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난중일기로 만난 이순신과 조선

한 손엔 붓, 한 손엔 칼 독서는 활을 쏘듯

武臣 뒤에 숨은 文臣

  • 박종평 | 이순신 연구가 goldagebook@naver.com

한 손엔 붓, 한 손엔 칼 독서는 활을 쏘듯

3/3
이순신의 담박한 문장

한 손엔 붓, 한 손엔 칼 독서는 활을 쏘듯

악비가 금나라에 연승을 거듭하자 이를 시기한 진회가 악비를 죽음으로 몰아넣었다. 그 후 중국인들은 악비의 사당 앞에 무릎 꿇은 간신 진회의 상을 세우고, 진회의 상에 침을 뱉거나 오물을 던졌다.

손자병법이나 류성룡의 전수기의십조를 인용하거나 변형한 경우도 있다. ‘손자병법이나 전수기의십조’라고 한 것은 유사한 문장이 그 둘에 모두 등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손자병법보다는 류성룡이 재편집한 전수기의십조를 인용했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손자병법’에서는 ‘지피지기(知彼知己)’라고 했는데, 전수기의십조에서는 이순신처럼 ‘지기지피(知己知彼)’라고 했기 때문이다. 이순신은 류성룡의 문장을 따랐다.

△나를 알고 적을 알면, 백 번을 싸워도 백 번 승리한다. 나를 알지만 적을 모르면, 한 번은 이기나 한 번은 진다. 나도 모르고 적도 모른다면, 싸울 때마다 반드시 패한다. 이것은 영원히 변할 수 없는 이론이다.

명량해전의 기적을 만드는 데 일조한 ‘오자병법’도 난중일기에 나온다. 명량해전 전날 장졸들에게 한 연설문의 핵심을 이순신은 일기에 기록했다. 그가 오자병법을 탐독했다는 다른 증거도 있다. 관점에 따라 사소해 보일 수 있으나, 전거를 활용하는 옛사람들의 기록 방식에 따르면 그냥 지나칠 기록은 아니다. 그동안 초서체 판독 문제와 한문 해석의 어려움으로 인해 파악되지 못한 1596년 6월 26일 일기 뒷부분이 그것이다.

△병법에서 “반드시 죽고자 하면 살고, 반드시 살려고 하면 죽는다”고 했고, 또 “한 사나이가 길목을 지키면, 천명도 두렵게 할 수 있다”고 했는데, 이는 오늘의 우리를 두고 하는 말이다.



△1596년 6월 26일. (…) 이날 낮 12시쯤(午)에 망아지 2필의 발굽이 상했다.

6월 26일 일기의 ‘발굽이 상했다(낙사하, 落四下)’에 대해 난중일기 번역자들은 바른 해석을 하지 못했다. 낙사하는 ‘오자병법’의 ‘치병(治兵)’ 편에 나오는 말이다. 거기에서 오자는 군마(軍馬) 기르는 법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무릇 말은 반드시 말이 마구간에서 편안하게 있을 수 있도록 해야 하고, 물과 사료를 때에 맞게 주어야 하고, (…) 털과 갈기를 때에 맞춰 깎아주고, 굳은살을 떼어내고 편자를 갈아주어 네 발굽이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夫馬 必安其處所 (…) 刻剔毛 謹落四下).”

이순신은 오자가 ‘謹落四下(굳은살을 떼어내고 편자를 갈아줘 네 발굽이 손상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라고 한 것을 기억하고 있다가 자신의 망아지 발굽이 상했다는 것을 표현했다.

외운 것은 현실에 적용

이수광은 ‘지봉유설(芝峯類說)’에서 “독서의 이치는 활을 쏘는 이치와 같다. 활 쏘는 사람은 과녁에 마음을 집중해야 한다. 집중한다면, 정확히 맞히지는 못해도 화살이 그다지 멀리 빗나가지 않을 것이다. 책에 눈과 입을 머물게 하라”고 했다. 이순신의 독서법은 이수광이 말한 활쏘기 독서법과 같다. 활을 쏘듯 책에 집중하고 기억했다.

그러나 이순신은 이수광의 독서법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그가 읽은 책 내용을 현장에서, 현실에서 끊임없이 비교하고 활용방법을 고민했다. 그의 1597년 6월 4일 일기에는 자신이 읽은 ‘오자병법’을 현실과 비교하는 모습이 그대로 나온다.

“개연(介硯)으로 걸어갔다. 기암절벽이 천 길(丈)이나 되고 강물은 굽이쳐 돌아가는 데다 깊었다. 또한 절벽과 절벽 사이에 선반처럼 매어놓은 사다리길은 위태로웠다. 이 험한 곳을 굳게 지킨다면 만 명의 군사도 지나기 어려운 곳이다. 이곳이 모여곡(毛汝谷)이다.”

한 손엔 붓, 한 손엔 칼 독서는 활을 쏘듯
박종평

1964년 충남 보령 출생

서강대 정외과 졸업, 고려대 석사(정치학)

저서: ‘진심진력 : 삶의 전장에서 이순신을 만나다’ ‘흔들리는 마흔, 이순신을 만나다’ ‘이순신, 꿈속을 걸어 나오다’ 외 2권


이순신은 백의종군 중이었지만 오자병법의 눈으로 지형지물을 관찰했다. 그 결과가 모여곡과 같은 지형의 명량에서 기적적인 승리를 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됐다. 이순신 독서법의 또 다른 특징은 실용적인 데 있다. 그가 읽은 책의 공통점은 자신의 일인 전쟁 승리와 진중 경영을 위한 아이디어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병법과 역사책들이라는 사실이다.

이순신은 그들 책 속의 이론과 역사적 경험을 자신이 처한 현실과 비교하면서 끊임없이 통찰력을 키웠고 실용적으로 활용했다. 이순신이 우리 현대인에게 알려주는 독서법을 결론지어 말하자면 ‘자신의 일과 관련된 이론서와 사례 연구서를 깊이 읽고, 부단히 현실과 비교하라’이다.

신동아 2015년 5월호

3/3
박종평 | 이순신 연구가 goldagebook@naver.com
목록 닫기

한 손엔 붓, 한 손엔 칼 독서는 활을 쏘듯

댓글 창 닫기

2023/04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