫겠다’ 등 어떤 커다란 목적을 갖고 걷는 사람도 많다. 하지만 나처럼 우매한 사람은 어떤 깨달음을 얻었다가도 현실로 돌아오면 금방 잊어버린다.(웃음) 깨달음도 흘려보내는 게 인생이 아닐까 싶다.”
▼ 그런데 왜 그런 고생을 하나.
“에베레스트산 등정에 3번이나 도전한 영국의 전설적 산악인 조지 말로리는 ‘왜 당신은 에베레스트를 등정하려고 하느냐’는 질문에 ‘그게 저기 있기 때문’이라고 대답했다. 그 말의 진짜 의미를 알겠더라. 나도 ‘길이 있기 때문에 그냥 걷고 싶다’고 말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