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정가 핫이슈Ⅰ ‘청와대-새누리당 전쟁’ 후폭풍

행정부 우월주의에 빠진 수직형 ‘여왕 리더십’

박근혜 ‘승부사 정치학’ 연구

  • 최진 | 대통령리더십연구소장

행정부 우월주의에 빠진 수직형 ‘여왕 리더십’

1/4
  • 靑 18년, 은둔 18년…36년간 ‘닫힌’ 리더십
  • ‘디바이드 앤드 룰(Divid & Rule)’, 2인자는 없다
  • ‘침묵’의 정치, 늑장대응·인사 난맥상으로 나타나
  • 계보·사심 없는 조자룡 스타일 참모 선호
행정부 우월주의에 빠진 수직형 ‘여왕 리더십’

6월 25일, 박근혜 대통령은 청와대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정치권을 향해 질풍노도와 같은 발언을 쏟아냈다. 국무총리와 각부 장관, 그리고 청와대 참모들이 전원 참석하고, 국민이 지켜보는 공개된 자리였다. 박 대통령의 말투와 표정은 오뉴월의 서릿발처럼 차갑고 싸늘했다. 발언 내용이 얼마나 셌던지, 한 야당 의원은 6·25전쟁을 빗대 ‘대통령이 국회를 침공한 날’이라고까지 표현했다.

이날 박 대통령의 메시지는 3가지였다. ‘정치권은 집단 이기주의에 빠졌다’ ‘여당은 자기 정치 하지 마라’ ‘유승민 원내사령탑은 책임지고 물러나라’. 박 대통령의 발언이 끝나자마자 김무성 대표의 표현대로 ‘전쟁’이 일어났다. 청와대와 유승민, 친박과 비박 간에 육박전에 가까운 전투가 연일 벌어졌다. 결국 유승민 원내대표가 13일 만에 사퇴함으로써 전쟁은 끝난 듯 보이지만 지금도 ‘총성 없는 전쟁’은 계속된다.

13일 동안 보여준 ‘박근혜 리더십’은 한마디로 위력적이었다. 대한민국을 한동안 공포에 몰아넣은 메르스 정국은 온데간데없이 사라졌고, 한없이 쪼그라들었던 친박계 의원들이 다시 득세했으며, 박 대통령의 일거수일투족은 온 국민의 시선을 빨아들였다. 도대체 무엇이 그렇게 만들었으며, 어떤 결말로 이어질까?



“현대판 왕정이 부활했다”





박 대통령의 롤 모델로 흔히 대처 전 영국 총리와 메르켈 독일 총리 등이 꼽힌다. 이공계 출신에 아버지의 가르침, 우파 정치인이라는 점이 닮았다는 이유다. 또 다른 롤 모델은 엘리자베스 1세 여왕이다. 근대 영국을 40여 년간(1558~1603) 통치하면서 ‘영원히 해가 지지 않는 나라’로 만든 엘리자베스 1세는 평생 독신으로 살면서 “나는 조국과 결혼했다”고 공언한 점, 유난히 애국주의를 강조하고, 왕족이면서도 빈민 복지정책에 애쓴 점, 해양강국을 강조한 점 등이 박 대통령과 닮았다.

박 대통령의 리더십을 보면, 총리 스타일보다는 여왕 스타일에 가깝다. 총리의 경우 수평적 리더십에 익숙한 반면 여왕은 수직적 리더십에 익숙하다는 점에서 총리와 여왕의 리더십은 크게 다르다. 그만큼 두 스타일은 충돌할 소지가 다분하다. 박 대통령과 유 전 원내대표의 충돌도 수직적 리더십과 수평적 리더십의 충돌로 보는 시각이 있다.

수직적인 상명하복이 체화된 박 대통령의 시각에서 볼 때, 유 전 원내대표와 비박계 의원들의 태도는 불경스럽기 짝이 없었을지 모른다. 새정치민주연합 의원들은 그런 박 대통령을 향해 “용상에 앉아 대감들을 호통치는 제왕을 연상케 한다. 현대판 왕정이 부활했다”고 비판했다.

친박계의 한 핵심 인사는 사석에서 이렇게 말했다. “과거 박 대통령과 정면으로 맞서서 정치적으로 살아남은 사람이 없었다.” 그러면서 이회창 전 총재, 박희태 전 국회의장, 강재섭 전 대표, 박세일 전 의원, 김종인 전 경제수석, 이상돈 전 중앙대 교수, 전여옥 전 의원에 이어 유 전 원내대표의 이름을 거론했다.

절대 권력자가 가장 싫어하는 것이 ‘배신’이다. 로마의 영웅 시저가 최측근이자 양아들인 브루투스의 칼에 찔려 죽은 것을 흔히 배신정치의 원조로 꼽는다. 시저는 “브루투스, 너마저…”라고 탄식하며 배신의 정치에 치를 떨며 쓰러졌다. 그런데 ‘죽은 시저’와 ‘죽인 브루투스’는 서로를 배신자라고 비판했다. 시저는 자신이 아들처럼 대하며 믿었던 브루투스를 배신자라고 생각했지만, 브루투스는 시저가 독재정치를 펴며 조국 로마를 배신했기 때문에 그를 죽였다고 항변했다. ‘독재자 시저’ vs ‘공화주의자 브루투스’의 프레임을 만든 것이다.

유 전 원내대표도 사퇴의 변을 통해 “내 정치생명을 걸고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임을 천명한 우리 헌법 1조1항의 준엄한 가치를 지키고 싶었다”고 말했다. 이는 ‘박 대통령이 민주공화국에 반하는 정치를 했기 때문에 유승민이 저항할 수밖에 없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마치 ‘독재자 박근혜’ vs ‘의회주의자 유승민’의 프레임을 의도한 것처럼 보인다. 유 전 대표가 의회 권력이 마침내 왕의 권력을 이긴 17세기 영국의 명예혁명을 내심 염두에 뒀던 건 아닐까?

행정부 우월주의에 빠진 수직형 ‘여왕 리더십’


1/4
최진 | 대통령리더십연구소장
목록 닫기

행정부 우월주의에 빠진 수직형 ‘여왕 리더십’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