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전직 CEO 이색 기고

不꼰대 非오버 ‘영혼 주름’ 안 만들기

‘내가 만일 인턴이 된다면’

  • 김낙회 | 前 제일기획 대표이사 www.admankim.com

不꼰대 非오버 ‘영혼 주름’ 안 만들기

1/4
  • ‘대부2’의 로버드 드니로가 70세 인턴사원으로 돌아온다?! 이 ‘영화 같은’ 이야기가 비단 허구로 들리지 않는 것은 우리 사회가 이미 액티브 시니어 시대로 진입했기 때문이다. 최근 은퇴 후에도 현역처럼 활동하고 있는 김낙회 전 제일기획 대표이사가 ‘한국의 로버트 드니로’가 되고픈 이들에게 글 한 편을 보내왔다.
不꼰대 非오버 ‘영혼 주름’ 안 만들기

첫 출근한 ‘70세 인턴’. 뻘쭘할 필요는 없다. 멋지게 슈트를 차려입고 당당할 것.

나이 70에 인턴사원이 된다?!

영화 ‘인턴(The Intern)’은 30세 여성 CEO(앤 해서웨이)가 운영하는 회사에 70세 할아버지 인턴(로버트 드니로)이 입사하면서 벌어지는 일을 유쾌하게 엮은 영화다. ‘대부2’의 카리스마 넘치는 남자와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의 상큼한 미녀. 이 두 배우의 절묘한 캐스팅만으로도 짐작 가는 바가 있는 영화라 하겠다.

로버트 드니로는 은퇴 이후 허전한 마음을 달래려고 이곳저곳 기웃거린다. 중국어와 요가를 배우고 꽃을 기르고 요리도 하지만 공허한 심사는 채워지지 않는다. 그러던 중 발견한 시니어 인턴십 프로그램! 입사에 성공한 그는 깔끔한 슈트를 차려 입고 회사 동료들을 자기 가족인 양 보살핀다. 돌발상황에 당황하지 않고, 어려운 질문에도 명쾌하게 대답하고, 여기저기 조언을 아끼지 않는다. 백전노장 베테랑이다. 한편 창업 1년 만에 성공신화를 이룬 앤 해서웨이는 고객에게 배송되는 박스 포장까지 직접 챙기고, 시간을 아끼기 위해 사무실에서 웨이트 트레이닝을 하는 열정의 화신이다.

비슷하지만 다른 이야기, ‘인턴십(The Internship)’이라는 영화도 있다. 아날로그에 익숙한 두 중년 샐러리맨이 정리해고당한 뒤 구글에서 인턴십을 하게 된다는 내용의 코미디 영화다. 두 영화 모두 ‘노인의 인턴 체험’을 소재로 다루는데, 영화적으로도 재미있지만 한편으로는 현대사회의 첨예한 현실과 맞닿아 있다는 점에서도 눈여겨볼 만하다.

서울 시민의 평균 은퇴 연령은 52.6세라고 한다. 몸은 100세 시대에 접어들었는데 은퇴는 50대에 한다는 얘기다. 그렇다면 은퇴 후 인생의 나머지 절반은 어떻게 살아야 할까. 경제적인 문제는 물론이려니와 인생 후반의 그림을 그려야 하는 것은 우리 모두의 심각하고도 중차대한 문제가 됐다. 이는 제2의 인생, 제2의 직업이 필요한 이유이기도 하다.



가슴속 용틀임

나라면 과연 70세 나이에 인턴으로 입사해 일할 수 있을까. ‘인턴’ 예고편을 보면서 잠시 눈을 감고 내 감정을 로버트 드니로에 이입해봤다. 우선 시니어 인턴사원이란 어떻게 처신하고 어떤 수준으로 일해야 할지 가늠되지 않는다. 나이가 한참 어린 젊은 사원들과 관계 설정은 어떻게 할 것인가. 더구나 젊은 간부나 임원에게 야단맞을 때는 어떻게 해야 하지? 무엇보다도 전혀 새로운 환경에 도전할 용기가 과연 내게 있을까.

이런저런 생각을 하다가 2000년대 초에 내가 맡은 KTF(현재는 KT로 통합)의 기업 PR 광고가 떠올랐다. 대학 강의실, 두꺼운 책을 든 노신사가 등장하자 삼삼오오 모여 있던 학생들이 부리나케 자리에 앉는다. 그런데 강단으로 갈 줄 알았던 노신사가 학생들 속으로 들어가 앉는다. 당황한 학생들. 노신사는 이 상황이 재미있다는 듯한 표정을 지으며 강단에 선 젊은 교수에게 힘차게 인사한다. 그리고 화면에 자막이 뜬다. ‘나이는 숫자에 불과하다.’ 디지털 시대를 살아가는 데는 젊음과 도전의식이 필요하다는 메시지를 전달한 ‘KTF적인 생각’ 시리즈 광고다.

그렇다. 문제는 생각이다. 젊은 생각. 새로운 목표에 도전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고 있는 한 우리는 젊다. 그렇다면 올해 한국 나이로 65세인 나도 원한다면 인턴사원이 될 수 있지 않을까. 나이는 숫자에 불과하니까!

정말로 다시 현역으로 일을 시작했다는 것은 아니다. 은퇴 후에 나 스스로 프로젝트를 기획해 실행해본 경험 이야기다. 나는 2012년 말 정년퇴임하고는 무엇을 할지 막막했다. 현업이 바쁘다는 핑계로 ‘은퇴 이후’에 대해 전혀 준비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연말에 여행지 발리에 가서 겨우 생각해낸 것이 우선 1년간 아무것도 하지 말자는 결정이었다. 그래도 할 것이 꽤 많았다. 목에서 힘 빼기, 마음의 독소 제거하기, 책 읽고 여행하기 등등.

하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이것만으로는 부족했다. 가슴 깊은 곳에서 끓어오르는 용틀임을 나는 발견했다. ‘봉사’가 그것이었다. 그동안 앞만 보고 달려오느라 주변을 살피지 못했고, 보람을 느낄 만큼 타인에게 작은 도움조차 되지 못했다는 반성을 한 결과다. 작은 일이라도 좋으니 내가 할 수 있는 일을 찾아보자고 마음먹었다.

그래서 기획한 것이 ‘병영 토크 콘서트’다. 최전방에서 근무하는 병사들은 고된 철책 근무로 고생이 심할뿐더러 문화적으로도 많이 소외돼 있다. 그들을 찾아가 조금이라도 사기를 북돋우고, 그들이 꿈과 용기를 가질 수 있도록 돕는 ‘힐링 프로그램’을 하나 만들어보자고 생각했다. 마침 2006년부터 육군본부 발전자문위원으로 육군과 인연을 맺은 것이 계기가 됐다. 또 내가 40여 년 전에 근무한 3사단과 산악 지형이 험난하기로 유명한 7사단에서 장병들을 대상으로 강의한 적이 있는데, 그 때의 경험이 큰 자극이 됐다. 병영 콘서트는 ‘강의’와 ‘공연’으로 구성하기로 했다.

1/4
김낙회 | 前 제일기획 대표이사 www.admankim.com
목록 닫기

不꼰대 非오버 ‘영혼 주름’ 안 만들기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