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6월호

“세월호는 떠받들고 천안함은…분해서 못 죽는다”

[6·25 70주년] 文대통령에게 천안함 책임 따진 故 민평기 상사 어머니 윤청자 여사

  • 배수강 기자

    bsk@donga.com

    입력2020-05-23 10:00:01

  • 글자크기 설정 닫기
    • 얼마나 예쁜 아들이었는데… 시신 너무 추워 보여

    • 文 막아서며 “천안함 누구 소행이냐”

    • 文 ‘인정한다’는 말, 무슨 뜻인지 몰라 달려갔다

    • 끝내 ‘천안함은 북한 소행’ 한마디 안 하고…

    • 대통령 참석 소식에 ‘선거 때문이구나’

    • 김영철 방남한다기에 청와대 뛰어들려 했다

    • 세월호 당시 유족들에 직접 쑨 녹두죽 160인분 선물

    • 천안함 재조사? 제대로 하겠나, 우스갯거리 만들지

    • 보상금 기부하고 해외 참전용사에 식사 대접

    • 나라 바로잡을 때까지 똥물이라도 먹고살아야지

    [박해윤 기자]

    [박해윤 기자]

    지난 3월 27일 국립대전현충원에서 열린 제5회 서해수호의 날 기념식에서 분향을 하던 문재인 대통령을 막아선 백발노인이 있었다. 그는 문 대통령에게 “천안함 폭침 사건이 누구 소행이냐”고 읍소하듯 물었다. 

    노인은 2010년 3월 26일 북한 잠수함의 어뢰 공격으로 침몰한 천안함 승무원 고 민평기 상사의 어머니 윤청자(77) 여사다. 그는 이날 기념식 직후 스트레스성 심장부종으로 병원 신세를 졌다. 당시 윤 여사 아들은 “기념식 일로 어머니가 너무 답답해하셔서 인터뷰를 하면 병세가 더 심해질 수 있다”며 ‘신동아’의 인터뷰 요청을 정중히 거절했다. 무엇이 그렇게 답답했을까. 

    한 달여 가족과 대화 끝에 5월 14일 오전 충남 부여군의 한 신경외과에서 윤 여사를 만날 수 있었다. 윤 여사는 얼마 전 다리 골절을 당해 입원 중이었다. 인터뷰를 위해 병원에서 마련해 준 빈 병실로 힘겹게 들어서던 그가 주머니에서 주섬주섬 뭔가를 꺼냈다. “먼 길 오시느라 수고하셨슈” 하며 드링크 음료 두 병을 건넸다. 그와 빈 병상에 걸터앉아 3월 27일 ‘그날’로 되돌아갔다.

    내가 文대통령에게 다가간 이유

    윤청자 여사가 3월 27일 국립대전현충원에서 열린 서해수호의 날 기념식에서 분향하는 문재인 대통령에게 질문을 하고 있다. [뉴시스]

    윤청자 여사가 3월 27일 국립대전현충원에서 열린 서해수호의 날 기념식에서 분향하는 문재인 대통령에게 질문을 하고 있다. [뉴시스]

    -다리는 괜찮으세요? 

    “힘들죠. 제 부주의로 넘어져 골절상을 입었어요.” 

    -3월 27일 서해수호의 날 기념식 다음 날 일부 뉴스가 났는데요. 

    “현장에 있던 기자들이 썼나 봐요. 농사짓고 있는데 밭으로 찾아온 기자도 있었는데 정식 인터뷰는 안 했어요. 제 속마음을 애기하기도 싫었고요.” 



    -그렇군요. 그날 기념식에 참석한 문 대통령에게는 왜 다가갔나요. 

    “전날(3월 26일) 천안함 폭침 10주기 행사를 하고 집에 와 있었어요. 27일은 합동 행사였는데 대통령이 온다는 걸 전혀 몰랐어요. 27일 행사장에 가니 ‘대통령이 온다’며 수군거리기에 ‘기회’를 노렸어요(서해수호의 날은 제2연평해전, 천안함 피격, 연평도 포격도발로 희생된 55용사를 함께 기리는 기념일이다).” 

    -왜 기회를 노렸나요. 

    “대통령을 만날 기회가 없었으니까요. 혼자 생각 많이 했어요. 대통령께 말은 하고 싶은데, 옆으로 바로 다가가면 경호원들이 나를 잡을 거 같았어요. 그래서 한 걸음씩 몰래몰래 다가가 분향하는 대통령 손을 붙잡고 물었어요. ‘대통령님, 누가 천안함 우리 아이들을 저렇게 했는지 확실하게 말씀해 주세요. 누가 했는지’라고.” 

    -대통령 답변은 어땠나요. 

    “‘우리 정부에서는 인정하고 있어요. 인정합니다’라고 하더라고요.” 

    -무엇을 인정한다는 의미였나요. 

    “그러게요. 나는 그게 답답했어요. 이남일 수도 있고, 이북일 수도 있다는 거 아닌가요. 대통령 손을 놓으니 분향하고 바로 내려가셨어요. 분향 뒤 천안함 46용사 등 묘역참배가 예정돼 있었는데, 버스(유가족을 태운 단체버스)를 타고 가면 대통령을 못 보겠다 싶어 허겁지겁 먼저 가서 기다렸죠.” 


    대통령 참석 소식에 머리끝이…

    -왜요. 

    “대통령의 ‘인정합니다’는 말, 그 말이 도대체 무슨 말인지 확인하려고요. 뭘 인정한다는 건지.” 

    -그래서요. 

    “대통령을 비롯해 높으신 분들이 차례로 오시기에 재차 가서 물었어요. ‘대통령님 이번에는 (천안함 폭침이 누구 소행인지를) 확실히 밝혀주세요’ 했더니 ‘알았습니다’라고 하더라고요. 기어코 ‘북한 소행’이라는 말은 안 해요.” 

    -대통령이 참석한다는 말을 들었을 때는 어땠나요. 

    “순간 머리끝이 쭉 올라가더라고요. 역대 대통령들과 달리 문 대통령은 한 번도 본 적이 없었거든요. 그래서 유가족들은 ‘투표(4·15 총선) 앞두고 있어 표 얻으러 왔나’ 하고 생각했죠.” 

    -서운한 감정이 있었나요. 

    “자식을 그렇게 보냈는데 서운한 게 왜 없겠어요. 가정에 부모가 있다면 나라에는 대통령이 국민의 부모 아닌가요. 국민은 아파하는데 ‘새끼(자식뻘) 같은’ 김정은(북한 국무위원장)에게 끌려다니고,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 폐막식에 (천안함 폭침 주범으로 알려진) 김영철(북한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을 끌어들이는 대통령이 어디 있나요. 그때 김영철이가 온다고 해서 청와대 앞에서 천안함 유족들과 데모하고, 이 답답한 심정을 전달하려 청와대에 뛰어 들어가려고 했어요. 지금도 천안함 폭침이 북한 소행이 아니라는 사람들이 있는데 대통령이 (북한 소행)이라고 말해 줬으면….” 

    -국가보훈처 등에서 천안함 유가족들에게 당시 김영철의 방남에 대해 이해를 구하지는 않았나요. 

    “제 말이 그 말이에요. 그런 소리 한번 들었으면 원이 없겠어요. 남북 상황이 이러니 이해해 달라고 했으면…분통이 터져 눈을 못 감겠어요. 그런데 정치인들이나 관료들은 딴 데 가서는 어떻게 했나요. 입에 올리기도 싫어요.” 

    윤 여사는 한동안 말을 잇지 못했다. 오른손으로 가슴을 쳤다. 

    “천안함 추모 행사 때 오는 정치인들은 유족에게 인사도 안 하고 애국가도 안 부르는 경우도 많았어요. 그런데 세월호 사고 때 정치인들 행동은 어땠나요. 민주당 정치인들은 ‘세월호’는 떠받들고, 나라를 지키다 산화한 천안함 사건은 ‘북한 소행이 아니다’ ‘폭침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는데 유족들은 왜 날뛰느냐’ 같은 모진 말을 쏟아내요. 그런 말 한 정치인들 멱살이라도 잡으려고 전국을 돌아다닌 적도 있고, 천안함 추모 행사에 온 친북(성향) 인사에게 항의하기도 했어요. 생각해 보세요. 자식이 아파서 보냈다면 그건 부모와 먼저 간 사람 몫이지만 천안함 46명은 무슨 죄가 있나요. 그런데도 북한을 두둔하고 이렇게 유족 가슴에 대못 박으면 됩니까. 그 생각을 하면 사지가 떨려요. 앞으로 누가 나라를 지키겠습니까. 나는 분해서 죽지도 못해요. 나라 지키다 순국한 용사들을 존중해야죠. 나라를 바로잡을 때까지 똥물이라도 먹고살아야죠.”

    농사지은 녹두로 죽 쑤어 찾아간 팽목항

    윤 여사는 2014년 세월호 사건 당시 전남 진도군 팽목항으로 내려갔다고 했다. 직접 재배한 녹두로 죽을 쑤어 160인분을 도시락에 담아 갔다. 이심전심이었다. 

    “내 자식을 그렇게 보내고 보니 세월호 부모들 마음이 어떤지 너무 잘 이해가 됐다. 작은 위로라도 됐으면 하는 마음으로 갔다”는 그의 눈에 어느새 눈물이 맺혔다. 기자도 눈시울이 붉어졌다. 한동안 질문을 할 수 없었다. 

    윤 여사는 천안함 폭침 사건이 있던 2010년 3월 26일 밤을 생생히 기억했다. 천안함은 그날 오후 9시 22분 북한 잠수함의 어뢰 공격으로 침몰했다. 어려운 질문을 했다. 

    -천안함 사고 당시 기억이 나세요. 

    “생생하죠. 밤에 TV를 보니 ‘서해에서 천안함이 두 동강 났다’고 해서 가슴이 후들후들거렸어요. 평기가 평택에서 근무했으니 혹시나 해서 전화를 했죠. 그런데 신호는 가는데 받질 않아요. 밤새 받지 않아요. 얼마 있다가 실종자 명단이 나오는데, 처음에는 아들 이름이 안 보여 안도했는데, 5차 실종자 명단에 평기가 나왔어요. 아이고, 어떻게 이런 일이 생길 수가 있습니까. 어떻게. 펄쩍펄쩍 뛰다가 슬리퍼 바람에 둘째 아들이 있는 논산으로 가서 곧장 평택으로 갔어요.” 

    윤 여사는 한 손은 가슴에, 한 손은 아들 머리를 쓰다듬는 듯한 손짓을 했다. 

    “군함을 타고 아들이 산화한 바다로 가는데 칼바람이 왜 그렇게 불던지 오래 있지도 못했어요. 그때 빨리 좀 찾아달라고 얼마나 소리쳤는지…. 결국 한 달 뒤에 아들 시신을 수습했는데, 태극기를 덮고 얼굴만 내민 평기가 얼마나 추웠으면 얼굴에 부기(浮氣)도 없어요. 너무 추워 보여 품에 안으려니 군인들이 시신을 만지지 못하게 해요. 화장터에 갈 때 아들 다리를 만져보니 양쪽에 깁스를 해 놨더라고요. 만지면 시신이 훼손될까 봐…. 얼마나 예쁜 아들이었는데요.” 

    -고 민 상사는 어떤 아들이었나요. 

    “5남매 중에 막내였는데, 공부도 제일 잘해서 대학도 중어중문학과 수석으로 들어갔어요. 남편이 제일 아끼던 아들이었어요. 그래서 남편도 충격이 컸어요. 현충원에 갈 때면 나는 땅을 치면서 원통해하지만 남편은 저 멀리 가서 앉아 혼자 울고 있어요. 남편은 퇴직 후 문화재해설사로 일했는데, 아들을 먼저 보내고 나서는 매일 술에 의지했어요. 결국 방광암에 걸려 재작년 80세를 일기로 평기가 있는 데로 가셨어요.”

    “총알이라도 만들어달라”

    윤청자 여사가 2011년 3월 25일 경기 평택시 해군 제2 함대사령부에서 열린 ‘3·26 기관총’ 기증식에 참석해 K-6 기관총을 살펴보고 있다. 윤 여사 왼쪽은 김성찬 당시 해군참모총장. [원대연 동아일보 기자]

    윤청자 여사가 2011년 3월 25일 경기 평택시 해군 제2 함대사령부에서 열린 ‘3·26 기관총’ 기증식에 참석해 K-6 기관총을 살펴보고 있다. 윤 여사 왼쪽은 김성찬 당시 해군참모총장. [원대연 동아일보 기자]

    -가슴이 아팠겠어요. 

    “말해서 뭐해요. 우리는 황송하죠. 아직 시신을 수습하지 못한 6명의 부모들도 있는데 그분들 마음은 오죽하겠어요. 이후에 천안함을 인양했다고 해서 가 보니 너무 처참해 큰아들 보고 ‘평기가 전생에 무슨 죄가 있느냐. 그리고 보상금이 무슨 필요가 있느냐. 국방을 튼튼히 하는 데 써야겠다’고 했더니 아들도 ‘그렇게 하시라’더군요.” 

    아들을 떠나보내고 3개월 뒤인 2010년 6월, 당시 이명박 대통령은 천안함 유족을 청와대로 초청했다. 이 자리에서 윤 여사는 보상금 1억 원을 기부했고, 해군은 심사숙고 끝에 이 성금을 포함해 5억 원을 들여 함정에서 적을 직접 타격할 수 있는 K-6 기관총 18정을 구입해 ‘영주함’ 등 2함대 소속 9척에 2정씩 장착했다. 총신에는 ‘3·26 기관총’이라고 새겼다. 2011년 3월 25일 천안함 폭침 1주기를 맞아 열린 ‘3·26 기관총 기증식’에서 윤 여사는 새로 장착한 3·26 K-6 기관총을 붙잡고 오열했다. 

    -그래서 보상금을 전달했군요. 

    “청와대가 초청해서 갔는데 돈을 누구에게 전달할지 몰랐어요. 그래서 경호원으로 보이는 사람에게 ‘높은 사람’ 좀 불러달라고 했더니 자기에게 말하라고 해요.” 

    -그래서요? 

    “‘북한 놈들이 다시는 귀여운 아들딸들을 하늘에 보내지 않도록 총알이라도 만들어달라’고 성금을 전달했어요. 그런데 대통령이 얘기를 들었나 봐요. 좀 있다가 찾는다고 해서 갔더니 이 대통령이 인사를 하며 위로해 줬어요. 그 때도 대통령에게 ‘국방을 튼튼히 해달라’고 부탁했어요. 저는 혼자서 농사짓고 먹고 살아요. 돈도 많이 필요 없어요. 힘내라고 영양제도 주고 가시는 분들도 있어요.” 

    -영양제를요? 

    “2010년 어느 날 택시를 타고 5명이 찾아왔대요. 제가 없으니 둘째 아들에게 ‘어머니가 얼마나 아프시겠느냐’며 주고 갔대요. 나중에 열어보니 직원들이 모은 성금도 있더라고요. 이후 매년 영양제와 선물을 보내줘요. 그런데 올해는 마스크를 보내주셨는데, 마침 연락처가 인쇄된 포장지를 통해 연락이 닿았어요. 경기도에서 기업을 하는 분이었는데 10년 만에 통화를 했어요. 얼마나 고마운지….” 

    윤 여사는 회사 직원들이 모금해 전달한 성금(898만8000원)도 2함대 사령부에 기부했다.

    6·25전쟁과 ‘앞잡이’들

    -올해는 6·25전쟁 70주년이 되는 해이기도 해요. 

    “8살 때 6·25가 나서 지금도 생생히 기억해요. 그때 충남 서천군 마성현이라는 바닷가에서 살았는데, 머슴살이하던 사람들이 경찰이나 부자들을 북한 인민군에게 밀고하면 인민군들이 와서 죽이고 불을 지르고 했어요. 전쟁이 끝난 뒤에는 가족을 잃은 주민들이 이들 ‘앞잡이’들을 몽둥이로 때리고 물어뜯고…당시 피난을 가면서도 사람이 보이면 논두렁에 숨어 지냈어요. 전쟁은 절대 일어나면 안 됩니다. 그래서 누가 뭐래도 국방만큼은 튼튼히 해야 하는데, 정부는 북한도 받지 않겠다는 쌀을 왜 주려고 합니까. 북한은 우리 것 받아먹고(대북지원) 핵을 만드는데, 우리도 필요하면 핵무기까지 만들어 대비를 해야죠. 얼마 전 북한이 초소에 총을 쐈는데도(5월 3일 북한군의 중부전선 비무장지대 내 감시초소(GP) 총격 사건) ‘오발 사고’라며 덮는 데 급급하잖아요. 북한 김정은도 그래요. 제 백성들 밥 잘 먹여서 거둘 생각은 안 하고 자기 배만 불려야 되겠어요. 저는 전쟁을 경험해 보니 6·25 때 우리를 도와준 참전국들에 감사 인사를 하고 싶어 몇 해 전에는 에티오피아에 다녀왔어요.” 

    -에티오피아에는 어떻게…. 

    “에티오피아 군인 수천 명(3518명 파병, 658명 전사)이 한국에 와서 목숨을 잃었는데, 참전용사들 대부분이 어렵게 산다는 걸 TV를 통해 알게 됐어요. 국민으로서 ‘고맙다’는 인사라도 하고 싶어 참전용사를 돕는 목사 한 분을 소개받았어요. 두바이를 경유해 에티오피아에 가서 참전용사 20여 명에게 점심 식사 한번 대접하고 왔어요. 너무 고맙다고 인사했죠.” 


    “유관순 열사는 나라를 위해 죽었는데…”

    -너무 먼 거리인데요. 

    “자식들에게 ‘나 좀 보내다오’ 했더니 자식들은 거리가 멀다고 말려요. 그래서 유관순 열사는 나라를 위해 죽었는데 그 정도는 아무것도 아니라고 우겼더니 딸이 동행하기로 하고 3000만 원을 만들었어요. 1000만 원은 경비로 쓰고 2000만 원은 참전용사를 위해 써달라고 하고 왔어요.” 

    -참여연대 등 일각에서는 여전히 천안함 재조사를 주장하는데요. 

    “현 정부에서 재조사를 한다면 제대로 재조사해 주겠어요? 나는 무식해도 그런 건 알아요. 오히려 우스갯거리를 만들어놓지. 지금도 천안함 폭침이 북한 소행이 아니라는 사람이 많은데…내 맘을 하늘이 알겠어요, 땅이 알겠어요.” 

    -그렇군요. 

    “저는 잘 모르지만 정치는 왜 하고, 나라는 왜 지키나요. 싸움하려고? 권력을 부리려고? 나는 이제 살 만큼 살아서 괜찮아요. 우리 조상들이 고생해서 살려놓은 이 나라를 정신 바짝 차리고 바로잡아야 해요. 6·25전쟁 70주년에 나라 빼앗길까 걱정입니다.”



    댓글 0
    닫기

    매거진동아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추천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