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망대해가 앞을 가로막고 있어서 더 나아갈 데 없는 곳이 ‘땅끝’이다. 벽에 걸린 지도를 쳐다보며 지리 감각을 익혔던 이들에게 전라남도 해남의 땅끝마을은 그 느낌만으로도 아득하고 가파르다. 금세 모든 것이 와르르 쏟아질 것 같은, 금방이라도 파도에 잠겨들 것 같은…. 그러나 그 끝자리 물가에 서서 온몸 가득 해풍을 맞아본 이들은 안다. 뻥하니 가슴 뚫리는 듯 환하게 다가드는 해방감을, 새로운 국면이 안겨주는 까닭 모를 넉넉함을. 그래서 ‘끝은 시작의 또 다른 이름’이란 말조차 쉽게 공감하게 되는 것이다.
땅끝에
왔습니다
살아온 날들도
함께 왔습니다.
저녁
파도소리에
동백꽃 집니다
-고은 시 ‘땅끝’ 전문
끝은 결국 시간의 마무리인 만큼 모든 끝남에는 과거의 시간이 포함돼 있다. 따라서 끝남에는 그동안 지녀온 시간을 한꺼번에 무산시키는 에너지 같은 비장미가 따라붙게 마련이다. 낙화의 애잔한 몸짓, 저녁놀의 광휘 같은 것이 곧 그 마지막의 어여쁨이다.
땅끝에 왔다고 조용히, 그리고 담담하게 말하는 시의 말 속에 곧바로 ‘살아온 날들’이 들어앉는 까닭도 예외는 아니다. 무수한 감정과 경험으로 점철된 과거 시간이 ‘나’의 끝자리에 동행했음을 새삼 확인하는 것 이상이 아니다. 과거 어느 때는 열정과 분노, 회한과 환희로 명명됐을 그것들이 여기서는 선생님의 야단을 기다리는 아이들처럼 다소곳이 고개를 떨어뜨리며 줄지어 선다. 그 통절한 찰나의 절망 혹은 빛남은 이내 동백꽃의 낙화로 갈무리된다. 3연 8행의 지극히 간출한 언어로 구성된 시지만 이 짧고 간명함 속에 우주의 질서가 자리 잡으며 제의(祭儀)의 경건함까지 가담한다.
이렇듯 땅끝마을은 그 이름값과 그에 어울리는 풍광을 곁들여서 찾아오는 이들에게 사유의 시공간을 제공해 준다. 예전에는 황량하기만 하던 바닷가에 이제는 집들이 들어서고 방파제며 현대적인 선착장까지 차려졌지만 맑고 한가한 풍정까지 변한 건 아니다. 특히 선착장을 조금 비켜난 공터에서 마주하는 바다 풍경은 여느 해변에서나 쉬 볼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밀려오는 물결과 다투듯 장난치듯 가지가지 형상의 암석이 도열해 있는 해안을 벗어나 숲길로 들어서면 비린내 풍기는 숲 냄새가 후각을 자극한다. 빛과 그늘이 소리 없이 소란을 떠는 이 길에서도 나뭇잎 사이로 출렁이는 바다가 보이며 명랑한 새소리가 그치질 않는다. 이는 모노레일카의 승차장까지 이어진다.
아름다운 죽음의 정원
해남 여행은 뭍에서부터 바다로 가서 마무리할 것이 아니라 차라리 땅끝마을에서 시작해 뭍으로 거슬러 오르는 것이 낫다. 그 아득하고 가파른 땅의 의미를 새삼 도드라지게 깨칠 수 있다는 점에서 그렇다.
땅끝을 넘어오면 소나무 방풍림이 모래밭을 에워싸고 있는 송호리 해변이 나타난다. 겨울철에 더 맑고 눈부신 바닷가를 거닐다가 다시 읍내를 향하다보면 들판 너머로 예리한 산봉들이 키를 낮추고 있는 산줄기를 보게 된다. 달마산 연맥이다. 불꽃 형상의 산줄기라고 했던가. 남방 불교 도래의 전설을 품은 미황사가 이 산기슭에 앉아 있다. 장흥 보림사와 함께 남녘의 예쁜 절간으로 이름이 높지만 응달마다 잔설이 쌓인 이 겨울날엔 인적마저 뜸하다.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