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난중일기로 만난 이순신과 조선

한 손엔 붓, 한 손엔 칼 독서는 활을 쏘듯

武臣 뒤에 숨은 文臣

  • 박종평 | 이순신 연구가 goldagebook@naver.com

한 손엔 붓, 한 손엔 칼 독서는 활을 쏘듯

1/3
  • 조선에는 이순신과 같은 명장(名將)이 많았다. 그런데도 이순신이 최고의 군신(軍神)으로 기억되는 것은 그의 필력(筆力)과 독서력, 그리고 배운 것을 활용하는 응용력 때문이다. 무신 이순신 뒤에는 문신 이순신이 숨어 있다.
한 손엔 붓, 한 손엔 칼 독서는 활을 쏘듯
이순신을 떠올릴 때 가장 많이 거론되는 말은 무엇일까. 탁월한 리더, 불패의 명장, 거북선, 혁신경영가, 시인, 효자 등이다. 그런데 이들을 연결해보려는 시도는 많지 않은 것 같다.

필자가 이순신을 공부하면서 중심에 둔 자료는 4개다. 그가 남긴 ‘난중일기’와 그의 보고서 모음집 ‘임진장초(壬辰狀草)’, 그의 조카 이분(李芬·1566∼1619)이 쓴 최초의 이순신 전기 ‘이충무공행록(李忠武公行錄)’, 이순신을 군신(軍神)으로 만들어준 류성룡(柳成龍·1542∼1607)의 ‘징비록(懲毖錄)’이다. 이 자료가 없었다면 오늘날 우리가 아는 이순신은 존재할 수 없었으리라.

그의 시작과 끝은 ‘글’

난중일기에는 시대의 엄혹한 사명 앞에 선 ‘인간 이순신’의 모습이 담겨 있다. 그의 한과 눈물, 통곡, 인간관계와 함께…. 임진장초에는 사람이 사람을 잡아먹는 참혹한 비극 앞에서 군사와 백성을 먹여 살리고, 잔인하고 무서운 적을 눈도 깜짝 않고 최전선에서 마주해 싸우며 승리하는 ‘불패의 명장 이순신’이 생생히 살아 있다.

이충무공행록은 이순신의 삶을 시간 순으로 보여준다. 특히 그 유명한 문장 “신에게는 아직도 12척의 전선이 있습니다(今臣戰船尙有十二)”라는 ‘자기확신의 화신 이순신’이 새겨져 있다. 징비록에는 진중(陣中) 경영자 이순신과 불패의 병법가 이순신의 면모가 수놓아져 있다.



그럼에도 알 수 없는 것이 있다. 이순신은 어떤 과정을 거쳐 그런 사람이 될 수 있었을까. 그의 지혜의 원천은 무엇이었을까. 이순신은 난중일기와 임진장초에 그에 대한 답을 유추할 만한 흔적을 남겨놓지 않았다. 이순신을 곁에서 지켜보며 기록한 이충무공행록과 징비록에도 그 부분에 대한 묘사는 불명확하다. 하지만 그의 말과 글의 편린을 추적해보면, 그 스스로는 말하지 않았으나 ‘아! 그랬구나!’ 하고 느껴지는 지점이 있다.

조선시대에 이순신만한 명장은 또 없었을까. 그렇지 않다. 임진왜란 당시에도 이순신만큼이나 열악한 조건에서 자신의 삶을 불태운 명장이 허다하다. ‘육지의 이순신’으로 불리는 정기룡(鄭起龍·1562∼1622), 진주대첩의 김시민(金時敏·1554∼1592), 행주대첩의 권율(權慄·1537∼1599), 연안성 전투의 이정암(1541∼1600), 선조가 명나라 장수에게 자랑한 한명련(韓明璉·?∼1624), 명나라 장군 모국기(茅國器)가 인정한 장수 이운룡(李雲龍,·1562∼1610), 자타가 공인한 명장 곽재우(郭再祐·1552∼1617) 등 한 손으로는 꼽을 수 없을 만큼 많다.

조선은 500년 역사를 지녔다. 난세는 물론이고 평시에도 변방에서는 크고 작은 전투가 있었다. 그 현장엔 유명하건 그렇지 않건 무수한 장수들과 민초가 있었다. 그런데 대부분은 잊혔다. 이순신과 그들의 차이는 바로 ‘글’에 있다. 그들은 이순신처럼 일기와 보고서를 제대로 남기지 않았다. 이분이나 류성룡처럼 공인할 수 있는 위치에 있는 다른 사람이 남긴 평가 기록도 많지 않다.

‘칼을 든 이순신’ 이전에 ‘붓을 든 이순신’이었기에 그는 오늘날까지, 아니 이 땅이 존재하는 날까지 영원히 남을 위대한 인물이 됐다고 본다. 글은 그의 시작과 끝이다. 그의 글에는 온전한 삶, 고통스러운 삶, 영광의 삶이 다 들어 있다.

임진왜란 중 이순신의 진영을 오가며 그를 보좌한 조카 이분은 이충무공행록에 다음과 같은 기록을 남겼다.

“처음에는 두 형을 따라 유학(儒學)을 배웠고, 유학으로 성공할 만한 소질이 있었다. 그러나 매번 붓을 던졌고 군인이 되려고 했다. 병인년(1566년, 22세) 겨울에야 비로소 무예를 배우기 시작했다. (…) 겨우 한두 잠을 잔 뒤 사람들을 불러들여 날이 샐 때까지 의논했다. 정신력이 보통사람보다 배나 더 강해 때때로 손님과 한밤중까지 술을 마셨지만, 닭이 울면 반드시 일어나 촛불을 밝히고 앉아 사색하거나, 책과 서류를 보거나, 사람들을 불러모아 전술을 강론했다.”

이순신은 22세 가을까지 유학을 공부하다가 그해 겨울에야 무과로 바꿨다. 그리고 10년 뒤인 32세에 합격했다. 20대 초반까지 그는 그 시대 다른 사대부 집안의 청소년처럼 칼을 든 군인의 삶이 아니라 붓을 든 선비 · 관료의 삶을 지향했다.

글로 성공할 수 있을 만큼의 재능도 있었다. 이순신의 멘토 류성룡은 ‘징비록’에서 “순신의 사람됨은 말과 웃음이 적고, 얼굴은 단아하며 근엄하게 생겨서 마치 수양하는 선비와 같았으나 속에는 담기(膽氣)가 있었다”며 책 읽는 선비 풍모를 그렸다.

‘膽氣를 품은 선비’

그런 이순신이기에 7년 전쟁 중에도 붓을 놓지 않고 매일 일기와 수많은 보고서를 쓸 수 있었다. 난중일기와 임진장초에 직간접적으로 언급된 독서력을 갖췄다. 그는 이충무공행록의 기록처럼 새벽에 일어나 책을 읽었다. 독서는 어느 날 갑자기 되는 일이 아니다. 습관이다.

이순신은 어떻게, 무엇을 공부했기에 그런 자질과 습관을 키울 수 있었을까. 그 해답은 선비들의 독서 과정과 독서법에 있다. 그 시대 문과 과거시험을 준비하는 선비들은 오늘날과 같이 세밀한 학습 과정은 아니더라도 나름의 훈련 과정을 거쳤다.

조선 왕세자의 일과가 대표적이다. 왕세자는 4세 때부터 공부를 시작했다. 아침 6시부터 공부를 해야 했다. 학습 순서를 보면, 한문의 기초를 터득하는 ‘천자문’, 인간으로서의 예의범절을 공부하는 ‘동몽선습’ ‘격몽요결’ ‘소학’ 등을 배운 뒤, 유교 경전인 ‘논어’ ‘맹자’ ‘중용’ ‘대학’ ‘시경’ ‘서경’ ‘역경(주역)’을 집중적으로 공부했다.

그 후 나라의 흥망성쇠를 풀어쓴 역사서인 ‘사기’ ‘춘추좌전’ ‘자치통감’ ‘십구사략’ ‘역대병요’를 공부했다. 자신의 역사를 알고자 하는 이는 ‘삼국사기’ ‘고려사절요’ ‘동국통감’ ‘동국병감’을 따로 공부했다.

1/3
박종평 | 이순신 연구가 goldagebook@naver.com
목록 닫기

한 손엔 붓, 한 손엔 칼 독서는 활을 쏘듯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